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649 | |
005 | 20230120111344 | |
007 | ta | |
008 | 230119s2022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67422859 ▼g 94710 | |
020 | 1 | ▼a 9791156862253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137233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6 ▼d 211009 | |
082 | 0 4 | ▼a 495.75 ▼2 23 |
085 | ▼a 497.5 ▼2 DDCK | |
090 | ▼a 497.5 ▼b 2022z5 | |
245 | 0 0 | ▼a 한국어 신어 형성 연구 / ▼d 최형용 [외]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22 | |
300 | ▼a 347 p. ; ▼c 24 cm | |
490 | 1 0 | ▼a 이화여자대학교 국어문화원 연구총서 ; ▼v 7 |
500 | ▼a 공저자: 김혜지, 리우 완잉, 권경녀, 강문영, 장지영, 박지현, 왕사우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최형용, ▼g 崔炯龍, ▼d 1971-, ▼e 저 ▼0 AUTH(211009)70297 |
700 | 1 | ▼a 김혜지, ▼e 저 |
700 | 1 | ▼a 劉婉營, ▼e 저 |
700 | 1 | ▼a 권경녀, ▼e 저 |
700 | 1 | ▼a 강문영, ▼e 저 |
700 | 1 | ▼a 장지영, ▼e 저 |
700 | 1 | ▼a 박지현, ▼e 저 |
700 | 1 | ▼a 王思宇, ▼e 저 |
830 | 0 | ▼a 이화여자대학교 국어문화원 연구총서 ; ▼v 7 |
900 | 1 0 | ▼a 劉婉營, ▼e 저 |
900 | 1 0 | ▼a 리우완잉, ▼e 저 |
900 | 1 0 | ▼a 왕사우,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2022z5 | 등록번호 1118745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신어란 폭넓은 의미에서 ‘새롭게 생긴 말’을 의미한다. 이때 ‘새롭게 생긴’은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하나는 새로운 ‘형태’가 생긴 것을 지시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의미’가 생긴 것을 지시하는 경우이다. ‘말’도 단위의 측면에서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하나는 ‘말’이 ‘단어’를 지시한다고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말’이 단어가 결합된 ‘구’를 지시한다고 보는 것이다. 이 책에서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신어는 이들 가운데 ‘새로운 형태인 단어’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 ‘새로운 형태인 단어’로 신어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이유는 이 책이 신어에 대한 형태론적 연구를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신어가 ‘새로운 형태인 단어’에만 국한된다는 의미를 의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이 책이 특히 신어를 단어 형성의 관점에서 탐구하기 위한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필진도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형태론을 전공하는 사람들로 꾸리게 되었다.
한국어 신어 형성 연구
신어란 폭넓은 의미에서 ‘새롭게 생긴 말’을 의미한다. 이때 ‘새롭게 생긴’은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하나는 새로운 ‘형태’가 생긴 것을 지시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의미’가 생긴 것을 지시하는 경우이다. ‘말’도 단위의 측면에서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하나는 ‘말’이 ‘단어’를 지시한다고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말’이 단어가 결합된 ‘구’를 지시한다고 보는 것이다.
이 책에서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신어는 이들 가운데 ‘새로운 형태인 단어’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 ‘새로운 형태인 단어’로 신어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이유는 이 책이 신어에 대한 형태론적 연구를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신어가 ‘새로운 형태인 단어’에만 국한된다는 의미를 의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이 책이 특히 신어를 단어 형성의 관점에서 탐구하기 위한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필진도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형태론을 전공하는 사람들로 꾸리게 되었다.
그 결과 이 책에서는 신어 형성의 과정과 그 결과에 일차적인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파생어, 합성어, 두음절어, 혼성어, 통사적 결합어는 이러한 관점의 산물이다.
저자 소개
최형용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김혜지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리우 완잉(劉婉瑩)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초빙연구원
권경녀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강문영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수료
장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박지현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왕사우(王思宇)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중국 중산대학교 한국어학과 박사후 연구원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형용(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국어과 교관, 전임강사를 거쳐 아주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전공 교수를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주시경 국어문법의 교감과 현대화(공저)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 한국어 연구와 유추(공저) 한국어 형태론 한국어 분류사 연구(공저) 한국어 의미 관계 형태론 표준 국어문법론(전면개정판)(공저) 등 논문 「규범문법과 학문문법의 친소」 「사잇소리 현상과 표기」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과 표기의 원리」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은 과연 형태소인가」 「명사와 접미사의 용법을 지니는 단위의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한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개선 방안에 대하여」 「근대 어문 규범의 성립과 한자 문제」 「두음 법칙 규정과 어종」 등

목차
1 _ 한국어 신어의 범위와 유형 1.1. 들어가기 15 1.2. 한국어 신어의 개념과 범위 17 1.3. 한국어 신어의 유형 31 1.4. 나가기 51 2 _ 한국어 신어의 품사적 특성 2.1. 들어가기 59 2.2. 한국어 신어의 품사 판정 기준과 품사 유형 분포 62 2.3. 한국어 신어의 품사 유형별 특성 67 2.4. 나가기 86 3 _ 한국어 신어 형성에서의 파생어와 합성어 3.1. 들어가기 93 3.2. 신어 보고서에서의 단어 구조 개관 94 3.3. 한국어 신어 형성에서의 파생어 102 3.4. 한국어 신어 형성에서의 합성어 121 3.5. 나가기 132 4 _ 한국어 신어 형성과 두음절어, 혼성어 4.1. 들어가기 139 4.2.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용어와 범주 정립 141 4.3.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단어 구조상의 위치 149 4.4. 신어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생성 방식 152 4.5. 신어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내부 요소의 범주 166 4.6. 신어 두음절어와 혼성어의 정착 가능성 172 4.7. 나가기 181 5 _ 한국어 신어 형성에서의 통사적 결합어 5.1. 들어가기 187 5.2. 신어 통사적 결합어의 개념 188 5.3. 신어 통사적 결합어의 유형 191 5.4. 신어 통사적 결합어의 특징 201 5.5. 나가기 205 6 _ 한국어 신어 형성과 유추 6.1. 들어가기 209 6.2. 신어 형성 기제로서의 유추 211 6.3. 유추에 의한 신어 형성의 분류 220 6.4. 나가기 245 7 _ 한국어 신어 형성과 의미 관계 7.1. 들어가기 249 7.2. 신어 형성 측면에서 본 의미 관계 253 7.3. 신어와 신어 사이의 의미 관계 255 7.4. 신어 내부의 의미 관계 268 7.5. 의미장 내에서의 의미 관계 277 7.6. 나가기 284 8 _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신어 형성 8.1. 들어가기 291 8.2.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신어 형성 동기 292 8.3.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신어 형성 방식 299 8.4.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신어 형성 기제:유추를 중심으로 316 8.5. 나가기 321 신어 찾아보기 / 327 주제어 찾아보기 /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