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690 | |
005 | 20230125103821 | |
007 | ta | |
008 | 230119s2022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9728893 ▼g 93310 | |
035 | ▼a (KERIS)BIB000016436508 | |
040 | ▼a 225009 ▼c 225009 ▼d 211009 | |
082 | 0 4 | ▼a 519.535 ▼2 23 |
085 | ▼a 519.535 ▼2 DDCK | |
090 | ▼a 519.535 ▼b 2022z2 | |
100 | 1 | ▼a 배병렬, ▼g 裵秉烈, ▼d 1960- ▼0 AUTH(211009)62534 |
245 | 2 0 | ▼a (SmartPLS 3.3에 의한) 조절효과,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 ▼d 배병렬 |
246 | 1 1 | ▼a Analyses of moderating,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with SmartPLS 3.3 |
260 | ▼a 서울 : ▼b 청람, ▼c 2022 | |
300 | ▼a 273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900 | 1 0 | ▼a Bae, Byung-ryul,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519.535 2022z2 | Accession No. 11187468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5-1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1persons reqested this item)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SmartPLS 3.3.3에 의해 조절효과,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을 기술한 책이다. 최근에 연구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조절된 매개효과분석(moderated mediation analysis)을 SmartPLS 3.3.3에 의해 분석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다. SmartPLS로 조절효과,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할 때 연구자가 부딪히게 되는 상황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다.
SmartPLS는 PLS-SEM 패키지 중에서 사용하기가 편하고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연구자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이 책은 SmartPLS 3.3.3에 의해 조절효과,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을 기술한 것입니다. 이 책은 독자들이 SmartPLS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다고 가정하고 기술하였습니다. 즉 경로도를 그릴 줄 알고 기본적인 모델을 분석할 수 있는 수준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기술되었습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최근에 연구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조절된 매개효과분석(moderated mediation analysis)을 SmartPLS 3.3.3에 의해 분석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다는 점입니다. SmartPLS로 조절효과,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할 때 연구자가 부딪히게 되는 상황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습니다. SmartPLS에는 많은 옵션이 있는데, 그들을 제대로 선택해야 올바른 모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 책에는 그러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1장 PLS-SEM: 개요 1. PLS-SEM의 의의 1.1 CB-SEM과 PLS-SEM의 특징 비교 1.2 CB-SEM과 PLS-SEM의 모수치 비교 1.3 PLS-SEM 모델의 구성요소 2. SmartPLS 3.3의 옵션 2.1 가중치방법 2.2 PLSc algorithm과 PLS algorithm의 선택 2장 조절효과분석: 개요 1. 조절효과의 의의 2. 조절효과의 통계적 모델 3. 조절효과분석의 의의 4. 조절효과의 이론적 가정 4.1 조절효과의 유형: 연속형 조절변수인 경우 4.2 조절효과의 유형: 범주형 조절변수인 경우 5. 조절효과분석 절차 5.1 조절변수의 선정 5.2 조절효과의 가설설정 5.3 조절효과 분석법의 선택 5.4 상호작용항 계수의 사후심층탐구 5.5 시각화 5.6 결과보고 및 기술 3장 조절효과분석: 범주형 조절변수 1. 범주형 조절변수의 조절효과분석: 두 집단인 경우 1.1 다중집단분석 1.2 적지표 접근법 2. 범주형 조절변수의 조절효과분석: 세 집단인 경우 2.1 다중집단분석에 의한 검정 2.2 순열에 의한 분석 4장 조절효과분석: 연속형 조절변수 1. 연속형 조절변수의 조절효과분석 접근법 1.1 적지표 접근법 1.2 2단계 접근법 1.3 직교화 접근법 2. 연속형 조절변수의 조절효과분석: 예 1 2.1 PLS algorithm에 의한 분석 2.2 PLSc algorithm에 의한 분석 3. 연속형 조절변수의 조절효과분석: 예 2 3.1 각각의 독립변수별 분석 3.2 독립변수 2개를 동시에 분석 4. 연속형 조절변수의 조절효과분석: 예 3 4.1 가법다중조절모델의 의의 4.2 가법다중조절모델의 예 5장 매개효과분석: 개요 1. 매개변수 및 매개효과의 의의 1.1 매개변수의 의의 1.2 매개효과의 의의 2. 매개효과분석의 의의 2.1 기존의 연구 및 이론의 통합 2.2 인과관계의 메커니즘 파악 2.3 실무적 시사점 도출 3. 매개모델의 형태 3.1 단일매개모델 3.2 다중매개모델 3.3 다중독립변수모델 3.4 다중종속변수모델 4. 매개효과 검정을 위한 연구설계 4.1 적절한 매개변수의 선정 4.2 매개효과의 검정력 고려 4.3 직접효과를 분석에 포함할 것인가? 4.4 매개효과의 가설화 접근법 및 가설의 명확한 기술 5. 부분매개와 완전매개의 용어에 대한 비판 5.1 Hayes(2013, 2018, 2022)의 주장 5.2 Zhao 등(2010)의 주장 6. 매개효과와 간접효과의 차이 6장 매개효과분석: 단일매개모델 1. 단일매개모델: 예 1 1.1 PLS algorithm에 의한 분석 1.2 PLSc algorithm에 의한 분석 1.3 PLSc와 PLS algorithm의 선택 결정 1.4 직접효과의 포함 여부 결정 1.5 간접효과의 효과크기 계산 2. 단일매개모델: 예 2 2.1 매개효과 검정 2.2 매개효과의 유형 분석 7장 매개효과분석: 다중매개모델 1. 다중매개모델: 예 1 1.1 PLS algorithm에 의한 추정 1.2 PLSc algorithm에 의한 추정 1.3 매개효과의 차이 검정 2. 다중매개모델: 예 2 3. 다중매개모델: 예 3 4. 다중매개모델: 예 4 5. 다중매개모델: 예 5 6. 다중매개모델: 예 6 7. 다중매개모델: 예 7 8장 조절된 매개효과분석(Ⅰ) 1.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의 의의 2.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범주형 조절변수 2.1 범주형 조절변수의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예 1 2.2 범주형 조절변수의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예 2 3.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연속형 조절변수 3.1 PROCESS Model 7: 개요 3.2 PROCESS Model 7: 예 1 3.3 PROCESS Model 7: 예 2 3.4 PROCESS Model 7: 예 3 3.5 PROCESS Model 8 9장 조절된 매개효과분석(Ⅱ) 1. PROCESS Model 14 1.1 PROCESS Model 14의 개요 1.2 PROCESS Model 14의 예 2. PROCESS Model 15 2.1 PROCESS Model 15의 개요 2.2 PROCESS Model 15의 예 3. PROCESS Model 21 3.1 PROCESS Model 21의 개요 3.2 PROCESS Model 21의 예 4. PROCESS Model 58 4.1 PROCESS Model 58의 개요 4.2 PROCESS Model 58의 예 5. PROCESS Model 83 5.1 PROCESS Model 83의 개요 5.2 PROCESS Model 83의 예 6. PROCESS Model 91 6.1 PROCESS Model 91의 개요 6.2 PROCESS Model 91의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