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378 | |
005 | 20230118134509 | |
007 | ta | |
008 | 230117s2022 ulkac 000c kor | |
020 | ▼a 979115930241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586192 | |
040 | ▼a 211014 ▼c 211014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71.10973 ▼2 23 |
085 | ▼a 371.10973 ▼2 DDCK | |
090 | ▼a 371.10973 ▼b 2022 | |
100 | 1 | ▼a D'Amico Pawlewicz, Diana |
245 | 1 0 | ▼a 비난받는 교사 : ▼b 실패한 미국 교사 전문직화 정책의 역사 / ▼d 다이애나 폴레비치 지음 ; ▼e 유성상, ▼e 김민조 옮김 |
246 | 1 9 | ▼a Blaming teachers : ▼b professionalization policies and the failure of reform in American history |
260 | ▼a 서울 : ▼b 살림터, ▼c 2022 | |
300 | ▼a 395 p. : ▼b 삽화 ; ▼c 23 cm | |
650 | 0 | ▼a Teachers ▼z United States ▼x Social conditions ▼y 20th century |
650 | 0 | ▼a Public schools ▼z United States ▼x History ▼y 20th century |
650 | 0 | ▼a Educational change ▼z United States ▼x History ▼y 20th century |
700 | 1 | ▼a 유성상 ▼g 劉聖相, ▼d 1972-, ▼e 역 ▼0 AUTH(211009)120236 |
700 | 1 | ▼a 김민조, ▼e 역 |
900 | 1 0 | ▼a 폴레비치, 다이애나,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10973 2022 | Accession No. 1118744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다이애나 폴레비치(지은이)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서 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 책은 그의 박사학위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현재 노스다코타주립대학교의 교육기초연구학과 교수로 교육개혁 및 사회정책을 연구한다. 주로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History of Education Quarterly>, <Harvard Educational Review>, <Washington Post>, <San Francisco Chronicle> 등의 유력한 논문집과 잡지에 학술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유성상(옮긴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미국 공교육과 교육개혁의 역사에 관심이 많으며, 공교육의 발전과 교육개혁의 과정을 통해 교육다운 교육의 모습이 어떠한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특히 공교육체제에서 교사다움, 교사라는 직업, 교사 전문성이 어떻게 이해, 발현, 제한되는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배움의 조건(지식의 날개, 2020), 인권과 학교교육(2020, 박영스토리) 등이 있고, 스쿨: 미국 공교육의 역사 1770-2000(학이시습, 2014), PRIZE: 교육이 미래라고 믿는 당신에게(2017, 박영스토리), 교육을 바꿀 수퍼맨을 찾습니다(교육과학사, 2018), 교사전쟁(살림터, 2019), 교사교육의 딜레마(박영스토리, 2020), 교사가 되려 합니다(2021, 다봄교육) 등의 번역서가 있다.
김민조(옮긴이)
이화여대(초등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교육행정)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 근무하였으며,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학과(교육학 심화과정)으로 재직하고 있다. 예비교사와 교사들과의 만나고 서로 간에 전쟁을 치루고 고군분투하는 과정에서 가지게 된 예비교사와 교직사회에 대해 ‘알고’ 싶은 개인적 욕구가 학문적 욕구로까지 이어지는 행운을 누리고 있다. 교사교육자와 교육 연구자라는 이중적 지위 속에서 딜레마를 겪으면서, 사회에서 학교교육과 교사의 존재 가치, 교원의 전문성, 교직문화 등 교직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과 이해로 연구관심을 모아가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시리즈 서문 5 서문 10 옮긴이 서문 32 제1장 혼돈의 국가: 지역 공립학교 시스템의 등장과 교직의 제도화 51 지역 공립학교, 백인 여교사, 국가 공공정책 57 도시 학교와 교사의 질에 대한 우려 68 ‘행정 관료주의’의 부상 79 제2장 사명에 걸맞은 존엄한 수준으로 교사 전문성 제고하기: 진보주의 시대 근대 학교 관료제 및 교원정년보장정책의 발달 99 질서 탐색으로서의 교사개혁 105 ‘연례 교사 선발의 고충’과 초기 정년보장정책 124 도심 교사들과 결혼 및 임신할 권리를 위한 투쟁 129 정년보장과 학문적 자유 추구 137 제3장 교사교육과 ‘국부’: 대공황 시기 전문가 교사 양성, 인성, 그리고 계층 151 대공황 이전 대학기반 교육대학 157 대학기반 교육대학에서 응용학습의 부상 164 교사의 인성, 계층, 문화, 그리고 전문가적 정체성 181 제4장 보다 나은 교사의 채용: 2차 세계대전 이후 교사 부족 사태에 대한 대응 201 ‘파도처럼 밀려드는 학생들’과 교사 부족 사태 206 속성 교사자격증 및 교사(선발) 시험 219 ‘평범한 교육 성과’에 맞선 투쟁: 임금과 성과급제 228 교사교육에 대한 비판 253 제5장 용감한 새로운 부류의 교사들: 교사 권력과 고립, 1960~1980 265 미친 듯이 싸우는 교사들 271 UFT와 새로운 전문가 교사 281 순종적이지만은 않은 교사 295 교사 전문성 혹은 유색인종공동체의 권한? 303 비통하리만치 불충분한 교사교육 310 전문성, 권위, 관료제 320 후기 329 감사의 글 337 미주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