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561 | |
005 | 20230119111238 | |
007 | ta | |
008 | 230119s2022 ulkad b 000a kor | |
020 | ▼a 9788957116609 ▼g 930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2.23083 ▼2 23 |
085 | ▼a 302.23083 ▼2 DDCK | |
090 | ▼a 302.23083 ▼b 2022 | |
100 | 1 | ▼a 이원섭 |
245 | 1 0 | ▼a 어린이와 미디어 리터리시 / ▼d 이원섭, ▼e 조재희, ▼e 최지선 |
260 | ▼a 서울 : ▼b 한국언론진흥재단, ▼c 2022 | |
300 | ▼a 196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연구서 ; ▼v 2022-04 |
504 | ▼a 참고문헌: p. 189-196 | |
536 | ▼a 이 보고서는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음 | |
700 | 1 | ▼a 조재희, ▼e 저 |
700 | 1 | ▼a 최지선, ▼e 저 |
830 | 0 | ▼a 연구서 (한국언론진흥재단) ; ▼v 2022-04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083 2022 | 등록번호 1118745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083 2022 | 등록번호 5110573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초등학생 어린이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진단하고, 미국, 프랑스, 핀란드, 호주 등 해외 사례와 초등학생과 부모 대상의 설문조사, 학생과 부모, 교사·강사와의 포커스그룹인터뷰(FGI),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어린이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오늘날 아동・청소년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둘러싸여 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로 대표되는 디지털 미디어는 이들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주면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 미디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청소년,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어린이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진단하고, 미국, 프랑스, 핀란드, 호주 등 해외 사례와 초등학생과 부모 대상의 설문조사, 학생과 부모, 교사・강사와의 포커스그룹인터뷰(FGI),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어린이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정보제공 :

목차
01.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 방법 및 연구서 구성 02. 해외 어린이 미디어 이용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1. 미국 어린이 미디어 이용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 프랑스의 어린이 미디어 이용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3. 핀란드의 어린이 미디어 이용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4. 호주의 어린이 미디어 이용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5. 해외 어린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시사점 03. 어린이 미디어 리터러시 활성화 방안 1. 심층인터뷰와 전문가 자문 진행절차 2. 심층인터뷰 참여자 3. 심층인터뷰 결과 4. 전문가 자문 결과 04. 어린이 미디어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 1.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과 구성 요소 2. 어린이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 3. 어린이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 구성 요소 4. 어린이 수준별 미디어 리터러시 필요 역량 5. 소결 05. 어린이와 학부모 대상 설문조사 결과 1. 초등학생 설문조사 개요 2. 초등학생 설문조사 결과 3. 초등학생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소결 4. 학부모 설문조사 개요 5. 학부모 설문조사 결과 6. 학부모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소결 7. 학부모와 자녀의 인식 차이 비교 결과 8. 학부모와 자녀의 인식 차이 비교 결과에 대한 소결 06. 연구결과 요약 및 제언 1. 연구의 요약 2.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