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9014 | |
005 | 20230116085945 | |
007 | ta | |
008 | 230112s2022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63284284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6517244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616.89/1656 ▼2 23 |
085 | ▼a 616.891656 ▼2 DDCK | |
090 | ▼a 616.891656 ▼b 2022z4 | |
245 | 0 0 | ▼a 통합예술심리치료의 이해 / ▼d 이미나 [외]공저 |
246 | 1 1 | ▼a Understanding integrative arts psychotherapy |
260 | ▼a 서울 : ▼b 동문사, ▼c 2022 | |
300 | ▼a 343 p. ; ▼c 26 cm | |
500 | ▼a 공저자: 김동일, 김병남, 주은하, 천문진, 추양 | |
504 | ▼a 참고문헌: p. 321-343 | |
700 | 1 | ▼a 이미나, ▼d 1968-, ▼e 저 ▼0 AUTH(211009)145695 |
700 | 1 | ▼a 김동일, ▼g 金東一, ▼d 1969-, ▼e 저 ▼0 AUTH(211009)145693 |
700 | 1 | ▼a 김병남, ▼e 저 |
700 | 1 | ▼a 주은하, ▼e 저 |
700 | 1 | ▼a 천문진, ▼e 저 |
700 | 1 | ▼a 추양,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656 2022z4 | Accession No. 11187417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예술치료(arts therapy)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과 현대의학, 심리치료이론, 상담이론이 통합된 다각적인 치료기법이다. 창조적인 예술활동을 통해 내담자의 감정이나 내면세계를 자발적으로 표현하게 하고, 사고나 감정, 행동의 제한점을 개선 및 유지시키는 것에 활용된다. 예술치료는 예술의 장르가 다양하고 치료의 개념이 치유와 구별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있어 다양한 유형으로 개념 정의가 가능하다.
예술치료(arts therapy)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과 현대의학, 심리치료이론, 상담이론이 통합된 다각적인 치료기법이다. 창조적인 예술활동을 통해 내담자의 감정이나 내면세계를 자발적으로 표현하게 하고, 사고나 감정, 행동의 제한점을 개선 및 유지시키는 것에 활용된다. 예술치료는 예술의 장르가 다양하고 치료의 개념이 치유와 구별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있어 다양한 유형으로 개념 정의가 가능하다.
통합예술심리치료는 미국의 통합사상가인 윌버(Wilber)의 이론을 적용한 심리치료적 접근이다.
본서의 구성은 총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통합예술심리치료의 이해, 제2장에서는 통합예술과 매체, 제3장에서는 통합적 문화예술교육의 이해,제4장에서는 통합적 문화와 예술의 변화, 제5장에서는 음악교육과 음악치료, 제6장에서는 독서치료, 제7장에서는 정서 중심 이야기치료, 제8장에서는 저널치료,제9장에서는 시치료, 제10장에서는 푸드아트테라피의 이해, 제11장에서는 영화와 영화치료, 제12장에서는 놀이와 놀이치료, 제13장에서는 미술과 미술치료, 제14장에서는 모래를 활용한 심리치료, 제15장에서는 통합예술심리 상담과정, 마지막으로 제16장에서는 통합예술심리상담사의 역할과 전문성을 살펴볼 것이다.
본 내용이 대학과 대학원에서의 상담심리학 과목으로는 물론이고 통합예술매체를 활용한 심리상담을 전공하는 상담사와 통합예술심리치료에 대해 연구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미나(지은이)
아동가족학박사 상담심리학박사 광신대학교 복지상담융합학부 교수 광신대학교 대학원 휴먼서비스교육학과 주임교수 <주요 저서> 영유아발달, 부모교육, 모래상자치료 입문 임상미술치료이론과 실제, 다문화가족복지와 상담 청소년교육론,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중독상담과 재활, 노인돌봄과 노인상담
김병남(지은이)
교육학박사 현) 해남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동반자 해남디딤상담교육연구소장
김동일(지은이)
현) 광신대학교 초빙교수 현) 주식회사 토브컴퍼니 전임강사 전) 광주광역시평생교육사협회 사무국장, 티엔글로벌·광주인재개발원· 초당대학교 강사
주은하(지은이)
교육학박사 현) 은하수심리상담센터장 광주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학교폭력심의위원
천문진(지은이)
교육학박사 현) 해남군드림스타트 통합사례관리사 해남디딤상담교육연구소 자문위원
추양(지은이)
교육학박사 현) 마음숲심리상담센터장 마음숲마을학교 대표

Table of Contents
머리말 Chapter 01 ㆍ 통합예술심리치료의 이해 1. 통합예술심리치료의 정의 2. 통합예술심리치료의 이론적 메커니즘 3. 통합예술심리치료의 역사 Chapter 02 ㆍ 통합예술과 매체 1. 통합예술로의 접근 2. 매체와 미디어 리터러시 Chapter 03 ㆍ 통합적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1. 문화교육과 예술교육 2. 문화예술교육 3. 문화예술교육의 영역 Chapter 04 ㆍ 통합적 문화와 예술의 변화 1. 포스트모더니즘 2. 시각문화 3. 영상문화 4. 기술적 상상력 Chapter 05 ㆍ 음악교육과 음악치료 1. 음악교육의 이해 2. 음악치료의 이해 3. 음악치료의 기법과 구성 4. 음악치료의 이론 Chapter 06 ㆍ 독서치료 1. 독서치료의 이해 2. 독서치료의 유형 3. 독서치료의 목표 4. 독서치료의 심리학적 관점 5. 독서치료의 과정 6. 독서치료의 효과 Chapter 07 ㆍ 정서 중심 이야기치료 1. 정서적 의사소통 2. 정서조절 3. 이야기치료 Chapter 08 ㆍ 저널치료 1. 저널치료에 대한 이해 2. 저널치료의 효과 3. 저널치료 선행연구 Chapter 09 ㆍ 시치료 1. 시치료에 대한 이해 2. 시치료와 상징 3. 시치료와 콤플렉스 4. 시치료와 개성화 Chapter 10 ㆍ 푸드아트테라피 1. 푸드아트테라피의 개념 2. 푸드아트테라피의 특징 3. 푸드아트테라피 상담과정 Chapter 11 ㆍ 영화와 영화치료 1. 영화의 이해 2. 영화치료의 이해 3. 영화치료의 과정 Chapter 12 ㆍ 놀이와 놀이치료 1. 놀이의 이해 2. 놀이치료의 이해 3. 놀이치료의 과정 Chapter 13 ㆍ 미술과 미술치료 1. 미술치료의 이해 2. 미술치료의 목표 3. 미술치료의 장점 267 4. 미술치료의 이론 269 Chapter 14 ㆍ 모래상자를 활용한 심리치료 1. 모래치료의 이해 2. 모래치료의 목표 3. 모래치료의 장점 4. 모래치료와 개성화 과정 Chapter 15 ㆍ 통합예술치료 상담과정 1. 상담의 초기과정 2. 상담의 중기과정 3. 상담의 종결과정 Chapter 16 ㆍ 통합예술심리상담사의 역할과 전문성 1. 상담사의 역할 2. 상담사의 전문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