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657 | |
005 | 20230120134000 | |
007 | ta | |
008 | 230119s2022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77785212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6564206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82 | 0 4 | ▼a 320.9519 ▼2 23 |
085 | ▼a 320.953 ▼2 DDCK | |
090 | ▼a 320.953 ▼b 2022z44 | |
100 | 1 | ▼a 한배호, ▼g 韓培浩, ▼d 1931- ▼0 AUTH(211009)126497 |
245 | 1 0 | ▼a 한국의 국가건설 단계와 자유민주주의의 진로 / ▼d 한배호 지음 |
246 | 1 1 | ▼a The Korean nation-building stages and the future of liberal democracy |
246 | 3 1 | ▼a Korean nation-building stages and the future of liberal democracy |
250 | ▼a 개정증보판 | |
260 | ▼a 서울 : ▼b 오름, ▼c 2022 | |
300 | ▼a 320 p. ; ▼c 23 cm | |
500 | ▼a 한국정치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성찰하다! | |
504 | ▼a 참고문헌: p. 315-320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0.953 2022z44 | Accession No. 11187458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고 국호를 선포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한국의 국가건설 단계를 설정하고, 역대 정부가 이룩한 국가건설의 과업을 이해해 보고자 저술한 책이다. 기존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보완했으며, 8장을 추가로 구성하여 한국의 지역주의 정치문화, 민주정치와 정의를 회복하기 위한 과제를 다루었다.
한국정치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성찰한 책
이 책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고 국호를 선포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한국의 국가건설 단계를 설정하고, 역대 정부가 이룩한 국가건설의 과업을 이해해 보고자 저술한 <한국의 국가건설 단계와 자유민주주의의 진로>의 개정증보판이다. 기존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보완했으며, 8장을 추가로 구성하여 한국의 지역주의 정치문화, 민주정치와 정의를 회복하기 위한 과제를 다루었다.
저자는 권위주의 정권하에서 40년, 민주화 이후 오늘까지 30년을 살아오면서 한국정치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 기쁜 면과 슬픈 면을 모두 경험했으며, 정치학 교수로서 변화무쌍한 현실정치의 소용돌이를 넘어 보다 넓게, 그리고 보다 길게 미래를 바라볼 수 있었다.
이 책에는 한국 정부나 국민이 과거에 잘한 것이나 못한 것을 깊이 성찰하고, 앞으로 남은 국가건설의 단계들을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는 저자의 마음이 담겨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한배호(지은이)
1931년 서울 출생 미국 메리빌대학 정치학 학사(BA)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원 정치학 석사(MA)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정치학 박사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1963~1970)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1971~1994) 현대일본학회 회장 (1978~1980) 우드로윌슨 국제센터 시니어 펠로(1980~81) 한국정치학회 회장 (1981~1982)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 (1982~1984) 고려대학교 정경대학장 (1986.3~1986.9) 고려대학교 초대 정책대학원장 (1986.9~1989.9) 고려대학교 대학원장 (1989.9~1992.8) 세종연구소 소장 (1994~1999) 유한재단 이사장 (2004~2010) 저서로는 <비교정치론>, <일본근대화연구>, <한국현대정치론>, <한국의 정치과정과 변화>, <한국정치변동론>, <한국정치문화와 민주정치>, <자유를 향한 20세기 한국 정치사>, <민주정치라야 정치학이 산다>, <한국의 국가건설 단계와 자유민주주의의 진로>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수많은 공동연구 저작들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1. 역대 정권이 이룩한 국가건설의 성과 전후 독일과 일본의 국가건설의 교훈 국가건설의 의미와 단계 이승만이 세운 나라의 기틀과 국가정체성 박정희 정권이 이룩한 국가통합과 경제발전 ‘제3의 물결’과 민주화 요구의 폭발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민주화 공로 정치질서도 정의도 무너지고 있다 국가건설의 진로를 따라 전진해야 한다 2. 도덕적인 인간과 부도덕한 정치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의 이상론 부도덕한 정치를 만드는 권력과 인간의 본성 실패한 이성주의의 ‘치국평천하’ ‘가난한 사람만 믿으라’는 마르크스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반도덕주의 사상 정치의 부도덕성을 견제하는 법치주의 평화도 평등도 불가능하나, 정의는 가능하다 3. 정치의 본질은 가치의 권위적인 분배 정치사상에 영향을 준 기계론과 유기체론 법 ㆍ 제도 연구에 미친 기계론의 영향 가치의 ‘권위’적인 분배로서 정치 국가, 정권 그리고 시민사회 정치적 주권을 행사하는 정권 정부 밖에서 정치권력을 견제하는 정당정치 4. 민주주의를 침식한 권위주의 정권 신생국 민주주의를 침식한 독재정치 정권이 여섯 번, 헌법이 여덟 번 바뀐 나라 정권이 자주 바뀐 이유는 무엇인가? 전체주의와 권위주의의 근본적 차이 이승만 권위주의 정권의 붕괴(1948~60) 단명으로 끝난 민주적인 장면 정권(1960~61) 쿠데타로 시작한 박정희 정권(1961~72) 헌정주의를 파기한 유신정권(1972~79) · 넘을 수 없었던 계승위기의 장벽 5. 정치를 파국으로 몰고 간 파벌정치 파벌에 대한 다양한 의미 정당은 간판, 실세는 파벌 파벌싸움이 정치를 파국으로 몰고 가다 파벌정치에서 정당정치로 6. 마르크스주의를 신봉하는 무리들 유대인 카를 마르크스 마르크스주의의 주요명제 마르크스주의라는 ‘신’이 없는 신학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론의 허점 마르크스주의 신학의 종말론: 구소련의 붕괴 한국 좌익세력의 이데올로기는 어떤 것인가? 신기루를 좇는 ‘종북주의’의 이중적 정체성 7. 개혁만이 유토피아로서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다 초기 자유민주주의의 신조 진보와 보수를 수렴한 현대자유주의 자유로부터의 도피가 독재정치를 만든다 ‘민주주의는 매우 어려운 정부형태’ - 윌슨 대통령 ‘덜’ 나쁜정치로 개혁하려는 다두지배체제 8. 흔들린 민주정치,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 해방 후 대한민국의 선택은 옳았다 한국에 계급정치는 없다, 편향된 지역주의 정치문화는 있다 거짓 ‘혁명’으로 거둔 것은 정치경제적 파탄뿐 문재인 정부는 왜 실패했나? 민주정치와 정의, 어떻게 회복하나? 참고문헌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