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대홍, 저 조영환, 저 임철일, 저 손미현, 저 김민성, 저 이상일, 저 김선희, 저 류나영, 저 김기택, 저 이병민, 저 성민창, 저 성상환, 저 이옥선, 저 박재범, 저 이경화, 저 유연주, 저 조정효, 저 문공주, 저 박동열, 저 모경환, 저 강은희, 저
Title Statement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 = Future education / 정대홍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22  
Physical Medium
298 p. : 천연색삽화, 도표 ; 23 cm
ISBN
9788925417097
General Note
공저자: 정대홍, 조영환, 임철일, 손미현, 김민성, 이상일, 김선희, 류나영, 김기택, 이병민, 성민창, 성상환, 이옥선, 박재범, 이경화, 유연주, 조정효, 문공주, 박동열, 모경환, 강은희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9573
005 20230119131820
007 ta
008 230119s2022 ggkad b 001c kor
020 ▼a 9788925417097 ▼g 93370
035 ▼a (KERIS)BIB000016511063
040 ▼a 243009 ▼c 243009 ▼d 211009
082 0 4 ▼a 371.33463 ▼2 23
085 ▼a 371.33463 ▼2 DDCK
090 ▼a 371.33463 ▼b 2022z4
245 2 0 ▼a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 = ▼x Future education / ▼d 정대홍 [외]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2
300 ▼a 298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3 cm
500 ▼a 공저자: 정대홍, 조영환, 임철일, 손미현, 김민성, 이상일, 김선희, 류나영, 김기택, 이병민, 성민창, 성상환, 이옥선, 박재범, 이경화, 유연주, 조정효, 문공주, 박동열, 모경환, 강은희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정대홍, ▼e
700 1 ▼a 조영환, ▼e
700 1 ▼a 임철일, ▼e
700 1 ▼a 손미현, ▼e
700 1 ▼a 김민성, ▼e
700 1 ▼a 이상일, ▼e
700 1 ▼a 김선희, ▼e
700 1 ▼a 류나영, ▼e
700 1 ▼a 김기택, ▼e
700 1 ▼a 이병민, ▼e
700 1 ▼a 성민창, ▼e
700 1 ▼a 성상환, ▼e
700 1 ▼a 이옥선, ▼e
700 1 ▼a 박재범, ▼e
700 1 ▼a 이경화, ▼e
700 1 ▼a 유연주, ▼e
700 1 ▼a 조정효, ▼e
700 1 ▼a 문공주, ▼e
700 1 ▼a 박동열, ▼e
700 1 ▼a 모경환, ▼e
700 1 ▼a 강은희,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3463 2022z4 Accession No. 11187455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 개의 주제로 구성된 교재다.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이라는 주제로, 범교과적으로 미래 교육 및 교사의 수업 설계 등에 대해서 다뤘다. 또 다른 주제는 “인공지능과 교과 교육”이다. 외국어, 지리, 수학, 과학, 체육의 각 교과에서 인공지능 및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교실 수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의 한계와 함의”를 주제로, 4차 산업혁명으로 통칭되는 현재의 인공지능 기술을 바라보는 사회학적 관점을 정리하고, 교육적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를 다루었다. 더불어 현재 인공지능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실험과 논의들에 대한 냉철한 평가와 인간 주체성 회복을 위한 교육적 성찰을 제안했다.

교육은 미래 세대를 기르는 임무를 맡고 있다. 지금 당장 필요한 능력은 물론, 변화하는 미래에 대비한 역량을 기르고, 그 미래를 이끌 세대를 기르는 것이 교육이다. 우리가 맞고 있는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급격한 변화는 교육을 책임진 많은 구성원에게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 현재 변화의 모습은 무엇이고, 새로운 변화는 어디를 향해가고 있으며, 그래서 우리는 미래 세대를 어떻게 교육해야 하며, 그들이 갖춰야 할 역량은 뭘까. 그러한 변화를 활용한 보다 나은 교육과 학습은 어떤 것이며 어떻게 해야 가능할까. 이러한 관심과 질문은 수학이나 과학과 같은 특정 교과나 영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이 배우고 익히는 모든 교과에서 전면적 종합적으로 질문을 던지고 방향을 찾고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
그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책은 세 개의 영역으로 구성했다. 하나는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이라는 주제로, 범교과적으로 미래 교육 및 교사의 수업 설계 등에 대해서 다뤘다. 또 다른 주제는 “인공지능과 교과 교육”이다. 외국어, 지리, 수학, 과학, 체육의 각 교과에서 인공지능 및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교실 수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의 한계와 함의”를 주제로, 4차 산업혁명으로 통칭되는 현재의 인공지능 기술을 바라보는 사회학적 관점을 정리하고, 교육적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를 다루었다. 더불어 현재 인공지능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실험과 논의들에 대한 냉철한 평가와 인간 주체성 회복을 위한 교육적 성찰을 제안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임철일(지은이)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석사) ∙ 미국 Indiana University대학원 교수체제공학과(Ph. D.) [경력] LG화학 인재개발팀 / 숭실대학교 교수 / 중앙공무원교육원 객원교수 / 한국교육공학회 회장 / 한국기업교육학회 회장 / 서울대학교 교육부처장, 교수학습개발센터 소장 / 서울대학교 교육행정연수원장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저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기술(공역) /교수설계이론과 모형 / 원격교육과 사이버교육 활용의 이해 / 웹기반교육(편저) / 교수설계이론과 모형(공역) / 교육공학의 원리와 적용(공저) / 교육공학(공저) / 원격교육론(공저)

모경환(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졸업 미국 UC Berkeley 교육학과 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

이병민(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에서 외국어(영어)교육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호서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를 거쳐 2001년부터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며 언어교육원 외국어교육센터 소장 및 교육종합연구원 연구조정실장을 맡고 있다.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심의위원, 자체평가위원회 평가위원, 전문대학원 심의위원, 서울시교육청 외국어교육정책자문위원장을 역임했고,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영어사교육포럼 대표를 맡고 있다. 10여 년에 걸쳐서 대표 저자로 초·중고등학교 영어 교과서를 집필했고, 『어린이 영어교육』 『어린이 영어교육 2』『학교공부 바로하기』『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I』『아깝다, 영어 헛고생』 『영어, 내 마음의 식민주의』『좌우파 사전』『굿바이 영어 사교육』『세상을 바꿔라』 등을 공동 집필했다. 번역한 책으로 『외국어교수 학습·교수의 원리』『어떻게 가르칠 것인가』가 있다. 오랫동안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운다는 것에 대해 학문적·이론적으로 천착해왔으며, 광풍이라 부를만한 우리 사회의 영어 과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행보 또한 게을리하지 않고 있다.

이상일(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지도학, GIS, 공간통계학, 인구지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지도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지리학회 회장이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도학 관련 번역서로 『지구 끝까지: 세상을 바꾼 100장의 지도』와 『지도학과 지리적 시각화』(공역)가 있다. 지도 투영, 지리적 시각화, 지도학사에 깊은 관심이 있으며, 관련 논문을 학술지에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성상환(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 교수

조영환(지은이)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문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석사) ∙ 미국 University of Missouri 대학원 정보과학 및 학습공학(Ph.D.) [경력] 싱가포르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선임연구원 / 한국교육공학회 상임이사 / 서울대학교 교육행정연수원 부장교수 / Asia-Pacific Education Review 편집이사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저서] 테크놀로지와 함께하는 유의미학습(공역) / Authentic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in the 21st Century: Perspectives from Singapore and beyond(편저) /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공저) / 문제해결과 학습 디자인: David H. Jonassen 교수님의 연구를 되돌아보며(편저)

이경화(지은이)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이며, 수학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과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 수학적 창의성 함양을 위한 과제 설계와 실행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정대홍(지은이)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교수 |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박사 서울대학교 AIEDAP 사업단 부단장 |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교과군 교육과정 구성방안 정책연구 책임자 | 서울대학교 시흥영재교육원장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2016) 저서: &lt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gt(교육과학사), &lt고등학교 화학&gt(미래엔), &lt고등학교 통합과학&gt(금성)

손미현(지은이)

서울대학교 미래혁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박사 서울 무학중학교 교사 |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연구위원 | 2022 개정 교육과정 개정추진위원회 위원 | 과기정통부 미래특별인재위원회 위원 2016 올해의 과학교사상 수상 | STEAM 우수교사 교육부장관상 저서: &lt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gt(교육과학사), &lt미래직업 다이어리2&gt(다빈치books), &lt인공지능 FOR 클래스룸&gt(다빈치books), &lt고등학교 통합과학&gt(금성)

박재범(지은이)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에서 운동 역학 및 신경 역학에 관해 연구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메릴랜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 과정 동안 인체 중추신경계의 제어 기전에 관해 연구했다. 이후 펜실베니아대학교, 몬타나대학교에서 연구교수와 교수로 재직했다.

김민성(지은이)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김선희(지은이)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 조교수

류나영(지은이)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아시아학과 조교수

김기택(지은이)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부교수

성민창(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및 동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 영어교육학 박사 (현) 경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이옥선(지은이)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유연주(지은이)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조정효(지은이)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조교수

문공주(지은이)

동덕여자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박동열(지은이)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 교수

강은희(지은이)

서울대학교 미래치의학센터 연구조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Part 1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 교육
Chapter 1 교육적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
Chapter 2 인공지능과 교사 그리고 수업 설계
Chapter 3 역량을 키우는 교실 수업 설계자

Part 2 인공지능과 교과 교육
Chapter 4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과 지리 교수학습 전략
Chapter 5 인공지능 시대의 외국어 교육
Chapter 6 인공지능 챗봇과 외국어 학습
Chapter 7 인공지능 기술 발달과 수학교육의 변화
Chapter 8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
Chapter 9 인공지능 활용 체육수업의 환형과 과제

Part 3 인공지능의 한계화 함의
Chapter 10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교육과 윤리
Chapter 11 인공지능, 이 새로운 교육 환경을 어떻게 볼 것인가?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