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8822 | |
005 | 20230111135928 | |
007 | ta | |
008 | 230111s2022 ggka b 001c kor | |
020 | ▼a 9791197866005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6535210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155.5 ▼2 23 |
085 | ▼a 155.5 ▼2 DDCK | |
090 | ▼a 155.5 ▼b 2022z2 | |
100 | 1 | ▼a 김청송, ▼g 金靑松, ▼d 1965- ▼0 AUTH(211009)114183 |
245 | 1 0 | ▼a 현대 청소년심리 및 상담 = ▼x Modern adolescent psychology and counseling / ▼d 김청송 저 |
250 | ▼a 제2판 | |
260 | ▼a 수원 : ▼b 싸이앤북스, ▼c 2022 | |
300 | ▼a 427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405-422)과 색인수록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5 2022z2 | 등록번호 11187398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5-3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청소년이란 누구이며, 어떤 존재인가? 이 질문 하나만 해도 청소년기가 일생에서 매우 특별한 시기임을 나타낸다. 전생애 인간발달 중 특히 청소년기가 부각되는 이유는 본질적으로 청소년기 역시 발달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발달적 존재이기 때문에 청소년은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도전과 기회의 시기에 있으며, 인생 연습과 경험을 통해 전진하고 도약하고 비상할 수 있다. 이제 청소년기 발달은 심리학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연구하는 모든 학문 분야의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중요한 연구영역임이 분명해졌다. 그러므로 본 저서는 청소년기 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모든 독자들이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고, 청소년들의 건강한 삶을 안내해 주는 지혜와 해법을 얻는데 필요한 과학적 지침서가 될 것이다.
2판 머리말
저자가 2009년 2월 『청소년심리학의 이론과 쟁점(서울: 학지사)』을 출간한 이후 만 10년의 세월이 흐른 다음, 2019년 2월 『현대 청소년심리 및 상담』을 출간하였다. 그러나 의욕적으로 시작했던 책의 원고가 저자의 마음에 들지 않아 제2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모든 일이 그렇듯이, 뜻한 바를 이루기 위해서는 용기와 인내 그리고 집중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절감하게 되었다. 이에 제2판은 청소년심리 및 상담을 보다 충실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했고 청소년기 발달의 과학적, 실용적, 입체적 지침서가 될 수 있도록 추가·수정·보완하였다.
청소년이란 누구이며, 어떤 존재인가? 이 질문 하나만 해도 청소년기가 일생에서 매우 특별한 시기임을 나타낸다. 전생애 인간발달 중 특히 청소년기가 부각되는 이유는 본질적으로 청소년기 역시 발달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발달적 존재이기 때문에 청소년은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도전과 기회의 시기에 있으며, 인생 연습과 경험을 통해 전진하고 도약하고 비상할 수 있다.
이제 청소년기 발달은 심리학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연구하는 모든 학문 분야의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중요한 연구영역임이 분명해졌다. 그러므로 청소년기 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모든 독자들이 본 저서를 통해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고, 청소년들의 건강한 삶을 안내해 주는 지혜와 해법을 얻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랄 뿐이다.
2022년 7월
김청송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청송(지은이)
약 력 ‧ 중앙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임상심리학 전공, 심리학박사)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정신과 수련과정 이수 ‧ 한국 건강심리전문가(자격번호 건44호) ‧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Floria Atlantic University) 객원교수 역임 ‧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편집위원장 역임 ‧ 한국건강심리학회 회장 역임 ‧ 한국청소년학회 회장(2021.2~현재) ‧ 현)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청소년학과 교수(2001.3~현재) 경기대학교 행정복지상담대학원 원장(2019.2~현재) 저서 및 역서 ‧ 통증심리학(중앙적성출판사, 1997) ‧ 건강심리학(공역, 센게이지러닝, 2002; 2008; 2015; 2019) ‧ 인간행동과 심리학(공저, 학지사, 2005; 2006; 2010; 2015) ‧ 청소년심리학의 이론과 쟁점(학지사, 2009) ‧ 아동·청소년 발달문제론(공저, 시그마프레스, 2010) ‧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싸이북스, 2015; 2016) ‧ 현대 청소년심리 및 상담(싸이앤북스, 2019; 2022) ‧ 행복의 선택 - 긍정심리와 자기성장 -(싸이앤북스, 2021) 외 다수 논 문 ‧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2009) 외 다수

목차
제1부 청소년심리의 이해 제1장 청소년심리학의 기초 1. 청소년기의 시작과 끝 2. 청소년기의 연장 3. 청소년심리학의 정의 4. 청소년기의 발달특성 5. 청소년과 급변하는 사회 6. 청소년기 발달과 문제행동 제2장 청소년심리의 이론적 관점 1. 초기이론 2. 생물학적 이론 3. 정신분석이론 4.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5. 인지발달이론 6. 사회인지이론 7. 인본주의이론 8. 사회문화이론 9. 생태학적 이론 제2부 청소년기의 심리적 발달 제3장 청소년기의 생물학적 발달 1. 사춘기 2. 성적 성숙 3. 청소년기의 신체적 성장 4. 신체변화와 심리적 적응 제4장 청소년기의 정서발달 1. 정서와 정서의 분류 2. 청소년기 정서의 특징 3. 청소년기 정서의 유형 제5장 청소년기의 인지발달 1. 인지와 인지발달 2.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3. 청소년기의 자기중심성 4. 청소년기의 지적 능력과 창의성 제6장 청소년기의 도덕성 발달 1. 도덕성 발달이론 2. 청소년기의 도덕성 제7장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발달 1. 자아와 자아정체감 2. 자기이해의 발달 3. 자아정체감 발달이론 제8장 청소년기의 성격발달 1. 성격의 정의 2. 성격연구의 발달 3. 정신분석이론 4. 청소년기의 성격변화 제3부 청소년기의 사회적 발달 제9장 청소년기의 가정 1. 청소년기와 가족관계이론 2. 가족관계와 청소년 발달 3. 가족구조의 변화 제10장 청소년기의 성과 성역할 1. 청소년의 성 발달 2. 청소년의 성역할 3. 청소년기의 이성교제와 사랑 4. 청소년의 성 태도와 행동 제11장 청소년기의 친구관계 1. 친구관계 2. 또래집단 3. 집단따돌림 제12장 청소년기의 학업과 진로 1. 청소년과 학업 2. 청소년과 진로 3. 직업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제13장 청소년기의 여가와 일 1. 여가와 청소년 발달 2. 일과 청소년 발달 제14장 청소년기의 심리적 부적응 1. 심리적 부적응 2. 적응장애 3. 우울장애 4. 자살 5. 품행장애 제4부 청소년상담의 이해와 실제 제15장 청소년상담의 이해 1. 청소년상담 2. 청소년상담자의 자질 3. 청소년상담의 과정 4. 청소년상담 기법 제16장 청소년상담이론 1. 정신분석 상담이론 2. 개인심리 상담이론 3. 행동주의 상담이론 4. 인지행동 상담이론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인지치료 5. 인간중심 상담이론 6. 게슈탈트 상담이론 7. 교류분석 상담이론 8. 현실치료 상담이론 9. 해결중심 상담이론 제17장 청소년 집단상담 1. 집단상담의 기초 2. 집단상담자의 자질 3. 집단상담의 계획과 과정 4. 집단상담 이론의 시사점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