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보육학개론

보육학개론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한성심, 韓聖心, 1959- 김현자, 金顯子, 1968-, 저 이미영, 저
Title Statement
보육학개론 = Introduction to child care and education / 한성심, 김현자, 이미영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창지사,   2022  
Physical Medium
281 p. : 삽화 ; 24 cm
ISBN
979116328448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73-28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9053
005 20230113094108
007 ta
008 230112s2022 ulka b 000c kor
020 ▼a 9791163284482 ▼g 93370
035 ▼a (KERIS)BIB000016536663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72.21 ▼2 23
085 ▼a 372.21 ▼2 DDCK
090 ▼a 372.21 ▼b 2022z17
100 1 ▼a 한성심, ▼g 韓聖心, ▼d 1959- ▼0 AUTH(211009)125161
245 1 0 ▼a 보육학개론 = ▼x Introduction to child care and education / ▼d 한성심, ▼e 김현자, ▼e 이미영 공저
260 ▼a 서울 : ▼b 창지사, ▼c 2022
300 ▼a 281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 p. 273-281
700 1 ▼a 김현자, ▼g 金顯子, ▼d 1968-, ▼e▼0 AUTH(211009)133132
700 1 ▼a 이미영,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22z17 Accession No. 11187426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보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보육실천분야에서 변화되는 지식과 정보 습득에 도움이 되며, 보육교사로서의 성장에 필요한 기초 지식, 기술, 태도를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두는 기본 교재다. 우리나라 보육의 역사와 흐름을 이해하고 사회변화에 따른 보육의 발전방안을 함께 생각하고 토론하는 수업의 장을 만들 수 있도록 집필되었다.

최근 우리사회는 초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보육환경의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는 현실에 놓여 있습니다. 아이 맡길 곳이 없다는 이유로 임신을 무한정 미루고 있는가 하면, 부모의 직장 근처에 좋은 어린이집이 있는 곳을 찾아서 이사를 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기혼가족이나 예비부모들에게 양질의 보육 환경은 너무나 절실한 현실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해서 국가는 「영유아보육법」을 여러 차례 개정하였고 보육정책의 변화와 발전도 거듭되고 있습니다. 이 같은 배경 하에 보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보육실천분야에서 변화되는 지식과 정보 습득에 도움이 되며, 보육교사로서의 성장에 필요한 기초 지식, 기술, 태도를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두는 기본 교재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우리나라 보육의 역사와 흐름을 이해하고 사회변화에 따른 보육의 발전방안을 함께 생각하고 토론하는 수업의 장을 만들자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한성심(지은이)

강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문학박사 아동복지론(2015, 공저) 외 다수

김현자(지은이)

두원공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문학박사 보육과정(2019, 공저) 외 다수

이미영(지은이)

화성시청 아동보육과 소속 오산대학교 아동보육과 강사 강남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육학석사 발달이 느린 우리 아이를 위한 최선의 선택(2020, 공저) 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Chapter 01 보육의 이해
1. 보육의 개념
2. 보육의 필요성
3. 보육 패러다임의 변화
Chapter 02 보육사상의 이해
1. 보육사상의 개념
2. 보육사상과 보육의 관점
Chapter 03 보육경험과 영유아발달
1. 보육의 질적 요인
2. 보육경험과 영유아의 발달
3. 영유아발달에 적합한 보육경험
Chapter 04 보육제도와 정책
1. 우리나라 보육제도의 변천과 정책
2. 영유아보육법
3. 보육서비스 전달체계
Chapter 05 보육실천의 다양화
1. 장애위험 영유아/장애영유아 보육서비스
2. 다문화 영유아 보육서비스
3. 방과후 돌봄서비스
Chapter 06 어린이집의 설치와 운영
1. 어린이집의 설치
2. 어린이집의 유형
3. 어린이집의 운영

Chapter 07 보육교직원의 역할과 자질
1. 보육교직원의 특성
2. 보육교직원의 자질 및 역할
3. 보육교직원의 윤리
4.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향상
Chapter 08 어린이집과 부모 및 지역사회의 협력
1. 어린이집과 부모의 협력
2. 어린이집과 지역사회의 협력
Chapter 09 보육과정의 특성 및 운영
1. 보육과정의 특성
2. 보육과정의 운영
Chapter 10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구성과 내용
1. 표준보육과정의 개요
2. 표준보육과정의 구성방향
3. 표준보육과정의 내용
Chapter 11 어린이집의 환경구성
1. 어린이집 환경의 이해
2. 어린이집 실내외 환경구성과 놀이자료 지원
Chapter 12 어린이집의 운영관리
1. 어린이집 운영관리 개요
2. 어린이집 인적관리
3. 어린이집 시설관리
4. 어린이집 사무관리
5. 어린이집 건강 ㆍ 영양 ㆍ 안전관리
Chapter 13 보육평가
1. 보육평가의 개념 및 필요성
2. 보육평가의 대상과 방법
3. 보육과정 운영 평가
4. 어린이집 평가제의 운영체계와 절차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