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258 | |
005 | 20230117155343 | |
007 | ta | |
008 | 230117s2022 ulk 000cf kor | |
020 | ▼a 9791191114348 ▼g 04810 | |
035 | ▼a (KERIS)BIB000016541827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895.734 ▼2 22 |
085 | ▼a 897.36 ▼2 DDCK | |
090 | ▼a 897.36 ▼b 김영하 퀴c | |
100 | 1 | ▼a 김영하, ▼g 金英夏, ▼d 1968- ▼0 AUTH(211009)136282 |
245 | 1 0 | ▼a 퀴즈쇼 : ▼b 김영하 장편소설 / ▼d 김영하 |
260 | ▼a 서울 : ▼b 복복서가, ▼c 2022 | |
300 | ▼a 527 p. ; ▼c 20 cm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897.36 김영하 퀴c | 등록번호 1212617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김영하 등단 25주년을 맞이해 시작된 ‘복복서가×김영하 소설’ 시리즈 2차분 6권 가운데 앞서 출간된 『오직 두 사람』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빛의 제국』에 이어 나머지 3종이 모두 출간되었다.
이번에 출간된 소설은 김영하식 슬픔의 미학을 볼 수 있는 『너의 목소리가 들려』, 한국의 이십대 또는 이십대적인 삶을 그려낸 『퀴즈쇼』 그리고 충격적인 첫 소설집 『호출』이다. 노력과 운의 아이러니한 관계를 통찰하는 『퀴즈쇼』는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21세기 청춘의 풍속도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문장을 세세하게 다듬고, 소설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소회를 담은 ‘작가의 말’을 새로 실었다.
인생은 퀴즈다!
고단한 청춘의 자화상 『퀴즈쇼』 개정판
김영하 등단 25주년을 맞이해 시작된 ‘복복서가×김영하 소설’ 시리즈 2차분 6권 가운데 앞서 출간된 『오직 두 사람』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빛의 제국』에 이어 나머지 3종이 모두 출간되었다. 이번에 출간된 소설은 김영하식 슬픔의 미학을 볼 수 있는 『너의 목소리가 들려』, 한국의 이십대 또는 이십대적인 삶을 그려낸 『퀴즈쇼』 그리고 충격적인 첫 소설집 『호출』이다. 노력과 운의 아이러니한 관계를 통찰하는 『퀴즈쇼』는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21세기 청춘의 풍속도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문장을 세세하게 다듬고, 소설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소회를 담은 ‘작가의 말’을 새로 실었다.
노력과 운이라는 아이러니
21세기 서울을 가로지르는 청춘의 오디세이아
1980년생 이민수는 부모 없이 외할머니와 함께 자랐다는 것을 제외하면 남부러울 것 없이 살아왔다. 방에 틀어박혀 책을 읽거나 다운받아놓은 드라마를 보거나 인터넷 서핑을 하는 것이 거의 전부였던 그의 일상은 외할머니의 죽음을 계기로 크게 달라진다. 외할머니가 남겨놓은 거액의 빚 때문에 무일푼으로 길바닥에 나앉게 된 그는 창문도 없는 1.5평 고시원에 들어가 편의점 알바를 하며 간신히 살아가게 된다. 그런 그에게 위안을 주는 것은 채팅사이트 ‘퀴즈방’뿐이다. 참가자들끼리 주로 책이나 영화 등에 대한 문제를 내고 정답을 맞히며 지적 유희와 쾌감을 즐기는 그곳에서 이민수는 ‘벽 속의 요정’ 서지원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 실제의 만남에서도 그들은 만나기 훨씬 전부터 알아왔던 것처럼 서로를 문득 알아본다. 가상세계와의 접속을 통해 펼쳐지는, 이른바 ‘사이버 시대 사랑의 현상학’이라고 부를 만한 장면이다. 그러던 어느 날, 편의점에서 해고당하고 고시원에서도 쫓겨나 갈 곳 없는 이민수에게 “퀴즈란 지혜의 힘을 빌려 우연과 맞서는 인간의 운명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라는 신념을 가진 이춘성이라는 사내가 천만원짜리 수표를 내밀며 퀴즈쇼에 출전할 것을 제안한다.
“내 삶에서 어떻게 ‘운명’이 지배하는 영역을 줄이고
‘재주’가 관할하는 영역을 넓힐 수 있을까?”
『퀴즈쇼』에서는 1997년 IMF체제 이후의 만성적인 경기불황, 온갖 정치경제적인 혼란과 갈등의 무대인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에서 대학원까지 다니고도 백수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는 이십대 후반의 한 젊은이가 겪을 법한 고통스러운 삶이 펼쳐진다. 하루아침에 빈털터리가 된 이민수의 눈에 노력을 강요하는 세상은 부조리함 그 자체다. 그런 그에게 무용함에 대한 추구와 게으름 사이에서 머무는 일은 일종의 사보타주다. 하지만 이춘성의 명함에 적힌 “불확실한 것은 운명이 지배하는 영역, 확실한 것은 무릇 인간의 재주가 관할하는 영역”이라는 문구처럼, 퀴즈쇼는 이민수에게 자신의 운명과 부조리한 세상에 맞서는 계기가 된다. 퀴즈쇼가 벌어지는 ‘회사’는 지식에 대한 순수한 열정만 갖추면 승승장구하여 돈과 명예를 얻을 수 있는 곳처럼 보인다. 그러나 ‘회사’를 거꾸로 뒤집으면 ‘사회’이듯, ‘회사’ 또한 운에 의해 승부가 좌우되고 경쟁과 욕망으로 가득한 곳이다. 현실인지 환상인지 알 수 없는 ‘회사’에서 빠져나온 이민수는 헌책방에서 일하며 자신의 현실을 새롭게 쌓아올리고자 한다. ‘회사’를 통과하는 동안 그의 안에서 무언가가 변한 걸까? 그는 말한다. “이제 시작이라고 생각해. 그리고 나는 앞으로 좀 많이 달라질 것 같아.” 그렇다면 이민수에겐 밝은 내일이 기다리고 있을까?
21세기 서울은 어디로 향하는가
『퀴즈쇼』는 2007년에 초판이 발행되었다. 그러나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지금의 서울과 이 소설에 담겨 있는 서울의 풍속도는 놀랍도록 닮아 있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신자유주의가 만들어놓은 소수독과점의 경제구조, 양극화현상, 비정규직의 전면화 등 ‘삶의 자본화’ 또는 ‘삶의 생존전략화’라고 총칭할 수 있는 이 시대 젊음의 고단한 세상살이”는 더욱 심화된 것처럼 보인다. 2007년의 이민수는 2022년에 어떤 어른으로 성장했을까? 또는 반-성장했을까? 그렇다면 우리 사회에서 성장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이며, 반-성장으로서의 성장이란 어떤 것일까? 그리고 이 소설이 다시 출간되는 지금 여기에서 부모를 여의고, 빚에 시달리고, 고시원을 전전하는 2022년의 이민수들은 어떻게 살고 있으며, 우리 사회는 그들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고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퀴즈쇼』 개정판은 이러한 질문들을 우리에게 던진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영하(지은이)
소설가. 장편소설로 『작별인사』 『살인자의 기억법』 『검은 꽃』 『아랑은 왜』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 『퀴즈쇼』, 소설집으로 『오직 두 사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 『오빠가 돌아왔다』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호출』이 있다. 여행에 관한 산문 『여행의 이유』와 『오래 준비해온 대답』을 냈고 산문집으로 『보다』 『말하다』 『읽다』의 합본인 『다다다』 등이 있다.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를 번역하기도 했다. 서울에서 아내와 함께 살며 여행, 요리, 그림 그리기와 정원 일을 좋아한다. 2018년 오영수문학상, 2015년 김유정문학상, 2012년 이상문학상, 2007년 만해문학상, 2004년 동인문학상, 2004년 이산문학상, 2004년 황순원문학상, 1999년 현대문학상, 1996년 문학동네 작가상을 수상했다.

목차
1장 벽 속의 요정 007 2장 귓속말 069 3장 새벽의 설움 113 4장 방으로 가득한 저택 151 5장 수족관 속의 상어 239 6장 흰개미굴 293 7장 회사 365 8장 장판교의 롱맨 431 9장 어제의 책, 오늘의 나 491 개정판을 내며 522 초판 작가의 말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