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517 | |
005 | 20230119094100 | |
007 | ta | |
008 | 230118s2022 ggka b 000c kor | |
020 | ▼a 9791158666880 ▼g 94080 | |
020 | 1 | ▼a 9791186178072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375346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951.902 ▼2 23 |
085 | ▼a 953.05 ▼2 DDCK | |
090 | ▼a 953.05 ▼b 2015z13 ▼c 24 | |
100 | 1 | ▼a 이후남, ▼g 李厚男 |
245 | 1 0 | ▼a 한국 고전소설의 요괴 / ▼d 이후남 지음 |
260 | ▼a 성남 : ▼b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c 2022 | |
300 | ▼a 390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장서각한국사강의 ; ▼v 24 |
500 | ▼a 부록: 1.한국 고전소설 76편 속 요괴 현황, 2.한국 고전소설 속 요괴 이미지 | |
504 | ▼a 참고문헌: p. 379-390 | |
536 | ▼a 이 책은 2018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 21세기 장서각 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
830 | 0 | ▼a 장서각한국사강의 ; ▼v 24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 2015z13 24 | 등록번호 11187452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5-19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요괴 혹은 요괴 퇴치담을 중심으로 「최고운전」, 「금방울전」, 「명주보월빙」 등 한국 고전소설 76편에 등장하는 요괴 서사를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한국형 요괴학의 시작을 알리고, 더 나아가 요괴 서사 연구를 통해 한국 고전소설사의 지평을 열고자 한다. 또한 설화와 대별되는 고전소설만의 요괴 서사 특징을 밝히고, 당대 고전소설 향유층의 요괴 인식과 그 의미를 고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요괴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문화콘텐츠로써 요괴 활용 가능성에 대해 살폈다.
요괴는 기본적으로 신성과 마성이라는 양면성을 지닌다. 인간은 요괴의 신성과 마성을 접하면서 요괴에게 도움을 받거나 해를 입는다. 결국 요괴는 인간세계에서 동떨어진 존재가 아닌, 인간과 친숙한 존재이다. 그렇기에 요괴는 그 실존 여부를 떠나 끊임없이 언급되고 있다. 전통시대 이래로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요괴에 대한 고찰은 인간의 경계심과 공포, 욕망 등 인간의 상상력에 대한 연구이자, 문화현상으로서의 요괴를 탐구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갖는다. 이 책은 요괴 혹은 요괴 퇴치담을 중심으로 「최고운전」, 「금방울전」, 「명주보월빙」 등 한국 고전소설 76편에 등장하는 요괴 서사를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한국형 요괴학의 시작을 알리고, 더 나아가 요괴 서사 연구를 통해 한국 고전소설사의 지평을 열고자 한다. 먼저 한국 고전소설 속 요괴 서사를 7가지 관점에서 다루었다. 우선 ‘요괴’라는 용어에 대한 학술적 개념을 정의하고, 각 작품별 요괴 서사 단락을 ‘요괴의 등장-요괴의 작란-요괴의 퇴치’로 이어지는 3단계로 정리했다. 그리고 빈도 및 중요도에 따라 요괴 정체를 ‘여우, 용·뱀, 돼지·원숭이, 나무, 기타 동물 및 무생물, 정체 미상’으로 분류한 뒤, 요괴의 정체 변신 유무를 기준으로 ‘정체 유지 유형’과 ‘인간 변신 유형’으로 서사 유형을 나누었다. 또한 설화와 대별되는 고전소설만의 요괴 서사 특징을 밝히고, 당대 고전소설 향유층의 요괴 인식과 그 의미를 고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요괴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문화콘텐츠로써 요괴 활용 가능성에 대해 살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1장 서론 1. 요괴 연구의 필요성과 가치 2. 요괴에 대한 논의 2장 요괴의 개념과 연구 대상 1. 요괴의 개념 2. 연구 대상 3장 요괴 서사 단락 1. 한문소설 2. 국문 중단편소설 3. 국문 대장편소설 4장 요괴의 정체 분류 1. 여우 2. 용·뱀 3. 돼지·원숭이 4. 나무 5. 기타 동물 및 무생물 6. 정체 미상 5장 요괴 서사의 유형 1. 정체 유지 유형 2. 인간 변신 유형 6장 요괴 서사의 특징 1. 요괴의 작란 행태 다양화 2. 요괴와 인간의 전세 악연 설정 3. 무력 퇴치를 통한 요괴 배척 4. 감화 퇴치를 통한 요괴 재인식 5. 요괴의 부활 가능성 제시 7장 요괴 서사를 통해 본 요괴 인식과 의미 8장 결론 1. 요괴 연구에 대한 이해 2.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매체 변용 가능성 부록 1. 한국 고전소설 76편 속 요괴 현황 부록 2. 한국 고전소설 속 요괴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