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디지털 기술 시대의 영화미학

디지털 기술 시대의 영화미학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주봉, 1967-
Title Statement
디지털 기술 시대의 영화미학 = Cinema aesthetic in the digital age / 이주봉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하남 :   박이정,   2022  
Physical Medium
282 p. : 천연색삽화 ; 23 cm
ISBN
979115848801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76-28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9563
005 20230119112637
007 ta
008 230119s2022 ggka b 000c kor
020 ▼a 9791158488017 ▼g 93680
035 ▼a (KERIS)BIB000016360330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791.4301 ▼2 23
085 ▼a 791.4301 ▼2 DDCK
090 ▼a 791.4301 ▼b 2022z1
100 1 ▼a 이주봉, ▼d 1967- ▼0 AUTH(211009)149121
245 1 0 ▼a 디지털 기술 시대의 영화미학 = ▼x Cinema aesthetic in the digital age / ▼d 이주봉 지음
260 ▼a 하남 : ▼b 박이정, ▼c 2022
300 ▼a 282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276-282
536 ▼a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2019S1A5B8099559)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1 2022z1 Accession No. 1118745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디지털 기술 시대의 영화 관객이 영화·영상을 대하는 태도, 즉 수용자인 관객들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경험 변화와 그 지각 방식의 변화 등을 배경으로, 디지털 영화의 미학적 특성을 여섯 가지 개념을 중심에 두고 글을 풀어낸다.

마지막 챕터에서는 디지털 기술 시대의 방송콘텐츠인 드라마의 영상미학 또한 일별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이 책에서는 디지털 영화 미학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영화미학이 디지털 영상콘텐츠에서 만날 수 있는 일반적인 영상미학 현상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책에서는 디지털 기술 시대의 영화 관객이 영화·영상을 대하는 태도, 즉 수용자인 관객들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경험 변화와 그 지각 방식의 변화 등을 배경으로, 디지털 영화의 미학적 특성을 여섯 가지 개념을 중심에 두고 글을 풀어내고 있다. ‘감성적 지각(aisthesis)’, ‘다중미디어 재매개 현상’, ‘미장아빔(mise-en-abyme)’, ‘아날로그 노스탤지어(analog nostalgia)’, ‘이미지의 피상성(Oberflachlichkeit, surface)’, ‘스펙터클(spectacle) 이미지 경험’ 등이 그것이다. 이처럼 이 책에서 다루는 디지털 기술 시대의 영화미학의 특성을 매 챕터에서 하나의 개념을 중심에 두고, 이 개념이 갖는 의미를 당대 대중영화를 예시로 분석하면서 디지털 영화의 미학적 특성과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다만 마지막 챕터에서는 –OTT로 대변되는 관람플랫폼의 다변화라는 맥락에 부합하기도 한데 –디지털 기술 시대의 방송콘텐츠인 드라마의 영상미학 또한 일별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이 책에서는 디지털 영화 미학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영화미학이 디지털 영상콘텐츠에서 만날 수 있는 일반적인 영상미학 현상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주봉(지은이)

국립군산대학교 미디어문화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사 및 석사학위 취득 후, 독일 오스나브뤼크(Osnabruck) 대학교에서 독일영화 연구로 석사(MA) 및 박사학위(Ph.D.) 취득. 현재 군산대학교 미디어연구소 소장, 한국영화학회 상임이사, 한국방송학회 영상연구회 회장, 한국브레히트학회 부회장 등 학술 활동 이외에도, 무주산골영화제 집행위원, 전라북도 콘텐츠융합진흥원 이사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이 이외에 전북 독립영화제 프로그래머, 독일 오스나브뤼크 국제독립영화제 및 오스나브뤼크 문화공간 라거할레 영화분과 프로그래머(명예직)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로는, 「근대적 영화관람문화의 등장과 공론장으로서의 영화관」, 「어트랙션 공간으로서 초기영화기 상영공간과 영화경험」, 「사운드기술 도입에 따른 독일 우파영화사(Ufa)의 영화전략」, 「뉴밀레니엄 전환기의 독일영화」, 「<마더>에 나타난 영화의 성찰성」, 「리얼리즘 영화스타일의 한 경향에 대하여」, 「꿈 공장으로서 영화」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영화사와 영화스타일 연구를 바탕으로 독일영화사, 미디어고고학, 디지털 영화 등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1장.
감성적 지각대상으로서 디지털 영화
1. 디지털 기술의 도입과 영화의 변화
2. 디지털 기술 시대의 육체화된 지각 작용:
촉각 중심의 감성적 지각
3. 〈아티스트〉, 사운드의 향연, 그리고 감성적 영화 체험
4. 디지털 영화현실: 가상과 현실 사이의 가변적 세계
5. 디지털 영화로서 〈아티스트〉

2장.
멀티미디어 시대의 다중미디어 재현전략과 영화미학
1. 영화 생태계의 변화와 다중미디어 재현방식
2. 멀티미디어 시대 대중영화 속 ‘재매개의 이중 논리’
3. 〈아메리칸 뷰티〉: 다중미디어 재현방식에 의한 구성
4. 관객의 감각적 영화 경험 _
5. 영화 현실의 가변성과 영화의 재목적화
6. 디지털 영화미학을 선취한 〈아메리칸 뷰티〉

3장.
디지털 영화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서 미장아빔의 미학
1. 디지털 전환 시대의 영화
2. 미장아빔과 디지털 영화의 커뮤니케이션 변화
3. 미장아빔과 스펙터클, 그리고 디지털 몰입:
〈킹 아서: 제왕의 검〉과 〈서치〉의 경우
4. 감성적 지각 체험 현상으로서 영화보기
5. 디지털 기술 시대의 영화 커뮤니케이션

4장.
디지털 영화미학으로서 아날로그 노스탤지어
1. 디지털 영화의 아날로그 노스탤지어 현상
2. 〈에놀라 홈즈〉:
다중미디어 재현방식과 아날로그 노스탤지어
3. 재매개의 이중논리와 컨버전스 미디어로서 디지털 영화
4. 아날로그 노스탤지어와 정동적(affective) 영화경험
5. 디지털 영화미학으로서 아날로그 노스탤지어 현상

5장.
디지털 영화 이미지의 피상성과 탈선형적 영화미학
1. 디지털 전환기 영화 이미지의 피상성
2. 스펙터클 이미지의 피상성과 ‘구성적 해체’ 경향
3. 컨버전스 영화, 〈빅쇼트〉의 재매개 현상과
탈연속적 이미지 구성
4. 탈선형적 영화 세계의 리좀형 현실 구성
5. 이미지 피상성의 영화미학

6장.
스펙터클 영상 경험공간으로서 디지털 방송콘텐츠
1. 다중미디어 플랫폼 시대 내러티브 콘텐츠 영상의 변화
2. 디지털 영상콘텐츠의 스펙터클 이미지와 재매개의 논리
3. 〈별에서 온 그대〉 에필로그의 양식화된 영상스타일
4. 비매개 전략으로서 〈별에서 온 그대〉의 에필로그 영상
5. 〈별에서 온 그대〉 에필로그 속 하이퍼매개의 매혹
6. 이미지의 과잉: 스펙터클과 어트랙션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
국가기록원. 서비스정책과 (2022)
Duras, Marguerite (2022)
四方田太彦 (2022)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22)
Eaghll, Tenza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