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중국어의 대조 연구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중국어의 대조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杜瑋
서명 / 저자사항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중국어의 대조 연구 = 韓國語漢字合成調和中文的對照硏究 / 두위
발행사항
서울 :   역락,   2022  
형태사항
180 p. ; 24 cm
ISBN
9791167423993
일반주기
부록: 1.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 어휘, 2. 중국어 합성어 어휘, 3. 중국어 이합사 어휘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37-147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9648
005 20230125100223
007 ta
008 230119s2022 ulk b 000c kor
020 ▼a 9791167423993 ▼g 93710
035 ▼a (KERIS)BIB000016556920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41 0 ▼a kor ▼a chi
082 0 4 ▼a 495.75 ▼2 23
085 ▼a 497.5 ▼2 DDCK
090 ▼a 497.5 ▼b 2022z8
100 1 ▼a 杜瑋
245 1 0 ▼a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중국어의 대조 연구 = ▼x 韓國語漢字合成調和中文的對照硏究 / ▼d 두위
260 ▼a 서울 : ▼b 역락, ▼c 2022
300 ▼a 180 p. ; ▼c 24 cm
500 ▼a 부록: 1.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 어휘, 2. 중국어 합성어 어휘, 3. 중국어 이합사 어휘
504 ▼a 참고문헌: p. 137-147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22z8 등록번호 1118745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어 한자 합성어와 중국어 합성어 및 중국어 이합사를 형태구성, 품사, 용법 세 가지 방면에서 각각의 어휘를 대응하여 살펴보는 대조 연구를 수록한 책이다.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그것에 대응하는 중국어 조어법에 의한 단어의 구조적 특징을 비교해 그 차이를 밝히고 있다. 두 언어의 합성어의 구성 유형을 서로 비교, 대조해 봄으로써 두 언어를 교수, 학습하는 이들에게 두 언어의 조어 방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언어는 사상을 담는 그릇이며 한 나라의 문화의 정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중 양국의 역사와 문화의 유사성, 일반적으로 예측되는 미래 상황 등을 고려해 볼 때, 한국어와 중국어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한국은 오랫동안 한자를 사용해 왔고, 한국어의 많은 부분이 한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는 그 언어 분류상 교착어에 속하고 중국어는 고립어에 속한다는 차이점이 있지만, 한국어는 의성어, 의태어의 발달과 함께 어미의 변화가 자유롭다는 점 때문에 복합어가 발달하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어 또한 고립어의 특성상 조어력이 왕성하여 새로운 단어를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한자어는 한국어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런 한자어 어휘들은 대부분 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의미적으로 중국어 어휘와 비슷한 부분도 있지만, 오랜 언어 역사 속에서 변화하여 한국어로서 한자어는 어느 정도 독립된 체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형태, 품사, 용법 등 전반에서 중국어와 많은 차이를 나타내게 된 것이다. 이런 차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각 언어를 공부하거나 가르치거나 통역할 때 실수를 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두 언어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어떤 차이를 지니는지, 그 요지를 파악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이전에 많은 학자들은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중국어 합성어에 대해 연구를 했지만 대부분은 한 방면에서 연구를 하는 것이었다. 양국의 언어를 대상으로 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대조 연구의 자료가 없다는 것이다. 이 책은 두 언어를 공부하거나 사용하는 이들을 위해 빠르고 정확하게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근거한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연구를 하였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 한자 합성어와 중국어 합성어 및 중국어 이합사를 형태구성, 품사, 용법 세 가지 방면에서 각각의 어휘를 대응하여 살펴보는 대조 연구를 하였다.
이 책은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그것에 대응하는 중국어 조어법에 의한 단어의 구조적 특징을 비교해 그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이 책에서는 두 언어의 합성어의 구성 유형을 서로 비교, 대조해 봄으로써 두 언어를 교수, 학습하는 이들에게 두 언어의 조어 방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한국어 한자어가 본래 중국어 단어에서 차용한 것이기 때문에, 한국어와 중국어는 한자어로 된 꽤 많은 어휘를 공유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어 한자어가 한편으로는 삼국 시대부터 오랜 세월에 걸쳐 중국어에서 차용되어 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두 언어의 한자 어휘는 그만큼의 오랜 기간 동안 서로 독자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이에 따라, 한국어 한자어는 중국어 어휘의 특징을 어느 정도 가졌으면서도, 중국어 어휘와는 꽤 다른 체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도 마찬가지이다. 예컨대, ‘江山, 山河, 入院, 學校’ 등의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는 중국어 합성어와 구조와 의미가 거의 완전히 같다. 그러나 ‘小心, 東西’ 등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합성어이지만, 그 의미는 완전히 다르다. ‘小心’은 한국어에서는 ‘마음이 작다’의 뜻으로 사용되고, 중국어에서는 ‘조심하다’의 뜻으로 사용된다. 또 ‘東西’는 한국어에서는 ‘동쪽과 서쪽, 동양과 서양’의 뜻으로 사용되지만, 중국어에서는 ‘물건, 동쪽과 서쪽’의 뜻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放學’은 한국어에서는 ‘학교에서 학기나 학년이 끝난 뒤 또는 더위, 추위가 심한 일정 기간 동안 수업을 쉬는 일. 또는 그 기간’의 뜻인데, 같은 뜻으로 중국어에서는 ‘放假’라고 한다. ‘放學’은 중국어에서 ‘학교에서 하루 수업을 마치고 학교를 떠나다’의 뜻이다.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가 완전히 다른 경우도 있다. 예컨대 한국어 한자어 ‘登校, 登山’은 중국어에서 각각 ‘上學, 上山’에 대응한다. 그런데 이것들의 반의어는 한국어에서는 ‘下校, 下山’인데 비하여, 중국어에서는 ‘放學 또는 下學, 下山’이다.
또 한국어와 중국어는 합성어의 품사 범주와 합성어 성분의 품사 범주의 체계도 다를 수밖에 없다. 그 까닭은 한국어는 첨가어이고, 중국어는 고립어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青山’은 한국어나 중국어에서 동일한 의미를 가진 합성어로서, 명사이다. 그런데 ‘青’은 중국어에서는 한 어절로서 형용사이지만, 한국어에는 한 어절을 형성하지 못하며, 또 품사를 정할 수도 없다. 그리고 ‘說明’과 ‘廣大’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동일한 의미를 가진 합성어인데, 중국어에서는 각각 동사와 형용사이지만, 한국어에서는 ‘說明, 擴大’는 명사이다. 그리고 이것들은 한국어에서는 각각 ‘하다’와 결합하여 동사와 형용사로 사용된다. 또 ‘說明’과 ‘擴大’의 성분의 품사는 중국에서는 ‘說’과 ‘廣’은 동사이고, ‘明’과 ‘大’는 형용사이다. 그런데 한국어에서는 그것들은 모두 품사를 정할 수 없으며, 그것들에 ‘하다’와 결합하여 동사나 형용사로 사용될 수도 없다.
그리고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는 중국어의 통사적 구성에 대응되기도 한다. 곧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 ‘登校, 退院’에 대응하는 중국어 ‘上山, 出院’은 합성어처럼 보이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통사적 구성(동사구)이다. 또 거꾸로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가 중국어 통사적 구성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 것도 있는데, ‘登校, 入院, 退學’은 중국어의 ‘타동사-목적어’ 구성에 대응한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합성어는 그 구조나 용법이 거의 동일한 것도 있지만, 꽤 차이가 나는 것들도 있다. 이 책에서는 이상과 같은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중국어 합성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유형화하고, 그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상세히 논의하고자 한다.
그동안 한국어와 중국어가 동일한 한자 문화권에 속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오랜 동안 한자를 사용해 왔기 때문에,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한자어가 중국어의 어휘 체계와 거의 동일하다고 막연히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한국어 한자어 체계는 중국어 합성어를 체계와는 꽤 다르다. 한국어 연구에서도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으나,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에 대한 논의는 그리 활발하지 않았으며, 한국어와 중국어의 합성어를 대조하는 연구도 그리 많지 않다고 판단된다. 이 책은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합성어를 대조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 책은 서로 다른 유형의 언어인 한국어와 중국어의 조어법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가 한국어를 공부하고자 하는 중국인들이나 중국어를 공부하고자 하는 한국인들에게도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휘 체계의 차이를 분명히 인식하게 함으로써, 중국어나 한국어를 제2언어로 배우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두위(지은이)

중국 산동성 칭다오시 출생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어학과 문학학사 한국 신라대학교 국어교육학과 교육학석사 한국부산공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현재 중국칭다오이공대학교 인문외국어대학 강사 <주요 논저> 도서: 「중-한 문법대비연구」, 「마거릿 대처 why? 걸출한 우상(중문판)」 역, 「독일 why? 세상을 가까이서 보다(중문판)」 역. 논문: 「한자 합성어와 중국어 이합어의 대비연구」, 「한국어 교육에서 대중가요의 활용」, 「중화문화 전파에 대한 연구」, 「칭다오 문화부호의 다문화 전파에 관한 실증적 연구」 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한국어 한자 합성어와 중국 합성어의 연구 가치

1.1. 이 책을 쓴 목적
1.2. 이 책의 내용 소개
1.3. 이 책의 선행연구 검토
1.3.1. 한국어 합성어에 관련된 연구
1.3.2.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에 관련된 연구
1.3.3. 중국어 합성어에 관련된 연구
1.3.4. 중국어 이합사에 관련된 연구

제2장한국어 한자 합성어와 중국어 합성어의 개관

2.1.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의 개관
2.1.1. 한국어 합성어의 성분 구조
2.1.2.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의 성분 구조
2.1.3.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의 성분 구조의 유형
2.2. 중국어 합성어와 이합사의 개관
2.2.1. 중국어 합성어의 성분 구조
2.2.2. 중국어 이합사의 성분 구조
2.3.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중국어의 대응 관계

제3장한국어 한자어 합성어와 중국어 합성어의 대조

3.1. 형태에 따른 대조
3.1.1. 어간+어간
3.1.2. 어간+특수어간 / 특수어간+어간
3.1.3. 특수어간+특수어간
3.2. 품사에 따른 대조
3.3. 용법에 따른 대조
3.3.1. 동형동의
3.3.2. 동형이의
3.3.3. 이형동의

제4장한국어 한자 합성어와 중국어 이합사 대조

4.1. 형태에 따른 대조
4.1.1. 어간+어간
4.1.2. 어간+비자립어간 / 비자립어간+어간
4.1.3. 비지립어간+비자립어간
4.2. 품사에 따른 대조
4.3. 용법에 따른 대조
4.3.1. 동형동의
4.3.2. 동형이의
4.3.3. 이형동의
제5장맺는 말

참고문헌

?부록
한국어 한자어 합성어 어휘
중국어 합성어 어휘
중국어 이합사 어휘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