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어 문법

한국어 문법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윤곤, 崔潤坤, 1971-
서명 / 저자사항
한국어 문법 / 최윤곤 지음
발행사항
서울 :   夏雨,   2022  
형태사항
249 p. : 삽화 ; 25 cm
ISBN
9791167480705
서지주기
참고문헌(p. 242-244)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9695
005 20230125103922
007 ta
008 230119s2022 ulka b 001c kor
020 ▼a 9791167480705 ▼g 93710
035 ▼a (KERIS)BIB000016554012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82 0 4 ▼a 495.75 ▼2 23
085 ▼a 497.5 ▼2 DDCK
090 ▼a 497.5 ▼b 2022z6
100 1 ▼a 최윤곤, ▼g 崔潤坤, ▼d 1971- ▼0 AUTH(211009)97226
245 1 0 ▼a 한국어 문법 / ▼d 최윤곤 지음
246 1 1 ▼a Korean grammar
260 ▼a 서울 : ▼b 夏雨, ▼c 2022
300 ▼a 249 p. : ▼b 삽화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242-244)과 색인수록
900 1 0 ▼a Choi, Yun-gon,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22z6 등록번호 111874687 도서상태 간편대출신청중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어 문법을 처음 공부하거나 한국어의 기초를 배우고자 하는 독자를 대상으로 삼아 학교 문법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기술하였다. 연구실 서가에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책은 대학(원)생뿐만 아니라 초ㆍ중ㆍ고등 학생, 공무원ㆍ임용고시 준비생,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등 다양한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법서들이다.

이 책은 한국어 문법을 처음 공부하거나 한국어의 기초를 배우고자 하는 독자를 대상으로 삼아 학교 문법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기술하였다. 연구실 서가에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책은 대학(원)생뿐만 아니라 초ㆍ중ㆍ고등 학생, 공무원ㆍ임용고시 준비생,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등 다양한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법서들이다. 지금도 많은 한국어 문법서가 있지만 다양한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준별 문법서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학교 문법의 기초를 다지고 학문 문법에 진입을 돕는 문법서를 내놓게 되었다. 한국어 문법 분야는 아직도 여러 범주에서 치열한 논쟁을 통해 발전하고 있으며, 새로운 학설이 등장하고 있지만 이 책은 특정 학설이나 개인적인 의견을 받아들여 주장하기보다는 학계에서 두루 인정하거나 통용되는 내용으로 구성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문법 이론에만 치우치지 않고 최대한 많은 예문을 제시해서 한국어 문법의 기본 이론을 확인하고 쉬운 용어로 설명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그래서 이 책은 ‘론(論)’을 붙이지 않고, >한국어 문법<이라는 일반 명사를 사용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최윤곤(지은이)

서원대 국제학부/산업대학원 한국어교육과 교수(2019.3.~현재) 서원대 한국어교육원 원장(2019.3~현재)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2005.2.) |  저서  | 역사 속 우리말(2022) 한국어 발음과 문법 개정판(2021, 공저) 한국어 문법 교육(2020) 한국어교육실습(2019, 공저) 한국 어문규정 입문(2017) 한국어 리포트 작성 입문(2015) 학문적 글쓰기의 기초(2015, 공저) 한국어 문장 입문(2013) 한국어 문법교육과 한국어 표현범주(201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한국어 문법
1.1. 한국어 문법의 범위
1.2. 한국어 문법의 특성

단어 | 형태론
2. 단어의 구성 단위
2.1. 문법 단위의 기준
2.2. 문법 단위
2.3. 형태소
2.4. 단어
2.5. 단어의 구성 요소
2.6. 단어의 분류
3. 파생어와 파생법
3.1. 파생의 종류
3.2. 접두 파생법
3.3. 접미 파생법
4. 합성어와 합성법
4.1. 합성어의 종류
4.2. 품사에 의한 합성어 종류
5. 품사 1: 품사와 체언
5.1. 품사의 분류
5.2. 체언의 특징
5.3. 명사
5.4. 대명사
5.5. 수사
6. 품사 2: 용언
6.1. 용언의 특징
6.2. 동사
6.3. 형용사
6.4. 본용언과 보조 용언
6.5. 활용
6.6. 어미
7. 품사 3: 관계언
7.1. 조사의 특징
7.2. 격조사
7.3. 보조사
7.4. 접속 조사
8. 품사 4: 수식언과 독립언
8.1. 수식언의 특징
8.2. 관형사
8.3. 부사
8.4. 감탄사
8.5. 품사의 통용

문장 | 통사론
9. 문장의 구성 단위
9.1. 문장
9.2. 문장의 구성 요소
9.3. 문장의 구조
9.4. 품사와 문장 성분
10. 문장 성분
10.1. 문장 성분의 종류
10.2. 주어
10.3. 서술어
10.4. 목적어
10.5. 보어
10.6. 관형어
10.7. 부사어
10.8. 독립어
10.9. 문장 성분의 호응
10.10. 문장 성분의 생략
11. 문장 구조
11.1. 문장의 종류
11.2. 단문
11.3. 복문
12. 접속문
12.1. 접속문의 종류
12.2. 대등 접속문
12.3. 종속 접속문
12.4. 연결 어미의 통사적 제약
12.5. 연결 어미의 종류
13. 내포문
13.1. 내포문의 유형
13.2. 명사절 내포문
13.3. 관형사절 내포문
13.4. 부사절 내포문
13.5. 인용절 내포문
13.6. 서술절 내포문
14. 문장 유형
14.1. 문장 유형의 종류
14.2. 평서문
14.3. 감탄문
14.4. 의문문
14.5. 명령문
14.6. 청유문
14.7. 문장 부호
15. 높임 표현
15.1. 높임 표현의 종류
15.2. 주체 높임
15.3. 상대 높임
15.4. 객체 높임
15.5. 어휘에 의한 높임
15.6. 올바른 높임 표현
16. 시제 표현
16.1. 시제의 종류
16.2. 과거시제
16.3. 현재 시제
16.4. 미래시제
16.5. 동작상의 유형
17. 피동 표현
17.1. 피동 표현의 종류
17.2. 파생적 피동
17.3. ‘-어지다’ 피동
17.4. ‘-게 되다’ 피동
17.5. 파생적 피동과 통사적 피동 차이
17.6. 어휘적 피동
17.7. 올바른 피동 표현
18. 사동 표현
18.1. 사동 표현의 종류
18.2. 파생적 사동
18.3. -게 하다’ 사동
18.4. 파생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의 차이
18.5. ‘시키다’ 사동
18.6. 올바른 사동 표현
19. 부정 표현
19.1. 부정 표현의 종류
19.2. ‘안’ 부정
19.3. ‘못’ 부정
19.4. ‘말다’ 부정
19.5. 어휘적 부정
19.6. 부정문의 중의성
19.7. 이중 부정문
19.8. 부정 의문문
19.9. 올바른 부정 표현
20. 인용 표현
20.1. 인용 표현의 종류
20.2. 직접 인용절
20.3. 간접 인용절
20.4. 직접 인용문을 간접 인용문으로 바꾸기
20.5. 문장 유형별 간접 인용 표현
20.6. 간접 인용 표현의 축약형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