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613 | |
005 | 20230119161154 | |
007 | ta | |
008 | 230119s2022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972777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573675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370.1 ▼2 23 |
085 | ▼a 370.1 ▼2 DDCK | |
090 | ▼a 370.1 ▼b 2022z14 | |
100 | 1 | ▼a 유재봉, ▼g 兪在奉, ▼d 1962- ▼0 AUTH(211009)62603 |
245 | 1 0 | ▼a 교육철학 및 교육사 탐구 / ▼d 유재봉, ▼e 안경식, ▼e 김상섭 공저 |
246 | 1 1 | ▼a Exploring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history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2 | |
300 | ▼a 374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349-359)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안경식, ▼g 安京植, ▼d 1960-, ▼e 저 ▼0 AUTH(211009)143235 |
700 | 1 | ▼a 김상섭, ▼g 金相燮, ▼d 1961-, ▼e 저 ▼0 AUTH(211009)142040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 2022z14 | 등록번호 11187465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철학 및 한국과 서양의 교육 아이디어의 역사를 탐구하기 위한 책으로, 한국교육사, 서양교육사, 교육철학의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는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 끝에는 탐구문제를 두어 독자가 각 장을 잘 이해하거나 심화학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제1부 한국교육사 부분은 고대사회의 교육에서 시작하여 고려시대의 교육, 조선시대의 교육, 근·현대기의 교육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를 교육제도사와 교육사상사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제2부 서양교육사 부분은 교육의 정신적 고향이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의 교육에서 시작하여 초기 로마부터 근대 태동까지의 교육, 근대의 교육, 20세기 이후 현대의 교육을 거치면서 교육 아이디어가 어떻게 발달해 왔는가를 사회경제사 및 교육사상사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제3부 교육철학 부분 교육철학의 다양한 성격을 드러내고, 교육의 개념을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교육철학의 주요 영역인 교육인식론과 교육윤리학 그리고 교육의 핵심가치인 진선미성(眞善美聖)과 각각 관련되어 있는 자유교육, 인성교육, 예술교육, 종교교육의 이슈를 철학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한국교육사, 서양교육사, 교육철학 총 3부로 구성된
『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 후속편
교육학은 인문학, 사회과학, 공학 등을 포괄한다는 점에서 흔히 ‘종합학문’으로 불린다. 교육현상과 교육현장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학문적 접근이 불가피하며, 이 점에서 교육학도들은 다양한 학문을 균형 있게 공부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학계에는 학문적 편식으로 인해 당장 교육현장이나 교육실천에 써먹을 수 있는 학문은 인기 있는 반면, 그러한 학문의 토대가 되는 인문학적 성격을 띤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은 점차 소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학도들이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공부를 소홀히 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하나는 이 학문들이 이론적이어서 현실성이나 유용성 면에서 떨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어려워서 재미가 없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이 당장 무엇을 하려 하거나 써먹으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그다지 친절한 학문이 아닐지 모른다. 헤겔이 말했듯이, 교육철학자들은 ‘미네르바의 올빼미’가 땅거미가 진 뒤에 날갯짓을 시작하는 것처럼, 현실에 대해서 늘 지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모든 교육(학)자가 현실 문제에만 매몰되어 있다면, 그것이 올바르게 제대로 한 것인지를 검토하는 일을 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이 책 『교육철학 및 교육사 탐구』는 교육철학 및 한국과 서양의 교육 아이디어의 역사를 탐구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교육사, 서양교육사, 교육철학의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는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 끝에는 탐구문제를 두어 독자가 각 장을 잘 이해하거나 심화학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제1부 한국교육사 부분은 고대사회의 교육에서 시작하여 고려시대의 교육, 조선시대의 교육, 근·현대기의 교육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를 교육제도사와 교육사상사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제2부 서양교육사 부분은 교육의 정신적 고향이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의 교육에서 시작하여 초기 로마부터 근대 태동까지의 교육, 근대의 교육, 20세기 이후 현대의 교육을 거치면서 교육 아이디어가 어떻게 발달해 왔는가를 사회경제사 및 교육사상사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제3부 교육철학 부분 교육철학의 다양한 성격을 드러내고, 교육의 개념을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교육철학의 주요 영역인 교육인식론과 교육윤리학 그리고 교육의 핵심가치인 진선미성(眞善美聖)과 각각 관련되어 있는 자유교육, 인성교육, 예술교육, 종교교육의 이슈를 철학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 책은 2006년에 처음 출간되어 지난 16년 동안 꾸준하게 분에 넘치는 사랑을 받아 온 『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의 후속편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이 어렵다는 교육학도들의 인식이 있지만, 우리가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오로지 공부에 매진하다 보면, 우 리는 수천 년 동안 누적되어 온 인류 문화유산의 정수를 향유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그러한 정신세계를 내면화함으로써 보다 인간다워질 뿐만 아니라 교육현상과 교육실천의 문제에 대한 심층적 이고 균형적인 시각을 가지게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안경식(지은이)
국립대만사범대학에서 「당대(唐代) 정토종의 중생교화의 교육학적 의의」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는 『신라인의 교육, 그 문명사적 조망』, 『한국 전통 아동교육사상』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平安時代의 儒家佛敎人, 慶滋保胤의 삶」, 「金剛經의 流通過程과 敎化事跡의 敎育史的 意義」 등이 있다.
김상섭(지은이)
독일 M?nster대학교 대학원 교육철학 전공(철학박사) 현재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2009~) <주요저서> Die Selbstkonstituierung des moralischen Subjekts und das Faktum der Vernunft(Waxmann, 2003) 교육학의 거장들 1, 2(한길사, 2004) 플라톤, 메논(조선대학교출판부, 2007 역) 루소, 제1논문: 학문예술론(조선대학교출판부, 2007 역) 쉴러, 인간의 미적 교육론(조선대학교출판부, 2007 역) 현대인의 교사 루소(학지사, 2009)
유재봉(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영국 런던 대학교(현 UCL Institute of Education)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교육학 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심 분야는 현대교육철학이론, 교육과정 철학, 종교교육철학 등이다.

목차
머리말 제1부 한국교육사 제1장 고대사회의 교육 1. 고조선사회의 교육 2. 삼국사회의 교육 3. 남북국시대의 교육 제2장 고려시대의 교육 1. 고려시대의 사회와 교육 2. 고려시대의 교육 3. 고려시대의 교육사상가례 제3장 조선시대의 교육 1. 조선시대의 사회와 교육 2. 조선시대의 교육 3. 조선시대의 교육사상과 교육사상가 제4장 근·현대기의 교육 1. 개화기의 교육 2. 일제강점기의 교육 3. 광복 이후의 교육 제2부 서양교육사 제5장 고대 그리스의 교육 1. 고대 그리스와 그리스인의 탄생과 교육 2. 고대 그리스의 교육사상가 제6장 초기 로마부터 근대 태동까지의 교육 1. 초기 로마의 교육 2. 중세의 교육 3. 문예부흥기의 인문주의 교육 4. 종교개혁과 교육 5. 실학주의 교육의 등장과 근대로의 이행 제7장 근대의 교육 1. 서양 근대 교육제도의 성립 2. 근대의 교육사상가 제8장 20세기 이후 현대의 교육 1. 학교교육의 보편화와 국가교육의 확대 2. 전통교육에 맞선 교육개혁운동의 전개 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교육의 흐름 4. 현대의 교육사상가 제3부 교육철학 제9장 교육철학의 성격 1. 철학적 교육철학 2. 규범적 교육철학 3. 교육사상 탐구로서의 교육철학 4. 분석적 교육철학 5. 실천적 교육철학 제10장 교육의 개념 분석 1. 교육의 정의방식 2. 교육의 대표적 정의 제11장 교육인식론과 교육윤리학 1. 교육인식론 2. 교육윤리학 제12장 교육철학의 주요 주제 1. 자유교육 2. 인성교육 3. 예술교육 4. 종교교육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