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653 | |
005 | 20230125100516 | |
007 | ta | |
008 | 230119s2022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46081758 ▼g 93070 | |
035 | ▼a (KERIS)BIB000016292292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02.2 ▼2 23 |
085 | ▼a 302.2 ▼2 DDCK | |
090 | ▼a 302.2 ▼b 2022z8 | |
100 | 1 | ▼a Thussu, Daya Kishan, ▼d 1959- ▼0 AUTH(211009)34078 |
245 | 1 0 | ▼a 국제 커뮤니케이션 : ▼b 연속성과 변화 / ▼d 다야 키샨 쑤쑤 지음 ; ▼e 배현석 옮김 |
246 | 1 9 | ▼a International communication : ▼b continuity and change ▼g (2nd ed.) |
250 | ▼a 개정판 |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 ▼b 한울엠플러스, ▼c 2022 | |
300 | ▼a 496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한울 아카데미 ; ▼v 1170 |
500 | ▼a 부록: 1. 국제 커뮤니케이션 연대기, 2. 유용한 웹사이트 | |
504 | ▼a 참고문헌(p. [451]-47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Communication, International |
650 | 0 | ▼a Mass media |
700 | 1 | ▼a 배현석, ▼g 裵炫錫, ▼d 1961-, ▼e 역 ▼0 AUTH(211009)23238 |
830 | 0 | ▼a 한울 아카데미 ; ▼v 1170 |
900 | 1 0 | ▼a 쑤쑤, 다야 키샨,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 2022z8 | 등록번호 11187458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5-0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제 커뮤니케이션’을 알기 위한 최고의 입문서
국제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관련 최신 경향을 반영해 새롭게 태어나다
『국제 커뮤니케이션』은 새천년이 시작되고 나서 지금까지 놀라운 속도로 퍼져 나간 국제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의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미디어와 문화가 함께 작동하는 복합적 국제관계, 정치, 경제 및 기술적 상황을 일관되게 다룬 유일한 연구로, 새천년 이후의 발전 상황을 빠짐없이 실었으며, 미디어의 머독화(Murdochization)와 알-자지라(Al-Jazeera) 현상, 이동 통신, 중국, 국제적 미디어 등에 대한 새롭고도 상세한 연구가 포함되었다. 초판의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개정판은 미디어와 자유화, 규제 철폐, 민영화라는 거시경제의 맥락 속에 있는 통신 기업의 팽창을 도식화한다. 그리고 상이한 지역·국가 출신의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청취자의 폭발적 증가가 끼친 영향을 탐구한다. 각각의 장은 핵심 주제와 논쟁을 예증하는, 알-자지라나 발리우드(Bollywood)의 세계적 번성, ‘리얼리티 텔레비전(teality television)’의 국제화 등에 대한 사례 연구를 포함한다. 『국제 커뮤니케이션』 개정판은 모든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연구자들이 읽어야 할 필수 서적이다.
기획 의도 및 출간 의의
“다야 쑤쑤(Daya Thussu)의 『국제 커뮤니케이션(International Communication)』은 국제 커뮤니케이션 관련 출판물 가운데 최고의 입문서다. 쑤쑤는 이 책에서 국제 커뮤니케이션과 연관된 중요한 사회, 경제 및 정치적 이슈를 아우르면서 신중하고 설득력 있는 주장을 편다. 이 책은 글의 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읽기도 매우 쉽다. 철저하게 최신 자료로 무장한 다야 쑤쑤의 『국제 커뮤니케이션』은 분명히 세계 곳곳에서 매스 커뮤니케이션학을 공부하는 학생과 학자들에게 필독서가 될 것이다.”
- 로버트 맥체스니(Robert W. Mchesney, 일리노이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연구교수)
“쑤쑤는 국제적 조직들, 회사들, 그리고 언론매체에서 큰 덩어리의 기사를 뽑아내 가장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었다.”
- 유러피언 커뮤니케이션 저널(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그동안 국내에 소개된 국제 커뮤니케이션 관련 교재의 내용이 빈약하고 설혹 있다 하더라도 시간이 오래 지난 것들이어서 현대 정보사회의 관점에 일어나는 국제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에는 문제가 많은 현실 속에서 제대로 된 책을 소개하자는 취지로 다야 키샨 쑤쑤의 『국제 커뮤니케이션』(2000)을 국내에 소개한 지 벌써 5년이 지났다.
그러던 중 원저의 2판이 2006년에 발행되었다. 2판에서는 큰 줄기는 변한 것이 없지만 초판이 발행된 이후 급속히 변해가는 국제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분야의 새로운 경향을 소개하고 최신 자료를 갱신해놓았다. 그에 따라 제2판을 새롭게 번역하게 되었다.
이번 개정 번역판에서는 2006년 개정 발행된 원서의 내용을 반영했을 뿐만 아니라 지난 번역판에서 발견된 오자와 탈자를 수정했고, 잘못된 표현은 바로잡았으며, 뜻이 명료하고 읽기 편하게 하고자 여러 군데 표현도 바꾸었다. 또한 원서가 2006년 개정되었음에도 여전히 낡은 자료를 제시한 경우, 역자 주를 통해 최신 자료로 바로잡았다.
◤내용 소개
이 책은 7개의 장으로 나뉘어 있으며, 일련의 사례들을 통해 주요 개념과 주장들을 예증하고 있다. 제1장은 근대 식민 제국주의가 등장하기 전 수 세기 동안 어떻게 국제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했는지를 살펴보면서, 국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역사적 맥락을 제시한다. 제2장은 마르크스주의에서부터 국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문화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적 분석에 이르기까지 국제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몇몇 경합하는 이론들을 개관하고 있다.
제3장은 자유시장 자본주의 체제하의 후기냉전시대에 일어난 전통적인 미디어 및 텔레커뮤니케이션 회사들의 확장을 자세히 보여주며, 제4장은 1990년대, 국제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탈규제와 자유화의 결과로, 그리고 특히 위성 및 케이블과 같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급격한 확장으로 발전해온 지구촌 미디어 시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장은 광고, 영화, 음악, 출판, 텔레비전 산업 및 통신사와 같은 지구촌 미디어 및 문화산업의 주요 참여자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정보 및 오락물의 국제적 유통에 대한 압도적인 미국의 지배를 보여주는 일반적인 소유권 패턴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제5장은, 특히 전 세계에 걸친 미국의 영화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 수출에 주목하면서, 각기 다른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국제 커뮤니케이션의 일방적 유통의 효과들에 대해 주로 살펴본다. 제6장의 초점은 국제적 미디어 제품의 역유통에 맞추어져 있다. 일련의 사례연구를 통해, 이 장은 권역의 행위자들의 역할과 증가하는 미디어 제품의 역유통에 대해 조사하는데, 이는 미디어 조직의 초국가화가 지구촌 커뮤니케이션 시장을 어떻게 바꾸어놓았는지를 보여준다. 마지막 장인 제7장은 컴퓨터매개(computer-mediated) 국제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몇 가지 중요한 이슈들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이 장은 기술의 변화, 특히 전례 없는 인터넷의 성장이 현대 미디어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독자 대상
∙정치학·외교학·언론학 전공 학부생과 연구자
∙국제관계와 언론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
정보제공 :

저자소개
다야 키샨 쑤쑤(지은이)
런던 대학교(University of London) 골드스미스 대학(Goldsmiths College) 교수 연구 관심분야: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의 초국가적 측면
배현석(옮긴이)
1984년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연세대학교 본 대학원(신문방송학 전공)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원을 거쳐, 1998년 미시건 주립대(Michigan State University)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Department of Telecommunication)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를 지낸 후, 1999년부터 지금까지 동 대학에서 교수로 지내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미디어의 효과, 특히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과 보건 커뮤니케이션이며,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금까지 10여 편의 SSCI급 국제 학술지 논문(교육적 오락물 및 미디어 경제학 분야)을 발표했으며, 20여 권의 커뮤니케이션 관련 원서를 번역했다. [주요 논문] Bae, H.-S., Lee, D., & Bae, R. E. (2014). Emotional engagement with the plot and characters: A narrative film on hearing-impaired sexual assault victims. Narrative Inquiry, 24(2), 309-327. Bae, H.-S., Brown, W. J., & Kang, S. (2011). Social influence of a religious hero: The late Cardinal Stephen Kim’s impact on cornea donation and volunteerism.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6(1), 62~78. Kang, S., Gearhart, S., & Bae, H.-S. (2010). Coverage of Alzheimer’s disease from 1984 to 2008 in television news and information talk shows in the United States: An analysis of news framing.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 25(8), 687~697. Bae, H.-S. (2008). Entertainment-education and recruitment of cornea donors: The role of emotion and issue involvement.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3(1), 20~36. Bae, H.-S., & Kang, S. (2008). The influence of viewing an entertainment-education program on cornea donation intention: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23(1), 87~95. Lee, B., & Bae, H.-S. (2004). The effect of screen quotas on the self-sufficiency ratio in recent domestic film markets.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17(3), 163~176. Bae, H.-S., & Lee, B. (2004). Audience involvement and its antecedents in entertainment-education: An analysis of bulletin board messages and drama episodes on divorce in Korea.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14(1), 6~21. Bae, H.-S. (2000). Product differentiation in national TV newscasts: A Comparison of the cable all-news networks and the broadcast network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4(1), 62~77. Bae, H.-S. (1999). Product differentiation in cable programming: The case in cable all-news networks.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12(4), 265-277. Bae, H.-S., & Baldwin, T. F. (1998). Policy issues for cable startup in smaller countries: The case in South Korea. Telecommunications Policy, 22(4/5), 371-381. [주요 역서] 배현석(역) (2021). <우리는 데이터다 알고리즘이 만들어내는 우리의 디지털 자기>(We Are Data: Algorithms and the Making of Our Digital Selves). 서울: 한울 아카데미. 배현석(역) (2020). <디지털 디퍼런스: 미디어 기술과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론>(The Digital Difference: Media Technology and the Theory of Communication Effects). 서울: 한울 아카데미. 배현석(역). (2019). <공유시대: 공유 개념과 공유 행위에 대한 분석>(The age of sharing). 서울: 한울 아카데미. 배현석(역) (2018). <노화와 커뮤니케이션 이해하기: 지식 및 의식 개발하기>(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aging: Developing knowledge and awareness).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배현석(역) (2018). <초연결사회: 인터넷, 디지털 미디어, 그리고 기술-사회 생활>(Superconnected: The internet, digital media, and techno-social life). 서울: 한울아카데미. 배현석(역) (2017). <퍼블릭 스피치: 대중 앞에서 말하기>(Public speaking: Concepts and skills for a diverse society).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배현석(역) (2016). <디지털 시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계획수립, 관리, 그리고 대응>(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서울: 한울 아카데미. 배현석(역) (2015). <대인관계와 소통: 일상의 상호작용>(Interpersonal communication: Everyday encounters). 서울: 한경사. 배현석(역) (2015). <미디어 메시지와 공중보건: 내용분석에 대한 의사결정 접근방법>(Media message and public message: A decisions approach to content analysis).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배현석(역) (2013). <저항과 설득>(Resistance and persuasion).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배현석(역) (2012).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기초: 전자 미디어 규제의 원칙과 과정>(Foundations of communications policy: Principles and process in the regulation of electronic media). 서울: 한국문화사. 배현석·배은결(역) (2011). <미디어 메시지 분석: 양적 내용분석방법>(개정판)(Analyzing media messages: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research, 2nd ed.). 경산:

목차
1 국제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적 맥락 1. 커뮤니케이션과 제국 2. 전신의 발달 3. 뉴스 통신사 시대 사례연구→ 로이터의 성장 4. 대중적 미디어의 출현 5. 라디오와 국제 커뮤니케이션 6. 전파 전쟁 7. 냉전: 공산주의자의 선전에서 자본주의자의 설득에 이르기까지 사례연구→ 은밀한 커뮤니케이션:RFE와 RL 8. 국제 커뮤니케이션과 발전 사례연구→ 위성 교육 텔레비전 실험(SITE) 9. 새로운 세계 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질서 요구 2 국제 커뮤니케이션의 이론화를 위한 접근방법 1.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 2. 근대화 이론 3. 종속 이론 4. 구조적 제국주의 5. 헤게모니 6. 비판 이론 7. 공적 영역 8. 국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문화 연구 관점 9. 정보사회 이론 10. 세계화 담론 11. 비판적 국제 커뮤니케이션 이론? 3 지구촌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건설 1. 텔레커뮤니케이션의 민영화 2. 커뮤니케이션의 자유로운 교역 3. 텔레콤 분야의 자유화 4. 우주의 사유화최후의 개척지 사례연구→ 인텔새트 5. 지구촌 위성산업 6. 권역 위성 서비스 사례연구→ 머독의 미디어:‘우리를 향한 전 세계의 눈’ 7. 텔레콤의 세계화 8. 자유화된 지구촌 커뮤니케이션 체제의 함의 4 지구촌 미디어 시장 1. 융합 2. 지구촌 미디어 제품 교역 사례연구→ 스포츠의 지구촌 중계ESPN 3. 지구촌 뉴스 및 정보 네트워크 사례연구→ CNN‘세계의 뉴스 리더’ 4. 지구촌 뉴스 의제 설정 5 미디어 문화의 세계성과 지역성 1. 미국 문화의 세계화? 사례연구→ MTV 음악 텔레비전 2.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우려 3. 세계적 영어 4. 미디어 시장의 권역화와 지역화 사례연구→ 지 TV와 혼합 텔레비전 6 지구촌 미디어의 역유통 1. 지구촌 들여다보기 2. 문화적 세계화에 대한 불만 3. 텔레비전의 세계적 역유통 사례연구→ 알자지라: 지구촌 뉴스의 일대 사건이 된 ‘섬’ 4. 중국의 ‘평화로운 부상’과 지구촌 커뮤니케이션 5. 남반구에서 북반구로의 미디어 수출 사례연구→ 텔레노벨라의 초국가화 또 다른 할리우드:인도의 영화산업 7 인터넷 시대의 국제 커뮤니케이션 1. 인터넷 시대의 도래 2. 인터넷과 ‘상거래의 자유로운 흐름’ 사례연구→ 지구촌 커뮤니케이션의 ‘구글화’ 정보오락물과 교육오락물의 세계화 3. 인터넷과 정치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 전 세계적인 ‘테러와의 전쟁’ 4. 세계적인 디지털 격차 5. 발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6. 국제 커뮤니케이션연속성과 변화 7. 변화하는 지구촌 커뮤니케이션의 외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