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510 | |
005 | 20230119085537 | |
007 | ta | |
008 | 230118s2022 ggka 001c kor | |
020 | ▼a 9788946065246 (양장) ▼g 03300 | |
020 | ▼a 9788946065253 (무선)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6369831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02 ▼2 23 |
085 | ▼a 302 ▼2 DDCK | |
090 | ▼a 302 ▼b 2022z11 | |
100 | 1 | ▼a Shifman, Limor, ▼d 1974- |
245 | 1 0 | ▼a 디지털 문화의 전파자 밈 / ▼d 리모르 시프만 지음 ; ▼e 최은창 옮김 |
246 | 1 9 | ▼a Memes in digital culture |
260 | ▼a 파주 : ▼b 한울 : ▼b 한울엠플러스, ▼c 2022 | |
300 | ▼a 238 p. : ▼b 삽화 ; ▼c 20 cm | |
490 | 1 0 | ▼a MIT 지식 스펙트럼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Social evolution |
650 | 0 | ▼a Memes |
650 | 0 | ▼a Culture diffusion |
650 | 0 | ▼a Internet ▼x Social aspects |
650 | 0 | ▼a Memetics |
700 | 1 | ▼a 최은창, ▼d 1971-, ▼e 역 ▼0 AUTH(211009)40674 |
830 | 0 | ▼a MIT 지식 스펙트럼 |
900 | 1 0 | ▼a 시프만, 리모르,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 2022z11 | Accession No. 1118745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히브리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리모르 시프만은 진화유전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커뮤니케이션학과 문화적 관점으로 인터넷 밈 유형을 풍부하게 소개한다. 저자는 자신을 매료한 ‘강남스타일’ 밈을 시작으로 콘텐츠, 형식, 입장이라는 세 차원에서 밈을 분석해 무엇이 밈을 공유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지, 밈과 바이럴은 어떤 관계인지, 어떤 요소가 밈 확산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힌다. 이 책은 디지털 문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바이럴 마케팅, 온라인 정치 홍보 전략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시간을 선사할 것이다.
비틀고, 웃기고, 비판하며
공감을 이끌어내는 인터넷 밈
2022년 6월 도지 밈에 NFT 기술이 적용된 작품이 45억 원에 낙찰되었다. 인터넷에서 인기를 끌던 밈은 하나의 창작물로서 NFT로 거래되고 암호화폐의 모델이 된 것이다. 이보다 앞서 2021년에는 ?아기상어?가 법정 공방 끝에 1심에서 승소하는 일도 있었다. 밈을 거래 대상으로 삼거나 인터넷 밈을 둘러싼 저작권 분쟁이 증가하는 경향은 이제 밈이 디지털 세계의 장난질이나 문화현상에만 그치지 않고 문화적 재산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밈은 리처드 도킨스가 복제와 모방을 통해 사람들 사이로 퍼져나가는 작은 문화적 단위를 설명하고자 『이기적 유전자』에서 제시한 용어이다. 그러나 리처드 도킨스나, “인간이란 단지 밈이 숙주로 삼고 지속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일 뿐”이라는 수전 블랙모어의 밈은 유전학적 속성에 치우친 감이 있었다.
히브리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리모르 시프만은 진화유전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커뮤니케이션학과 문화적 관점으로 인터넷 밈 유형을 풍부하게 소개한다. 저자는 자신을 매료한 ‘강남스타일’ 밈을 시작으로 콘텐츠, 형식, 입장이라는 세 차원에서 밈을 분석해 무엇이 밈을 공유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지, 밈과 바이럴은 어떤 관계인지, 어떤 요소가 밈 확산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힌다. 이 책은 디지털 문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바이럴 마케팅, 온라인 정치 홍보 전략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시간을 선사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리모르 시프만(지은이)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Hebrew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옥스퍼드 인터넷연구소(Oxford Internet Institute)에서 펠로로,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USC) 애넌버그 커뮤니케이션 스쿨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디지털 미디어, 팝컬처에 관심이 많다.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패턴의 분석, 온라인에서의 문화전파 수단에 주목한다. 많은 이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유튜브 비디오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세계화 과정에서 인터넷 농담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인터넷 밈이 어떻게 사회적·정치적 변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하는가 등을 연구하고 있다.
최은창(옮긴이)
지적재산권, 인터넷 규제 정책, 소셜미디어 플랫폼, 인공지능 거버넌스를 연구해왔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석사와 박사를 수료하고 제네바대학교, 하버드대학교 로스쿨의 ‘인터넷 법률 프로그램’에서 공부했다. 교육부 해외연수 장학금을 받아 옥스퍼드 법대의 비교미디어 법정책(PCMLP)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그 후 예일대학교 로스쿨 석사(LLM)를 졸업하고 예일 정보사회 프로젝트(Information Society Project) 펠로, 하버드-MIT-예일 로스쿨이 공동 운영하는 사이버스칼라 워킹그룹의 코디네이터로 일했다. Yale Journal of Law & Technology 편집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펠로,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 프라이버시 그룹의 초청 전문가를 역임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고위 교육센터(CoE), 아시아 태평양 인터넷 거버넌스 아카데미(APIGA), 고려대 국제대학원, 이화여대, 건국대, 명지대 등에서 강의했다. 자율화·지능화 시스템 윤리에 대한 IEEE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있으며, 프리 인터넷 프로젝트(Free Internet Project)와 한국인터넷거버넌스 포럼(KrIGF)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8년 유엔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 2019년 아시아 태평양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에서 ‘가짜뉴스’를 주제로 하는 국제 워크샵을 운영했다. 지은 책으로 『레이어 모델』(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공저로 『인공지능: 권력변환과 세계정치』(삼인 2018), 옮긴 책으로는 『네트워크의 부』(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사물인터넷이 바꾸는 세상』(한울, 2017) 등이 있다. 사이버 커뮤니케이션학회, AI 정책포럼에 참여하고 있다. 홈페이지: https://eunchangchoi.github.io/ 이메일: eunchang.choi@aya.yale.edu

Table of Contents
옮긴이의 말 MIT 지식 스팩트럼 시리즈 서문 한국의 독자들에거 감사의 말 용어 해설 1 밈에 대한 소개 2 개념화하기 어려운 밈의 역사 3 밈이 디지털과 만날 때 4 인터넷 밈 정의하기 5 ''밈'' 대 ''바이럴'' 6 바이럴과 밈은 어떻게 성공했을까? 7 밈의 장르들 8 정치참여로서의 밈: "엄청난 포스와 함께하길" 9 전세계로 퍼져가는 인터넷 밈 10 인터넷 밈 연구의 미래 방향 주 더 읽을거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