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260 | |
005 | 20230117155416 | |
007 | ta | |
008 | 230117s2022 ulk 000cf kor | |
020 | ▼a 9791191114362 ▼g 04810 | |
035 | ▼a (KERIS)BIB000016541828 | |
040 | ▼a 22200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895.734 ▼2 22 |
085 | ▼a 897.36 ▼2 DDCK | |
090 | ▼a 897.36 ▼b 김영하 호c | |
100 | 1 | ▼a 김영하, ▼g 金英夏, ▼d 1968- ▼0 AUTH(211009)136282 |
245 | 1 0 | ▼a 호출 : ▼b 김영하 소설 / ▼d 김영하 |
260 | ▼a 서울 : ▼b 복복서가, ▼c 2022 | |
300 | ▼a 309 p. ; ▼c 20 cm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897.36 김영하 호c | 등록번호 12126178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김영하 등단 25주년을 맞이해 시작된 ‘복복서가×김영하 소설’ 시리즈 2차분 6권 가운데 앞서 출간된 『오직 두 사람』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빛의 제국』에 이어 나머지 3종이 모두 출간되었다. 이번에 출간된 소설은 김영하식 슬픔의 미학을 볼 수 있는 『너의 목소리가 들려』, 한국의 이십대 또는 이십대적인 삶을 그려낸 『퀴즈쇼』 그리고 충격적인 첫 소설집 『호출』이다.
나르시시즘, 모방 욕망, 죽음 충동 등과 같은 현대의 증상을 명쾌하게 포착하면서 특유의 대담하고 건조한 문체를 보여주는 『호출』은 총 열한 편의 단편으로 매력적인 날것의 세계, 간헐천처럼 분출하는 위험한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수록작들의 순서를 재구성하고 표현을 세밀하게 다듬으면서도 첫 소설집이 주는 날것의 느낌은 살려 담았다. 또한 원숙기에 접어든 작가가 자신의 기원을 되돌아보며 쓴 ‘작가의 말’을 새로 실었다.
나르시시즘, 모방 욕망, 죽음 충동
가상과 실재의 모호한 경계
김영하 문학의 기원, 『호출』 개정판
김영하 등단 25주년을 맞이해 시작된 ‘복복서가×김영하 소설’ 시리즈 2차분 6권 가운데 앞서 출간된 『오직 두 사람』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빛의 제국』에 이어 나머지 3종이 모두 출간되었다. 이번에 출간된 소설은 김영하식 슬픔의 미학을 볼 수 있는 『너의 목소리가 들려』, 한국의 이십대 또는 이십대적인 삶을 그려낸 『퀴즈쇼』 그리고 충격적인 첫 소설집 『호출』이다. 나르시시즘, 모방 욕망, 죽음 충동 등과 같은 현대의 증상을 명쾌하게 포착하면서 특유의 대담하고 건조한 문체를 보여주는 『호출』은 총 열한 편의 단편으로 매력적인 날것의 세계, 간헐천처럼 분출하는 위험한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수록작들의 순서를 재구성하고 표현을 세밀하게 다듬으면서도 첫 소설집이 주는 날것의 느낌은 살려 담았다. 또한 원숙기에 접어든 작가가 자신의 기원을 되돌아보며 쓴 ‘작가의 말’을 새로 실었다.
첨단의 상상력, 세련된 감수성으로
현대의 증상을 일찍이 예견한 소설집
『호출』에 수록된 작품들은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첫째는 ‘거울에 비친 나’를 탐색하는 이야기들이다. 거울은 자신을 비추지만 엄밀히 따지면 그것이 자신 자체는 아니다. 「거울에 대한 명상」에서 ‘나’는 아내의 친구와 몰래 성적인 만남을 갖는 도중 버려진 차의 트렁크에 갇히게 된다. 그 안에서 ‘나’는 아내의 친구에게 자신의 거울이라고 믿었던 존재들에 대한 배반적인 이야기를 듣고 무너진다. 표제작인 「호출」에서는 통신기기인 삐삐가 거울 역할을 한다. 처음 보는 여자에게 삐삐를 건네는 상상을 하던 ‘나’ 역시 자신의 상상과 삐삐라는 거울 장치에 갇힌다. 「내 사랑 십자드라이버」와 「삼국지라는 이름의 천국」에서는 각각 기계와 컴퓨터게임이 거울 역할을 한다.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은 현실에서 무력한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기보다는 더 완전하게 만들어진 세계에 천착하지만 결국 현실을 벗어나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한다. 「도마뱀」에서 ‘나’는 우연히 만난 남자가 준 도마뱀 모형 때문에 현실과 상상의 경계에서 혼란을 겪으며, 종국에는 그 경계가 허물어진다.
둘째 부류는 자기파괴 충동이 지배하는 이야기들이다. 「총」에서는 무장탈영병이 파멸적인 인질극을 벌인다. 편지 형식으로 쓰인 「손」에서는 사랑에 실패한 화자가 타인의 손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마지막에 그 집착은 자신의 손에 대한 파괴적 충동으로 이어진다. 「나는 아름답다」의 ‘나’는 ‘진짜 죽음’을 찍고 싶어하는 사진작가다. 우연히 버스에서 만난 여자를 따라 외딴섬으로 간 ‘나’는 여자의 비밀을 듣고 ‘진짜 죽음’을 찍게 된다.
마지막 부류는 믿고 있던 가치가 무너졌을 때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는 이야기들이다. 「전태일과 쇼걸」 「베를 가르다」 「도드리」에는 1980년대에 대학을 다니며 학생운동을 했던 과거를 가진 인물들이 나온다. 믿었던 이념이 무너지고 새로운 세상이 갑자기 나타난 상황에서, 인물들은 감상에 빠져 과거를 추억하지 않으려 애쓰면서도 어쩔 수 없이 감상에 빠져든다.
세기말의 『호출』과 현재의 『호출』
1997년 초판이 발행된 『호출』은 김영하가 1994년 11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약 3년 동안 쓴 단편을 모아 엮은 것이다. 소설 속 풍경은 리얼한 것 또는 리얼해야 하는 것이라 믿었던 1980년대 이념의 위상이 유토피아적 허구로 추락한 1990년대의 혼란과 허무를 나타낸다. 인물들은 현대사회의 피상적 삶과 소통 불능의 욕망에 좌절하거나 병적 나르시시즘과 자기기만에 사로잡혀 있다. 작가는 1990년대 일상의 지표를 드러내는 소재들을 차용하고 환상과 현실을 모호하게 뒤섞으며 폭력, 죽음, 에로티시즘이라는 주제를 전복적으로 탐구한다.
『호출』은 첨단의 상상력과 날렵한 호흡, 차갑고 세련된 감수성 등 김영하 문학의 특징들이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1990년대 한국문학의 뛰어난 성과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는다. 등단 이후 발표하는 작품마다 독자들의 열렬한 지지 속에 화제를 불러일으키며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우뚝 올라선 김영하의 신세대적 패기와 비범한 역량이 녹아 있는 초기작들은 25년이 지난 지금 읽어도 여전히 새롭고 문제의식은 더 첨예하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영하(지은이)
소설가. 장편소설로 『작별인사』 『살인자의 기억법』 『검은 꽃』 『아랑은 왜』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 『퀴즈쇼』, 소설집으로 『오직 두 사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 『오빠가 돌아왔다』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호출』이 있다. 여행에 관한 산문 『여행의 이유』와 『오래 준비해온 대답』을 냈고 산문집으로 『보다』 『말하다』 『읽다』의 합본인 『다다다』 등이 있다.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를 번역하기도 했다. 서울에서 아내와 함께 살며 여행, 요리, 그림 그리기와 정원 일을 좋아한다. 2018년 오영수문학상, 2015년 김유정문학상, 2012년 이상문학상, 2007년 만해문학상, 2004년 동인문학상, 2004년 이산문학상, 2004년 황순원문학상, 1999년 현대문학상, 1996년 문학동네 작가상을 수상했다.

목차
거울에 대한 명상 007 호출 035 전태일과 쇼걸 059 삼국지라는 이름의 천국 085 도드리 115 베를 가르다 139 도마뱀 165 총 189 손 221 내 사랑 십자드라이버 241 나는 아름답다 271 개정판을 내며 301 2006년판 작가의 말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