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515 | |
005 | 20230119092201 | |
007 | ta | |
008 | 230118s2022 ggkad b 000c kor | |
020 | ▼a 9791168015289 ▼g 93330 | |
035 | ▼a (KERIS)BIB000016364307 | |
040 | ▼a 247017 ▼c 247017 ▼d 211009 | |
082 | 0 4 | ▼a 342.08/53 ▼a 323.44 ▼2 23 |
085 | ▼a 342.0853 ▼2 DDCK | |
090 | ▼a 342.0853 ▼b 2022 | |
100 | 1 | ▼a 이정기, ▼g 李灯奇, ▼d 1981- ▼0 AUTH(211009)135130 |
245 | 1 0 | ▼a 표현의 자유 확장을 위한 논리 = ▼x Logic for expanding freedom of expression : ▼b 나와 타인, 모두의 권리를 위하여 / ▼d 이정기 지음 |
260 | ▼a 파주 : ▼b 이담북스, ▼c 2022 | |
300 | ▼a 411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90-411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2.0853 2022 | Accession No. 11187451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헌법 제21조 1항은 우리 모두에게 표현의 자유가 있음을 명시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충분하고 적절한 표현의 자유를 누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소수자의 표현을 제한하지 않는 공적 환경을 만들고, 표현의 자유를 한 단계 확장하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은 무엇일까?
모든 이에겐 언론, 출판의 자유와 집회, 결사의 자유가 있다.
헌법 제21조 1항은 우리 모두에게 표현의 자유가 있음을 명시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충분하고 적절한 표현의 자유를 누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보수 정권의 언론인 해고, 소수자나 특정 정치 집단을 향한 혐오 표현의 만연, 대중문화 속 풍자와 패러디에 대한 고발, 성 소수자 광고에 대한 규제, 공익 제보자의 현실, 정권마다 야당 지지자가 느껴는 두려움 등, 여전히 우리 주변에는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는 요소들이 상당하다. 이들은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우리의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을까? 그리고 어떻게 하면 이 장애물들을 걷어내고, 좀 더 자유롭고 건전하고 공정하게 서로의 생각을 나눌 수 있을까? 소수자의 표현을 제한하지 않는 공적 환경을 만들고, 표현의 자유를 한 단계 확장하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은 무엇일까?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정기(지은이)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강의교수,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교수학습지원센터 책임연구원(연구교수)을 거쳐 2018년부터 동명대학교 미디어대학 광고PR학과에 근무하고 있다. 현재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서치’, ‘수용자와 미디어 전략’, ‘연구방법론’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관심 연구 분야는 표현의 자유와 미디어 효과, 교육커뮤니케이션이다. 그동안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 원, 한국교육개발원 국가교육통계연구본부 자문위원, 부산국제광고제 자문위원,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총무이사, 한국언론법학회 기획이사, 한국광고홍 보학회 지역이사, 《한국방송학보》, 《방송통신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2022년 7월 현재, 《표현, 언론 그리고 집회결사의 자유(공저)》(2011), 《온라인 뉴스 유료화 전략》(2013), 《대한민국 표현 자유의 현실 1》(2016), 《대한민국 표현 자유의 현실 2》(2020), 《위축효과》(2021), 《대통령 선거와 유권자의 알 권리》(2021) 등 22권의 저서를 집필했고, 121편의 논문을 KCI, SCI, SSCI, SCOPUS 등의 전문 학술지에 게재했다.

Table of Contents
서문: 표현의 자유 확장을 위한 논리 제1부 정치적 표현의 자유와 한계 1장 언론인 해고 관련 판결 속 언론의 자유와 한계: 이명박 정권 이후 판례를 중심으로 2장 정치적 풍자의 자유와 한계: 오프라인 공간에 나타난 정치 풍자 판례를 중심으로 3장 국가인권위원회의 표현의 자유 보호와 한계 제2부 혐오표현과 관용 4장 ‘종북從北’이라는 표현과 한계 5장 힙합 음악 속 혐오표현과 한계 6장 성소수자 광고의 허용 필요성 제3부 공익제보 7장 공익제보와 공적 표현의 자유 8장 공익제보 의도 결정 요인 제4부 위축효과와 저항적 표현 9장 박근혜 정권에서의 ‘위축효과’ 10장 문재인 정권에서의 ‘위축효과’ 11장 표현의 자유 인식과 저항적 정치 표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