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451 | |
005 | 20230118155741 | |
007 | ta | |
008 | 230118s2022 ggka b 000c kor | |
020 | ▼a 9791168014091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6233016 | |
040 | ▼a 241047 ▼c 241047 ▼d 211009 | |
082 | 0 4 | ▼a 327.519 ▼2 23 |
085 | ▼a 327.53 ▼2 DDCK | |
090 | ▼a 327.53 ▼b 2022z14 | |
245 | 0 0 | ▼a 북방 문화의 갈등과 통합 / ▼d 정기웅 [외]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22 | |
300 | ▼a 325 p. : ▼b 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학술총서 |
500 | ▼a 공저자: 김진형, 이은경, 송병준, 윤지환, 박근찬, 강준영, 정보은, 이광태, 정원대, 정태요, 전세영 | |
504 | ▼a 참고문헌: p. 300-325 | |
536 | ▼a 이 책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20S1A6A3A04064633) | |
700 | 1 | ▼a 정기웅, ▼e 저 |
700 | 1 | ▼a 김진형, ▼e 저 |
700 | 1 | ▼a 이은경, ▼e 저 |
700 | 1 | ▼a 송병준, ▼e 저 |
700 | 1 | ▼a 윤지환, ▼e 저 |
700 | 1 | ▼a 박근찬, ▼e 저 |
700 | 1 | ▼a 강준영, ▼e 저 |
700 | 1 | ▼a 정보은, ▼e 저 |
700 | 1 | ▼a 이광태, ▼e 저 |
700 | 1 | ▼a 정원대, ▼e 저 |
700 | 1 | ▼a 정태요, ▼e 저 |
700 | 1 | ▼a 전세영, ▼e 저 |
830 | 0 | ▼a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학술총서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 2022z14 | 등록번호 1118746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 총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의 ‘초국적 협력과 소통의 모색: 통일 환경 조성을 위한 북방 문화 접점 확인과 문화 허브의 구축’ 사업의 2년 차 연구 주제 ‘접점의 모색과 확인’의 결과를 집대성한 것이다. 접점의 모색과 확인은 ‘인문 공간의 탐색’과 ‘통일환경조성을 위한 소통과 통합 정책의 추구’라는 양 갈래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본 총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의 ‘초국적 협력과 소통의 모색: 통일 환경 조성을 위한 북방 문화 접점 확인과 문화 허브의 구축’ 사업의 2년 차 연구 주제 ‘접점의 모색과 확인’의 결과를 집대성한 것이다. 접점의 모색과 확인은 ‘인문 공간의 탐색’과 ‘통일환경조성을 위한 소통과 통합 정책의 추구’라는 양 갈래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본 총서에 실린 12편의 논문들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이루어진 연구자 각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천착과 사색의 결과로서, 연구의 내용은 노태우 정부 이래 역대 한국 정부의 북방정책에서부터 북방 문화의 교류와 충돌 양태 및 경제, 영토, 공공외교, 애니메이션, 문화 이론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갈등 하에서도 소통의 확대를 통한 협력의 추구를 바탕으로 언젠가는 진정한 통합에 이르게 되길 기대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송병준(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 연구교수 주요 저서 『유럽연합 거버넌스 2』, 2016, 높이깊이 『유럽연합 정책결정시스템』, 2018,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조약으로 보는 유럽통합사』, 2016, 통합유럽연구회, 높이깊이 (공저) 『통합과 갈등의 유럽연합』, 2017, 높이깊이 (공저) 『유럽 언론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저) 『한-EU 관계론』, 2019,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공저)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201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공저) 『동유럽 공산정권의 붕괴와 체제전환』, 2021, 동유럽발칸연구소, 인문과 교양 (공저) 『유럽통합이론』, 2021, 한국학술정보
공유식(지은이)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대만국립정치대학교 동아연구소에서 중국정치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저서로 “미중경쟁시대와 한국의 대응”, “세계사속의 러시아 혁명”, “從一所看學科:政大東亞所與台灣的中國大陸.究,” 역서로는 “우화로 배우는 중국경제, 대만의 대학교육” 등이 있다. E-mail: kongfuzi@hufs.ac.kr
이은경(지은이)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연구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졸업. 동대학원 노어노문학과에서 “안드레이 비토프의 『푸시킨의 집』: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 지우기”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음. 저서로는 『포시에트에서 아르바트까지: 러시아 속 한국 문화 발자취 150년』(공저), 『극동의 부상과 러시아의 미래』(공저) 등. 역서로는 『Чёрный журавль спускался с небес』(공역, 고은의 『만인보』 러시아어번역판), 『Снег на холме Сончангдонг』(공역, 김지하의『타는 목마름으로「러시아어번역판) 등. 논문으로는 “마르크 샤갈의 중·후기 작품에 나타난 이율배반성”, “문화적 상징으로서의 ‘원숭이’와 유토피아: 알렉세이 레미조프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러시아문학의 한국적 수용과 번역의 변천사 ― 가독성과 원전 번역 사이에서의 탐구와 모색―”, “숄롬 알레이헴의 『메나헴 멘들』: 러시아 유대인의 초상”, “투르게네프의 『아샤』: ‘낭만화’로 구현된 혼종적 문화정체성” 등 다수. E-mail: yieunkyung@yahoo.co.kr
강준영(지은이)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대만 국립정치대학 동아연구소에서 중국정치경제학을 전공해 석⋅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연구센터장이며 한중사회과학학회 회장, 외교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였고 해군발전자문위원,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중국 및 국제관계 시사평론가로 활동중이며,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 『중국의 정체성』, 『판도라의 상자 중국』등 20여권의 저역서와 약 110편의 학술논문이 있다. E-mail: jykang@hufs.ac.kr
이광태(지은이)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석사,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중앙유라시아학과에서 19세기 중앙아시아 역사를 주제로 박사학위 받음. 역서로는 『신장의 역사: 유라시아의 교차로』 등. 논문으로는 「현대 우즈베키스탄의 18-19세기에 대한 역사 관점과 민족 정체성 확립」, 「19세기 초중엽 중앙아시아 정치 환경 변화와 부하라-히바 관계」 등 다수.
정보은(지은이)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연구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졸업. 「중국 오⋅사(五⋅四)시기 지식인의 계몽적 역할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사회학 박사학위 받음. 저서로는 『현대중국학 특강』, 『21세기 환태평양지역의 문화변동과 글로벌리제이션』등. 역서로는 『지식분자와 중국사회』. 논문으로는 「중국 변경, 신장(新疆)지역의 문화적 갈등 심화에 대한 소고」, 「중국 동북진흥전략과 소수민족정책 변화의 함의」등 다수. E-mail: qingtian88@hufs.ac.kr
정기웅(지은이)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교수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부단장 정기웅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Robert D. Putnam의 투-레벨 게임의 확장적 해석인 투-페이스 게임을 활용한 미.북 핵 협상 과정 분석으로 동대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네르바정치학회 회장, 글로벌교육연구학회 회장, 스포츠정치외교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정경연구소 책임연구원, PRIO (Peace Research Institute Oslo) Guest Researcher, 경희대 객원교수, 명지대 객원교수,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전공분야는 국제정치이고, 연구 관심분야는 국제협력/협상, 통일/남북관계, 스포츠 정치/외교 등이다. 저서로는 ..스포츠 외교의 신화: 성공과 실패, 그리고 그 밖의 이야기들.., ..투-레벨 게임에 대한 새로운 모색..등이 있다. E-mail: jgw@hufs.ac.kr
김진형(지은이)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연구교수 미국 미주리대학교 응용경제학과 졸업. 삶의 질,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공간경제와 자본이론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음. 논문으로는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Migrant Labourers and Implications of Comprehensive Wealth in China’s Urbanisation」, 「The Shale Oil Boom and Comprehensive Wealth of the Bakken Region of North Dakota」, 「중국 도시화과 정에서 인구 이동 패턴과 지역 불균등 분석, 2006-2018」, 「Comprehensive Wealth Measurement and Spatial Hedonic Analysis: Social Capital and Social Amenities」 등 다수. E-mail: kimjh@hufs.ac.kr
윤지환(지은이)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연구교수. 미국 테네시 주립대학 지리학과 졸업(박사). 저서로는 「When memoryscapes move: ‘Comfort Women’ memorials as transnational」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익선동 한옥거리의 변증법적 공간 해석과 젠트리피케이션의 시사점 모색”, “한반도-북방 관계성 이해를 위한 공간인식 정립의 소고”, “기억의 선택적 재현과 다층적 기억 해석을 둘러싼 갈 등: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유네스코 등재를 중심으로” 등 다수.
박근찬(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 연구보조원
정원대(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초빙연구원
정태요(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초빙연구원
전세영(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초빙연구원

목차
서문 제1장 노태우 정부 이후 역대 정부의 북방정책: 통일정책에서 국가전략으로 _정기웅 Ⅰ. 들어가는 말 Ⅱ. 북방과 북방정책 Ⅲ. 역대 정부의 북방정책과 남북한 관계 Ⅳ. 북방정책의 변화와 전략적 시각 Ⅴ. 나가는 말 제2장 북방 문화 접점 식별을 위한 이론적 토대와 확장성 검토 _김진형 Ⅰ. 들어가는 말 Ⅱ. 문화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토대 Ⅲ. 북방 문화 접점 연구와 문화 경직성 개념의 적용 Ⅳ. 문화 경직성 이론적 토대의 확장성 및 국가간 비교연구의 적용 Ⅴ. 나가는 말 제3장 동북아시아 교류와 충돌, 혼종문화의 접점 사할린 _이은경 Ⅰ. 들어가는 말 ㆍ48 Ⅱ. 이민족의 유입과 제국주의 각축장 ㆍ50 Ⅲ. 다민족과 다문화의 공간 사할린ㆍ61 Ⅳ. 나가는 말 ㆍ72 제4장 북방 경제문화의 통로: 유라시아 경제회랑을 통한 협력과 한국의 대응 _송병준 Ⅰ. 들어가는 말 Ⅱ. 경제회랑과 유라시아 주요국의 시각 Ⅲ. 기존의 유라시아 경제회랑 Ⅳ. 새로운 유라시아 경제회랑 논의 Ⅴ. 새로운 경제회랑 구축을 통한 중국과의 협력 Ⅵ. 나가는 말 : 한국과 유라시아 경제회랑 제5장 북방 연구와 정책에 있어 대위법적 읽기의 시사점 모색 _윤지환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반도의 폐쇄적 지리 조건으로부터 비롯된 북방과의 물질적·인식적 단절 Ⅲ.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읽기(contrapuntal reading) Ⅳ. 북방 연구와 정책 실행에 있어 대위법적 읽기의 필요성 Ⅴ. 나가는 말 제6장 홍콩정체성의 대중국 이탈에 관한 연구: 질 들뢰즈의 영토화 개념에 따른 중국식 애국주의 분열 기제 운용을 중심으로 _박근찬, 강준영 Ⅰ. 들어가는 말 Ⅱ. 질 들뢰즈의 영토화 개념과 이탈의 함의 Ⅲ. 중국식 ‘애국주의’로 인한 홍콩정체성의 이탈 Ⅳ. 나가는 말 제7장 중국 신장(新疆)지역의 문화적 갈등 _정보은 Ⅰ. 들어가는 말 Ⅱ. 중국 변경, 신장의 역사문화 변천 Ⅲ. 한족과의 문화적 갈등 Ⅳ. 문화적 갈등의 결과: 테러와 탄압 Ⅴ. 나가는 말 제8장 몽골제국 이후 동·서문명의 언어적 교류와 사전의 형성:『화이역어(華夷譯語)』와 『라술리드 헥사글롯(Rasūlid Hexaglot)』의 비교를 중심으로 _이광태 Ⅰ. 들어가는 말 Ⅱ. 『화이역어』의 특징과 편찬 배경 Ⅲ. 라술리드 헥사글롯 Ⅳ. 『화이역어』와 『라술리드 헥사글롯』의 비교 Ⅴ. 나가는 말 제9장 한중 문화교류의 매개체로서 중국 애니메이션의 가능성: 〈부니베어: 브램블의 신비한 모험(熊出没之雪岭熊风)〉을 중심으로 _정원대 Ⅰ. 들어가는 말 Ⅱ. 곰 캐릭터 변화 중심의 스토리텔링과 애니메이션의 접점 Ⅲ. 〈부니베어: 브램블의 신비한 모험〉의 네바와 브램블의 정체성 전치 Ⅳ. 〈부니베어: 브램블의 신비한 모험〉을 통한 한중 문화교류의 가능성 Ⅴ. 나가는 말 제10장 중국 공공외교: 코로나19 이후 보건외교를 중심으로 _정태요, 전세영 Ⅰ. 들어가는 말 Ⅱ. 중국 공공외교 : 역사와 목표 Ⅲ. 중국 보건외교 현황: 코로나19 이후 Ⅵ. 나가는 말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