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015 | |
005 | 20230116085956 | |
007 | ta | |
008 | 230112s2022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328425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398911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158.3 ▼2 23 |
085 | ▼a 158.3 ▼2 DDCK | |
090 | ▼a 158.3 ▼b 2022z18 | |
245 | 0 0 | ▼a 상담의 이론과 실제 = ▼x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 ▼d 장성화 [외]공저 |
250 | ▼a 제3판 | |
260 | ▼a 서울 : ▼b 동문사, ▼c 2022 | |
300 | ▼a 473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공저자: 김순자, 윤향숙, 박지현, 황윤미 | |
500 | ▼a 부록: 사례발표 | |
504 | ▼a 참고문헌(p. 455-463)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장성화, ▼g 張星化, ▼d 1973-, ▼e 저 ▼0 AUTH(211009)100796 |
700 | 1 | ▼a 김순자, ▼g 金順子, ▼d 1959-, ▼e 저 ▼0 AUTH(211009)75174 |
700 | 1 | ▼a 윤향숙, ▼g 尹鄕淑, ▼d 1973-, ▼e 저 ▼0 AUTH(211009)124402 |
700 | 1 | ▼a 박지현, ▼g 朴志現, ▼e 저 |
700 | 1 | ▼a 황윤미, ▼g 黃允美, ▼e 저 ▼0 AUTH(211009)33122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8.3 2022z18 | Accession No. 1118741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상담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상담이론과 실제라는 과목을 수강하는학부생, 대학원생, 전문상담 교사, Wee 센터, 1318 청소년 상담기관, 평생교육기관에 종사하시는 선생님들과 독자들에게 도움(그림, 표, 상담사례 등)을드리기 위해 집필하였다.
근래에 학교폭력 상담, 진로상담, 자살상담, 학교부적응 상담, 군 생활부적응 상담 등의 어려움으로 비행과 탈선, 중도학업 포기, 자살시도 등의행위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넘어서 국가차원의 사회전반적인 문제로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과정들로 인하여 상담심리에 대한 관심과 학업을시도하는 자들이 계속해서 늘어남으로 학부과정에 상담심리학과가 많이개설되고 있다. 그리고 대학원, 교육대학원, 특수대학원에 상담심리학과,심리학과, 군상담심리학과 등에서 상담심리를 공부하고 있다. 이에 본 집필진은 상담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상담이론과 실제라는 과목을 수강하는학부생, 대학원생, 전문상담 교사, Wee 센터, 1318 청소년 상담기관, 평생교육기관에 종사하시는 선생님들과 독자들에게 도움(그림, 표, 상담사례 등)을드리기 위해 집필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장성화(지은이)
건국대학교 동 대학원 박사 현) 공군사관학교 심리리더십학과 교수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학회장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군경소방, 대학, 집단) 한국청소년상담학회 학회장 저서: 상담이론과 실제 외 20편 논문: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 타당화 연구 외 70편
박지현(지은이)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현) 서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컨설팅위원 충청북도청주교육지원청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저서: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등 논문: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동기강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검증 등
김순자(지은이)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현) 진로상담협회 수석부회장 서울한영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수련감독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집단, 대학, 진로) 저서: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심리학개론 등 논문: 직업카드를 활용한 중학생의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효과 연구 등
윤향숙(지은이)
건국대학교 동 대학원 박사(수료) 현) 한국교육력회복연구소 소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수련감독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대학, 진로, 교정)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경기 및 강원 지역학회장 저서: 상담심리학 이론과 실제,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등 논문: 감염병 대유행 시대의 비대면 집단상담 사례연구: 교사들의 직무스트레 스를 중심으로 등
황윤미(지은이)
건국대학교 동 대학원 박사 현) 건국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상담전문교수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이사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진로, 심리치료),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한국상담학회 자격관리위원장 저서: 집단상담, 상담심리학 등 논문: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 치는 영향 등

Table of Contents
|머리말| PART 01- 상담의 기초 Chapter 01 상담자의 의미 1. 상담의 정의 2. 생활지도·심리치료 3. Strong의 EAT Chapter 02 상담의 목표 1. 소극적 목표 2. 적극적 목표 Chapter 03 상담의 기본 원리 1. 개별화의 원리 2. 의도적 감정표현의 원리 3. 통제된 정서 관여의 원리 4. 수용의 원리 5. 비판단적 태도의 원리 6. 자기결정의 원리 7. 비밀보장의 원리 Chapter 04 상담의 기본 조건 1. 신뢰 2. 수용 3. 긍정적 존중 4. 공감적 이해 5. 진실성(일치성) Chapter 05 상담의 유형 및 기능 1. 상담의 유형 _ 39 2. 상담의 기능 _ 43 PART02-상담이론의 개요 Chapter 06 상담이론 ■정신역동적 분석이론 1. 정신분석 상담 2. 분석심리학 상담 3. 개인심리학 상담 ■행동주의적 분석이론 4. 행동주의 상담 ■인본주의적 분석이론 5. 인간중심 상담 6. 실존주의 상담 7. 형태주의 상담 ■인지주의적 분석이론 8. 인지정서행동 상담 9. 교류분석 상담 10. 현실치료 상담 PART03-상담이론 분석 ■정신역동적 분석이론 Chapter 07 정신분석 상담 1. Freud 2. 인간관 3. 주요 개념 및 기법 4. 상담목표와 과정 5. 평가 6. 요약 7. 상담사례 Chapter 08 분석심리학 상담 1. Jung 2. 인간관 3. 주요 개념 및 기법 4. 상담목표와 과정 5. 평가 6. 요약 7. 상담사례 Chapter 09 개인심리학 상담 1. Adler 2. 인간관 3. 주요 개념 및 기법 4. 상담목표와 과정 5. 평가 6. 요약 7. 상담사례 ■행동주의적 분석이론 Chapter 10 행동주의 상담 1. Watson 등 2. 인간관 3. 주요 개념 및 기법 4 상담목표와 과정 5. 평가 6. 요약 7. 상담사례 ■인본주의적 분석이론 Chapter 11 인간중심 상담 1. Rogers 2. 인간관 3. 주요 개념 및 기법 4. 상담목표와 과정 5. 평가 6. 요약 7. 상담사례 Chapter 12 실존주의 상담 1. Frankl 2. 인간관 3. 주요 개념 및 기법 4. 상담목표와 과정 5. 평가 6. 요약 7. 상담사례 Chapter 13 형태주의 상담 1. Perls 2. 인간관 3. 주요 개념 및 기법 4. 상담목표와 과정 5. 평가 6. 요약 7. 상담사례 ■인지주의적 분석이론 Chapter 14 인지?정서?행동 상담 1. Ellis 2. 인간관 3. 주요 개념 및 기법 4. 상담목표와 과정 5. 평가 6. 요약 7. 상담사례 Chapter 15 교류분석 상담 1. Berne 2. 인간관 3. 주요 개념 및 기법 4. 상담목표와 과정 5. 평가 6. 요약 7. 상담사례 Chapter 16 현실치료 상담 1. Glasser 2. 인간관 3. 주요 개념 및 기법 4. 상담목표와 과정 5. 평가 6. 요약 7. 상담사례 PART04-상담의 실제 Chapter 17 상담자의 역할과 자질 1. 상담자의 역할 2. 상담자의 자질 Chapter 18 상담의 기법 1. 비언어적 기법 2. 언어적 기법 Chapter 19 상담의 과정 1. 초기 단계 2. 중기 단계 3. 종결 단계 4. 사례개념화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