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376 | |
005 | 20230118132132 | |
007 | ta | |
008 | 230117s2022 ulka b 000a kor | |
020 | ▼a 9791159302244 ▼g 0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9.519 ▼2 23 |
085 | ▼a 379.53 ▼2 DDCK | |
090 | ▼a 379.53 ▼b 2022z11 | |
100 | 1 | ▼a 심성보, ▼g 沈聖輔, ▼d 1953- ▼0 AUTH(211009)15205 |
245 | 1 0 | ▼a 시민이 만드는 교육 대전환 : ▼b 교육혁명으로 가는 길 : ▼b 김태정이 묻고 심성보가 답하다 / ▼d 심성보, ▼e 김태정 지음 |
260 | ▼a 서울 : ▼b 살림터, ▼c 2022 | |
300 | ▼a 234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31-234 | |
700 | 1 | ▼a 김태정,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53 2022z11 | Accession No. 1118743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심성보(지은이)
거시적·장기적 교육 전망과 현장에서의 미시적·단기적 실천이 분리되지 않는 ‘실천적 이론가’와 ‘이론적 실천가’를 꿈꾸고 있다. 이상주의idealism와 현실주의realism가 분리되지 않는 변증법을 굳게 믿고 실천하면서 교육이론 운동과 교육 실천 운동의 두 갈래 길을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최근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전망』, 『마을교육공동체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민주학교의 탄생』, 『시민이 만드는 교육 대전환』을 공동으로 펴냈다. 또한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프레이리와 교육』, 『존 듀이와 교육』,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세계시민교육』, 『사랑의 교육학』의 번역에 참여했다. 2018년 정년 퇴임 후에는 『한국 교육의 현실과 전망』,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 『코로나 시대, 마을교육공동체운동과 생태적 교육학』을 펴냈다. 현재 부산교대 명예교수로서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이사장, 한국교육개혁전략포럼 대표,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상임대표, 흥사단교육운동본부 상임대표 등 다양한 역할을 하면서 교육과 사회의 동시적 변혁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촛불혁명의 미완성 과제와 코로나 사태의 발생으로 새로운 과제가 대두하면서 대한민국의 다중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사상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려고 한다. 1995년 5·31교육개혁이 신자유주의적 문명화 시도였다면, 지금은 지속가능한 포용적·공동체적·생태적 문명으로의 이동을 위한 사회 및 교육 체제의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 교육의 전면적 전환을 위한 총체적 교육사상의 정립과 다면적 실천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100여 년 전 기술적 근대화(개화파)와 토착적 근대화(개벽파)가 분열되어 일제 식민지화를 초래했듯, 제2의 식민지화를 막으려면 한국의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해야 한다. 우리는 지금 대안적 세상을 여는 혁신적·변혁적 교육 및 운동을 절실히 요구한다.
김태정(지은이)
1987년 서울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시절에는 학생운동에 참여하 였다. 졸업 후 잠시 대학원에 적을 두었다가 진보적인 성향의 노동정책연구소에 들어간 것을 계기로 30대에는 노동자들의 투쟁을 지원하는 활동에 매진하였다. 나이 마흔에 이르러 우리 사회의 민주적 진보적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이 만인의 보편적인 권리가 되어야 함을 깨닫고 2008년 평등교육 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를 창립하는데 함께하였고, 이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참교육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도 일하였다. 교육운동에 투신한 후 일제고사반대시민행동, 교육혁명공동행동, 새로운 교육체제수립을 위한 사회적교육위원회 등과 같은 교육시민사회단체의 연대체에서 집행위원장 등으로 활동해 왔으며, 『대한민국 교육혁명』의 저자로도 참여하였다. 공교육혁신과 교육자치를 위해 2010년 서울민주진보교육감 추진위원회 정책위원장, 2014년 인천민주진보교육감 선거운동본부 정책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2014년부터 3년간 서울 양천구의 교육정책보좌관으로 혁신교육지 구사업에 전력투구하였다. 최근에는 인천광역시교육청 정책보좌관을 거 쳐 2019년부터 인천광역시교육청 마을교육지원단 전문관, 마을교육공동체 포럼 정책위원장으로 일하며 인천교육과 대한민국 교육의 진보적인 발전을 위해 나이를 잊고 여전히 20대의 열정으로 뛰어다니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차 례 출간에 부쳐 시민의 손으로 만드는 한국 교육의 대전환! _김태정 사회 대전환을 위한 교육의 대전환을 설계하자! _심성보 1장 문재인정부의 교육정책을 돌아본다 문재인정부 교육정책을 돌아보며 2장 학교와 마을의 상생, 어떻게 가능한가? 마을교육공동체가 우리 사회의 미래입니다 3장 대학서열체제, 입시경쟁교육 해소, 어떻게 가능한가? 대학서열체제, 입시경쟁교육 해소를 위해 함께 힘을 모읍시다! 4장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공공성 실현, 어떻게 가능한가? 국가가 책임지는 영유아 보육과 교육이 절실합니다! 5장 평생교육 활성화, 어떻게 가능한가? 평생교육의 새로운 지향을 위하여 6장 직업교육 개혁, 어떻게 가능한가? 한국 사회의 대전환을 위한 직업교육을 위하여 7장 대안교육 활성화, 어떻게 가능한가? 대안교육 활성화 방안을 위하여 보론 2022 한국 교육 대전환 선언 마을교육공동체운동으로 한국 교육 대전환을 이루자! 특별기고 마을교육공동체와 미래 학교의 다양한 모델 그리고 미래교육과의 연계 _심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