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560 | |
005 | 20230119110640 | |
007 | ta | |
008 | 230119s2022 ulkad 000c kor | |
020 | ▼a 9788947548694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6592778 | |
040 | ▼a 244009 ▼c 244009 ▼d 211009 | |
082 | 0 4 | ▼a 330.952 ▼2 23 |
085 | ▼a 330.952 ▼2 DDCK | |
090 | ▼a 330.952 ▼b 2022z4 | |
100 | 1 | ▼a 정영효 |
245 | 1 0 | ▼a 일본이 흔들린다 : ▼b 경제, 정책, 산업, 인구로 살펴본 일본의 현재와 미래 / ▼d 정영효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경제신문, ▼c 2022 | |
300 | ▼a 311 p. : ▼b 삽화, 도표 ; ▼c 22 cm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0.952 2022z4 | Accession No. 111874541 | Availability Mi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0.952 2022z4 | Accession No. 11187643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일본의 1인당 GDP 10년 새 급감, 사법·인권·환경 후진국, 뒤처진 디지털 기술력, 휘청이는 교육경쟁력, 국제경쟁력 전 분야서 후퇴 등 일본은 선진국이라고 보기 힘든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일본은 왜 이렇게 추락하고 있는 것일까?
《일본이 흔들린다》는 엔화 가치가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전방위 후진국’이 됐다는 평가를 받는 일본의 근본적인 문제와 쇠락의 신호들을 경제, 정책, 산업, 인구 문제를 통해 들여다본다. 이는 일본만이 처한 위기가 아닌 한국 역시 겪고 있는 문제이거나 맞이할 미래이기 때문에 눈여겨볼 만하다.
이 책의 저자는 한국경제신문 기자로 연수와 특파원 생활을 하는 동안 일본의 변화를 유심히 살피며 기록해왔다. 이를 토대로 일본 정부의 통계, 이를 해석한 전문가 보고서, 언론 해설 기사 등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예전 같지 않은 일본의 현재와 그 원인을 객관적으로 진단한다. 또한 한·일 양국이 과거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원팀이 되어야 탈꼴찌 경쟁이 아닌 1등 경쟁을 펼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눈 깜짝할 사이 후진국이 됐다”
일본은 왜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쇠퇴하고 있는가?
일본의 1인당 GDP 10년 새 급감, 사법·인권·환경 후진국, 뒤처진 디지털 기술력, 휘청이는 교육경쟁력, 국제경쟁력 전 분야서 후퇴 등 일본은 선진국이라고 보기 힘든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일본은 왜 이렇게 추락하고 있는 것일까?
《일본이 흔들린다》는 엔화 가치가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전방위 후진국’이 됐다는 평가를 받는 일본의 근본적인 문제와 쇠락의 신호들을 경제, 정책, 산업, 인구 문제를 통해 들여다본다. 이는 일본만이 처한 위기가 아닌 한국 역시 겪고 있는 문제이거나 맞이할 미래이기 때문에 눈여겨볼 만하다.
이 책의 저자는 한국경제신문 기자로 연수와 특파원 생활을 하는 동안 일본의 변화를 유심히 살피며 기록해왔다. 이를 토대로 일본 정부의 통계, 이를 해석한 전문가 보고서, 언론 해설 기사 등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예전 같지 않은 일본의 현재와 그 원인을 객관적으로 진단한다. 또한 한·일 양국이 과거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원팀이 되어야 탈꼴찌 경쟁이 아닌 1등 경쟁을 펼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엔저 악몽, 휘청이는 기업, 무기력한 사회 분위기까지
냉철한 분석과 객관적 통계로 일본 읽기
일본은 거품경제 붕괴 후 제로 금리, 디플레이션, 저출산·고령화 등으로 장기화한 경기 침체를 겪으면서 ‘잃어버린 30년’의 시대를 살고 있다. 엔화 가치가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나쁜 엔저’ 현상으로 물가 인상 고통도 가중되고 있다. 최근 일본경제의 최고 권위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하라다 유타카 나고야상과대 비즈니스스쿨 교수가 “지금 일본은 청나라 말기를 닮았다”라고 주장해 일본 사회에 충격을 던졌다. 어쩌다 일본이 몰락의 문턱에 섰다는 위기론까지 나오게 된 것일까? 이 책은 일본이 겪고 있는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과 쇠락의 신호들을 경제, 정책, 산업, 인구 문제를 통해 들여다본다. 구조조정, 산업 체질 개선, 낡은 규제 폐지 등을 회피해왔고. 특유의 폐쇄적인 문화 때문에 기술 혁신 시기를 놓친 결과, 일본경제가 휘청거리는 것이라 진단한다. 또한 이러한 영향으로 일본경제의 활력이 저하됨에 따라 안전자산으로 믿고 있던 엔화 불패의 신화도 흔들린다는 분석도 들려준다.
일본 위기론은 수십 년간 반복되었지만, 체계적인 자료에 근거해 일본이 정말 한물갔는지 따지고 든 책은 거의 없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의 저자는 각종 경제지표와 통계, 구체적인 사례, 현장 취재를 근거로 일본 위기론을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며 일본이 위기를 맞고, 대응에 실패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한국경제신문 도쿄 특파원이
심층 취재와 경제지표로 들여다본 일본의 쇠락과 부활!
이 책의 저자는 한국경제신문 기자로 연수와 특파원 생활을 하는 동안 매일같이 ‘일본의 변화’를 기록해왔다. 이를 토대로 일본 정부의 통계, 이를 해석한 전문가 보고서, 언론 해설 기사 등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예전 같지 않은 일본의 현재와 그 원인을 객관적으로 살펴봤다. 이 책은 그 결과물로 크게 네 개 Part로 구성되어 있다.
Part 1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일본 통치 구조의 약점이 노출되며 ‘눈 깜짝할 사이 후진국’이 된 상황을 다양한 통계와 소비시장의 변화 등으로 설명한다. Part2에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장 높은 규모의 ‘코로나 예산’을 쏟아붓고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느린 회복 속도, 세계에서 가장 앞서 ‘전자정부’를 구상하고도 팩스와 플로피 디스크로 업무를 보는 관공서 등 일본 정부와 행정 서비스의 패착을 짚었다. Part3은 1990년대까지 세계를 석권했던 일본 대기업들이 무너져 내리는 장면을 추적했으며 Part 4는 일본의 인구 문제를 다뤘다. 아이 울음소리가 사라지고, 노인들만 남는 것이 한 나라를 어떻게 시름시름 앓게 하는지 직접 현장을 찾아다니며 기록했다.
한국과 일본, 원팀이
탈꼴찌 경쟁이 아닌 1등 경쟁을 만든다
이 책의 저자는 일본의 추락을 나타내는 통계, 한국이 일본을 따라잡은 순위표를 보여주는 건 일본을 깎아내리기 위한 목적이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 일본이 저지른 실수를 반면교사 삼아 한국 정부와 기업이 시행착오를 줄이고 올바른 방향을 도출해내서 일본이 빠진 장기 저성장의 늪을 피해 가는 데 일조가 되는 것이 이 책의 취지다. 더 나아가 ‘한국과 일본 두 나라가 험난한 미래에 함께 대처할 수는 없을까?’라는 화두를 던진다. 미국과 중국의 틈바구니에서 한국과 일본이 단순한 경제 협력 이상으로 간절하게 손잡지 않으면 안 되는 때가 10~20년 앞으로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수출제조업 국가 한국이 살아남으려면 일본의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이 필수이고 일본은 한국의 디지털 경쟁력 없이 미래가 없으므로 한·일 원팀은 드림팀이 될 수 있다.
저자는 한·일 양국이 과거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덜 못하기 경쟁이 아니라 누가 더 잘하는지 경쟁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일 모델을 만들어 환경 분야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경쟁, 탈석탄 사회를 실현하면서 강한 제조업 역량을 유지하는 경쟁, 개발도상국을 원조하는 경쟁 등 양국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전문가의 제안도 들려준다. 이를 통해 한·일 원팀이 당장 미국과 중국 수준의 초강대국이 되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적어도 미국과 중국에 뒤지지 않는 선진국이 될 것이라는 확신을 하게 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글 Part1 엔화의 안전자산 신화가 무너지고 있다:경제와 증시 01 선진국 꼴찌로 밀려나는 일본의 한탄 018 02 해외로 빠져나가는 일본의 부 026 03 약한 일본경제의 상징이 된 엔저 035 04 엔화의 기축통화 탈락 시그널 043 05 해외여행을 무섭게 만든 디플레에 엔저 ‘이중고 ’ 050 06 무섭게 추락하는 일본증시의 위상 055 07 ‘일본주식 사라’고 해도 투자가들은 왜 안 믿을까 061 08 일본 자금이 일본을 외면한다 068 09 일본의 개인투자 비율이 반토막 난 이유 071 [Special Interview]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075 Part2 20세기에 머물러 있는 정부, 거꾸로 가는 정책:정부와 정책 01 아베노믹스로 가난해진 일본 084 02 ‘나쁜 엔저’라도 일본은행은 움직이지 못한다 090 03 중국이 일본의 등골을 빼내 부자 됐다? 095 04 반도체 업체 엘피다는 왜 몰락했는가 103 05 일본 관공서의 입력법이 1,700가지인 이유 108 06 ‘하울의 움직이는 성’이 된 정부 시스템 113 07 전 세계 꼴찌, 일본의 디지털 교육 119 08 일본에 최악이 될 중국의 대만 병합 시나리오 123 [Special Interview] 탈꼴찌 경쟁을 넘어 1등 경쟁으로 128 Part3 지나간 옛 노래가 된 ‘재팬 넘버원’:기업과 산업 01 세상에서 제일 쓸 데 있는 일본 걱정 138 02 월급쟁이가 건물주를 걱정하는 또 다른 이유 146 03 일본의 ‘잃어버린 50년’이 온다 151 04 일본인들은 왜 1엔만 비싸도 떨게 됐을까 156 05 갈라파고스 일본, 기술에서 이기고 사업에서 지다 162 06 이익만 챙기는 일본기업, 돈 안 쓰는 일본인 168 07 일본만 고집하는 ‘쇼와모델’ 173 08 300% 성장한 교토기업, 제자리에 머문 도쿄기업 179 09 일본 전자회사 매출은 왜 10조를 넘지 못했을까 184 10 일본이 디지털 후진국으로 추락한 이유 189 11 2050년 자동차시장이 반토막 난다 196 12 전기차로 전환하는 일본 자동차회사 202 13 해외에 팔리는 일본의 자부심 214 14 일본 산업부흥의 첫걸음, 도시바 분할 222 [Special Interview] ‘서울 집중’이 한국의 최대 리스크 229 Part4 나이 들고 무기력한 나라의 우울한 미래:인구와 사회 01 모든 분야에서 약해진 일본 236 02 상승 욕구가 사라진 것이 가장 큰 리스크다 240 03 164개 마을은 왜 사라졌을까 247 04 일본의 생산인구가 줄고 있다 254 05 일본 인구수 붕괴의 가속화 258 06 114년 만에 징역형이 없어진 이유 262 07 서울보다 저렴한 도쿄 지하철의 어린이 요금 267 08 나무마저 늙어간다, 심각한 일본의 고령화 272 09 일본은 왜 핸드드라이어 금지국이 되었을까 277 10 사장님께 인사하듯 찍는 결재도장 281 11 택배 배송도 멈추게 만든 기업의 검사 조작 286 12 임종 준비하는 일본의 마을 293 [Special Interview] 망해가는 청나라 말기와 닮은 일본 297 나가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