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565 | |
005 | 20230119122953 | |
007 | ta | |
008 | 230119s2022 ggka b 000c kor | |
020 | ▼a 9788963475288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6581371 | |
040 | ▼a 211032 ▼c 211032 ▼d 211009 | |
082 | 0 4 | ▼a 303.483 ▼2 23 |
085 | ▼a 303.483 ▼2 DDCK | |
090 | ▼a 303.483 ▼b 2022z22 | |
100 | 1 | ▼a 홍성태, ▼g 洪性泰, ▼d 1965- ▼0 AUTH(211009)93937 |
245 | 1 0 | ▼a 디지털 문화의 세계 = ▼x The world of digital culture / ▼d 홍성태 지음 |
246 | 3 1 | ▼a World of digital culture |
260 | ▼a 과천 : ▼b 진인진, ▼c 2022 | |
300 | ▼a 232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27-232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3 2022z22 | 등록번호 1118745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홍성태(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석사는 환경운동에 대해, 박사는 정보사회에 대해 전공했다. 2006년 3월부터 현재까지 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1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상지대학교 교양과 교수로 재직했다. 저서로는 『생태문화도시 서울을 찾아서』(2005), 『개발주의를 비판한다』(2007), 『토건국가를 개혁하라』(2011), 『사회로 읽는 건축』(2012), 『서울의 개혁』(2014), 『김진균 평전』(2014), 『서울 산책』(2017), 『사고사회 한국』(2017), 『생태복지국가를 향하여』(2019)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7 1부 디지털 문화의 기초 11 1장 디지털의 시대 13 디지털의 유행 13 디지털의 뜻은? 14 디지털과 전기-전자 기술 15 2장 사이버의 이해 23 사이버의 확산 23 사이버네틱스 24 사이보그의 꿈 28 3장 컴퓨터는 힘이 세다 35 컴퓨터의 뜻 35 현대 컴퓨터의 형성 37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43 컴퓨터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나? 49 인공지능의 희망과 현실 55 4장 인터넷이라는 신대륙 61 인터넷의 뜻 61 전신에서 TV으로 63 메멕스에서 아르파넷으로 66 TCP/IP와 WWW 71 망 중립성과 망 사용료 76 2부 디지털 문화의 실제 79 5장 표현 문화 81 표현과 매체 81 시각 문화 87 청각 문화 98 문자 문화 104 6장 게임 문화 113 게임의 이해 113 컴퓨터와 게임 115 컴퓨터 게임의 발전 119 컴퓨터 게임의 현황 122 7장 소통 문화 127 소통의 의미 127 디지털 기술과 소통 130 디지털 소통의 방식 133 디지털 소통의 전개 137 디지털 소통의 과제 143 8장 소설, 만화, 영화 151 상상, 표상, 인식 151 문예 155 만화 163 영화 170 3부 디지털 문화의 전망 177 9장 디지털 문화의 이론 179 매체 기술의 발전 179 과학적 인식의 발전 181 기술의 발전 183 사회론의 맥락 185 매체론의 맥락 188 문화론의 맥락 191 기술과 문화에 대해 196 10장 디지털 문화의 전망 199 디지털 기술의 전망 199 기술 현실주의(techno-realism) 201 디지털 문화의 전망 204 6대 기술과 4대 문제 208 디지털 윤리의 중요성 212 멋진 정보사회를 향해 216 부록 219 참고자료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