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418 | |
005 | 20230118160908 | |
007 | ta | |
008 | 230118s2022 ggka 000c kor | |
020 | ▼a 9791198067326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6591699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82 | 0 4 | ▼a 332.6327 ▼2 23 |
085 | ▼a 332.6327 ▼2 DDCK | |
090 | ▼a 332.6327 ▼b 2022z6 | |
245 | 0 0 | ▼a 사모펀드와 M&A 트렌드 2023 = ▼x Private equity funds M&A / ▼d 최우석, ▼e 조세훈 외 11인 지음 |
260 | ▼a [고양] : ▼b 지음미디어, ▼c 2022 | |
300 | ▼a 327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김유탁, 현동진, 이관성, 신훈세, 조상욱, 룩센트 미래경영연구소(6인) | |
700 | 1 | ▼a 최우석, ▼e 저 |
700 | 1 | ▼a 조세훈, ▼e 저 |
700 | 1 | ▼a 김유탁, ▼e 저 |
700 | 1 | ▼a 현동진, ▼e 저 |
700 | 1 | ▼a 이관성, ▼e 저 |
700 | 1 | ▼a 신훈세, ▼e 저 |
700 | 1 | ▼a 조상욱, ▼e 저 |
710 | ▼a 룩센트 미래경영연구소, ▼e 저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2.6327 2022z6 | 등록번호 1118744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2.6327 2022z6 | 등록번호 1118752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변동성의 시대, 우리는 어디로 발걸음을 내디뎌야 할까. 시장이 크게 흔들리는 지금, 변화에 집중하고 잘 판단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사모펀드와 M&A 시장에 집중해야 할까? 시장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조직 중 하나가 기관투자자이며, 이들의 투자처가 사모펀드이기 때문이다.
사모펀드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져가는 지금, 기관투자자의 관점에서 기록한 사모펀드와 M&A 행보를 살펴본다면 투자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자본시장에서 일하는 많은 사모펀드 매니저와 기관투자자를 비롯해, 업계에 진출하려는 지원자, 사모펀드와 M&A에 관심이 많은 기업인과 일반 독자들이 시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023년 기관투자자의 관점에서 투자의 인사이트를 알고 싶다면
이 책의 일독을 권한다.” _최종구(전금융위원장)
기관투자자, M&A전문가, 컨설턴트들이 분석한 미래 투자 전략
대전환의 서막, 거대 자본의 투자 전략을 읽다!
변동성의 시대, 우리는 어디로 발걸음을 내디뎌야 할까. 시장이 크게 흔들리는 지금, 변화에 집중하고 잘 판단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사모펀드와 M&A 시장에 집중해야 할까? 시장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조직 중 하나가 기관투자자이며, 이들의 투자처가 사모펀드이기 때문이다. 사모펀드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져가는 지금, 기관투자자의 관점에서 기록한 사모펀드와 M&A 행보를 살펴본다면 투자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자본시장에서 일하는 많은 사모펀드 매니저와 기관투자자를 비롯해, 업계에 진출하려는 지원자, 사모펀드와 M&A에 관심이 많은 기업인과 일반 독자들이 시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거대 자본은 미래 성장산업을 어떻게
분석하고 전망하는가!
자본의 큰 흐름을 돌아보고
새로운 투자처를 찾다
2022년은 글로벌 경제와 자본시장의 변화가 숨 가쁘게 일어나며 리스크가 한층 커진 변동성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저자들은 큰돈을 굴리는 기관투자자 그리고 M&A 전문가로서 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위기가 다가온 현재, 어떤 산업에 집중하고 투자를 판단하여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전략을 제안한다.
먼저 2022년 사모펀드와 M&A 시장을 돌아보며 자본시장과 투자 업계를 끌고 가는 동력과 트렌드를 분석한다. 그리고 2023년에 예상되는 사모펀드와 M&A 시장의 흐름을 짚어보고 투자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메가 트렌드에 속하는 다섯 가지 산업 섹터를 분석하여 새로운 투자처를 찾아보고자 한다. 사모펀드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져가는 지금, 기관투자자의 관점에서 기록한 사모펀드와 M&A 행보를 살펴본다면 투자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023년 주목해야 할 메가 트렌드
반도체, 디지털 대전환, MZ세대, 테크 플랫폼, 수소 에너지
성장동력이 큰 산업 분야는 어디이며,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새로운 투자처를 찾기 위해 거대 자본의 흐름을 살펴보면 산업의 방향이 어떻게 전개될지를 파악해볼 수 있다.
이를 위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다섯 가지 산업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규모와 성장성 측면에서 앞으로도 계속해서 주목해야 할 반도체 산업, 산업 전방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디지털 대전환에 대한 트렌드와 기업에 대해 분석한다. 그리고 앞으로 주목해야 할 소비계층으로 부각한 MZ세대에 대한 분석과 소비재 투자에 대한 관점으로 성장동력을 갖추고 있는 기업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플랫폼 기업에 대한 투자 접근법과 에너지 섹터 중에서 미래 성장산업인 수소 산업에 대해 분석한다.
이 책을 통해 자본시장과 M&A 업계의 트렌드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투자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자본의 흐름과 산업의 트렌드를 읽고 한발 앞서나간다면 어떤 장세에서든 더 큰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우석(지은이)
홍익대 경영학과, 고려대 경영전문대학원(MBA)을 졸업하고 새마을금고중앙회 기업금융부 팀장으로 실무를 이끌고 있다. 저서로는 공저 『100조를 움직이는 사람들』이 있다. 국내외 사모펀드(PEF) 주요 거래를 앵커투자자로 참여했으며, 중소, 중견기업 M&A 시장의 딜 메이커로 활약하고 있다. 기업의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성장 전략 관련 투자에 있어 국내 최고 전문가로 평가되고 있다.
조세훈(지은이)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뉴스핌을 거쳐 자본시장 전문매체 더벨에서 M& A부 기자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카카오에서 일하고 있다. 사모펀드를 전문적으로 취재하며 M&A 시장의트렌드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해왔다. 한국 경제에 미치는 사모펀드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는 요즘, 사모펀드를 이해하려는 이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기 위해 이 책을 집필했다. 저서로는 공저 『100조를 움직이는 사람들』, 『파이낸셜스토리 디자인』이 있다.
김유탁(지은이)
미국 바루크 칼리지 회계학과 졸업 후 회계법인, 보험사에서 대체투자 및 M& A 자문 업무를 수행했으며 2017년부터 새마을금고중앙회 기업금융본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요 투자 건으로는 미래에셋펀드서비스, 알앰&H2, 오케이미트, LIG넥스원 등 투자를 담당했으며, ESG 섹터와 MZ세대 관련 소비재 섹터에 관심이 많다.
현동진(지은이)
서울시립대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새마을금고중앙회 기업금융본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요 투자 건으로는 KG스틸, 솔루스첨단소재, 이도 투자 건을 담당했으며, 스페셜시추에이션 섹터와 이차전지 산업에 관심이 많다.
이관성(지은이)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군인공제회 대체투자본부를 거쳐 현재 새마을금고중앙회 기업금융본부에서 일하고 있다. 주요 투자 건으로는 키파운드리, 테스나, LG CNS, 티맥스소프트 투자를 담당했으며, 반도체와 IT 산업에 관심이 많다.
신훈세(지은이)
성균관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공인회계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삼일회계법인을 거쳐 새마을금고중앙회 기업금융본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요 투자 건으로는 SK루브리컨츠, 한화첨단소재, 비바리퍼블리카 투자를 담당했으며, 석유화학 및 금융 산업에 관심이 많다.
조상욱(지은이)
부산대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노란우산공제회 기업투자부를 거쳐 현재 새마을금고중앙회 기업금융본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요 투자 건으로는 직방, 잡코리아 투자를 담당했으며, 강력한 브랜드 파워 해자를 보유한 소비재, 콘텐츠 분야와 산업을 혁신하여 시장지배력을 확보한 고성장 플랫폼 분야에 관심이 많다.
룩센트 미래경영연구소(지은이)
룩센트는 2008년 설립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경영 컨설팅 회사이다. 글로벌/국내 대형 사모펀드, 대기업을 위한 기업 인수/매각 실사부터 인수 후 통합 및 실질적인 기업가치 개선뿐만 아니라 중소형 사모펀드의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모든 과정에서의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 15년 동안 40개 사모펀드 및 60여 개 투자 포트폴리오 기업, 25개 대기업 및 중견기업을 위해 총 250여 개 자문 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으며, 서비스, 리테일, 식품, IT, 전자, 소재, 화학, 자동차, 모빌리티, 기계, 엔지니어링 등 광범위한 산업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룩센트는 오승목 대표를 비롯한 이주명, 최병식, 정재상, 배신호 5인 파트너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의 기업들, 국내외 컨설팅사 및 투자회사 출신 총 50여 명의 전문 인력이 활발하게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룩센트 미래경영연구소는 산업에 대한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사모펀드와 기업들을 위한 미래의 과제들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설립한 리서치 및 연구개발 조직이다.

목차
프롤로그 PART 1 2022년 M&A 시장과 사모펀드 트렌드 1장 2022년 사모펀드 시장 트렌드 리뷰 01. 저금리 시대의 종언, 적응의 시간 02. 제도 변화가 쏘아올린 사모펀드 세 가지 화살 03. 시장 변화가 불러온 사모펀드의 생태계 04 변동성 시대, 기관투자자의 투자 전략 2장 2022년 기관투자자가 주목한 분야 05. 성장·배당 산업에 돈이 몰린다 06. 해가지지 않는 섹터, 반도체·배터리 07 진짜 돈 되는 소재 산업을 찾아라 08. 미래를 선도하는 테크 기업 찾기 09. 소비의 중심, MZ세대를 잡아라 10. 해외 영토를 넓히는 기관투자자 11. 글로벌 사모펀드의 주요 M&A 톺아보기 인터뷰〉 조영민의 승부수, ‘숨은 보석’ 컬러렌즈 1위 스타비젼 인수 3장 2022년 기업들이 주목한 M&A 대상 12. 사모펀드 육성 기업으로 성장동력 찾는 기업들 13. “국내는 좁다” 해외로 눈 돌린 기업들 14. 늦으면 침몰? 대기업 사업 재편 ‘사활’ 15. 변화하는 글로벌 문법에 적응하라 16. 규제 풀린 CVC, 시장의 태풍 되나? 162 17. 글로벌 기업의 주요 인수합병 톺아보기 인터뷰〉 태양광 신세계를 열어젖힌 한화솔루션, 자본시장 앞세워 한발 앞으로 180 PART 2 2023년 M&A 시장과 사모펀드 트렌드 4장 국내외 사모펀드 투자 트렌드 18. 2023년 사모펀드와 M&A 시장 전망 19. 2023년 산업경제를 조망하다 5장 산업분석 및 투자 전략 20.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 반도체를 공략하라 21. 예고된 미래, 디지털 전환(DX)을 선점하라 22. 소비주체 MZ세대의 나비효과 23. 플랫폼 전성시대, 기본기가 중요하다 24. 수소 시장을 잡아라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