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교육운동의 역사와 전망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하성환
서명 / 저자사항
한국교육운동의 역사와 전망 / 하성환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살림터,   2022  
형태사항
297 p. : 삽화, 초상화 ; 23 cm
ISBN
9791159302404
일반주기
역사의 재발견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86-297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9377
005 20230118132215
007 ta
008 230117s2022 ulkac b 000c kor
020 ▼a 9791159302404 ▼g 03370
035 ▼a (KERIS)BIB000016582947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70.9519 ▼2 23
085 ▼a 370.953 ▼2 DDCK
090 ▼a 370.953 ▼b 2022z8
100 1 ▼a 하성환
245 1 0 ▼a 한국교육운동의 역사와 전망 / ▼d 하성환 지음
260 ▼a 서울 : ▼b 살림터, ▼c 2022
300 ▼a 297 p. : ▼b 삽화, 초상화 ; ▼c 23 cm
500 ▼a 역사의 재발견
504 ▼a 참고문헌: p. 286-297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953 2022z8 등록번호 1118744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하성환(지은이)

대학을 입학한 1979년부터 1990년까지 중앙사회복지관, 용산 제일교회, 구파발 천주교회, 구로 3공단, 서초동 꽃동네 철거민 지역에서 검정고시 야학, 생활야학, 노동야학, 도시빈민야학교사 생활을 통해 민중교육을 실천하고자 힘썼다. 198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결성 관련하여 구로고등학교에서 해직되고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로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1990년-2000년대 시민운동에 관심을 갖고 참여연대, 미군범죄근절운동, 일본군 수요시위(정대협), 앰네스티, 나눔의 집, 월드비전, 인권연대, 여성의 전화,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나눔문화를 아이들에게 소개하며 NGO 동아리 지도교사로 활동했다. 2013년 진보정당 당우와 후원 관련하여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현재 고등학교 교사로서 학교현장에 민주시민교육을 뿌리내리기 위해 고민 중이며, 한국사회가 무상교육, 무상의료, 교사의 정치기본권이 실현되는 복지선진국을 꿈꾸며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진실과 거짓, 인물 한국사』,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근현대 인물 한국사』, 『사회철학 에스프레소』, 『우리 역사 바로 읽기(상, 하)』, 『학생자치활동(1, 2)』(공저)가 있으며, 논문으로 「이오덕 연구」,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에 대한 신화, 그 왜곡된 집단 기억」,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한 코뮤니스트 항일혁명가 김명시」, 「독립운동가 백민 황상규에 대한 일 고찰」 들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5

1. 한국교육, 언제부터 망가지기 시작했을까 13
「국대안」 사건은 한국 교육문제의 뿌리이자 시작

2. 교육모순 해결과 참교육을 위한 투쟁의 역사 53
『조선교육자협회』, 『4?19교원노조』를 이은 『전교조』 《구로고 분회》 창립 투쟁사

3. 교육모순 해결을 위한 교육운동의 진로 133
1) 공교육 개혁의 모델, 혁신학교 운동 135
대안교육운동(90년대)-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2000년대)
-혁신학교 운동(2010년대)
2) 교육모순 해결을 위한 운동론적 성찰 171
3) 한국 교육을 살리는 길, 교육운동이 나아갈 길 211

4. 참교육을 향한 실천적 교육운동가 239
1) 겨레의 스승, 실천적 교육운동가 성래운 교수 241
2) 참교육을 실천한 교육 운동가 이오덕 선생 266

참고문헌 286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