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8742 | |
005 | 20230113104931 | |
007 | ta | |
008 | 230111s2022 ggka 000c kor | |
020 | ▼a 9791161253718 ▼g 03320 | |
040 | ▼a 211092 ▼c 211092 ▼d 211092 | |
082 | 0 4 | ▼a 332.6324 ▼2 23 |
085 | ▼a 332.6324 ▼2 DDCK | |
090 | ▼a 332.6324 ▼b 2022z54 | |
100 | 0 | ▼a 레비앙 |
245 | 1 0 | ▼a 부린이가 가장 궁금한 질문 TOP 99 / ▼d 레비앙 지음 |
246 | 3 | ▼a 부린이가 가장 궁금한 질문 탑 나인티나인 |
246 | 3 | ▼a 부린이가 가장 궁금한 질문 탑 구십구 |
260 | ▼a 고양 : ▼b 더디퍼런스, ▼c 2022 | |
300 | ▼a 295 p. : ▼b 삽화 ; ▼c 21 cm | |
500 | ▼a "지식in보다 명쾌한 '나의 부동산 고민 해답지'" -- 겉표지 | |
500 | ▼a 부록: 누군가에게 차마 물어보기 힘든 부동산 용어 | |
650 | 8 | ▼a 부동산[不動産] |
650 | 8 | ▼a 투자[投資] |
650 | 8 | ▼a 부동산투자[不動産投資] |
940 | 0 | ▼a 부린이가 가장 궁금한 질문 탑 나인티나인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2.6324 2022z54 | Accession No. 13105692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28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30의 ‘패닉바잉’, ‘영끌족’이란 단어가 등장하며 활발했던 부동산 시장이 어느새 이들을 걱정하는 목소리와 함께 심리가 가라앉고 거래 절벽이라는 기사가 나온다. 집값이 상승하는 시기에는 누구나 부동산 시장에 관심을 갖는다. 하지만 부동산 침체기와 하락기에는 시장에서 이탈하는 사람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오히려 저자는 이럴 때 부동산 공부를 하며 다음에 올 진짜 기회를 기다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한 저자의 첫 번째 책 《책으로 시작하는 부동산 공부》가 부동산 내공을 쌓는데 도움이 됐다면, 부린이에서 탈출하고 실행에 나서는 데 《부린이가 가장 궁금한 질문 TOP 99》가 조언자 역할을 해 준다.
이 책에는 사소하지만 꼭 알아야 하는 지식들, 누군가에게 차마 물어보기 힘든 질문들, 헷갈리는 부동산 용어까지 레비앙의 현장 경험이 담긴 99가지 조언이 담겨 있다. 전·월세, 매수, 매도계약이 처음이라면, 신혼부부라면 특히 주목하자. 책에서 배운 지식도 실전에서는 어떤 변수가 생길지, 어떻게 접목할지 당황할 수 있다. 살면서 꼭 한 번은 경험하게 될 질문들에 지식in보다 명쾌한 해법을 제시하는 이 책이 당신의 투자에 시행착오를 줄여 줄 것이다.
레비앙의 현장 경험이 담긴
‘실전 대비 부동산 해법서’
블로그와 독서 모임인 ‘문우공감’을 5년 넘게 운영 중인 저자는 그동안 많은 사람들에게서 부동산 관련 질문을 받곤 했다. 그럴 때마다 인생 선배로서 애정 가득 담은 실질적인 조언을, 투자 선배로서 단호하면서 현실적인 조언으로 초보자들의 고민 해결사 역할을 자처했다.
그녀 역시 초보 시절이 있었고, 누군가 옆에서 속 시원히 답해 주는 전문가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곤 했다. 초보자의 간절한 마음을 잘 알기에 그동안 받았던 질문들을 5가지 상황과 대상으로 나누어 정리했고, 자신의 투자 경험을 떠올리며 솔직하고 분명하게 조언한다.
집을 살까 말까 고민하는 무주택 부린이에게 ‘내 집 한 채’는 따지지 말고 사라고 설득한다.
집을 처음 알아보는 신혼부부에게 부모님의 도움은 감사히 받되, 결혼 이후에는 절대로 손을 벌리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집을 한 번도 안 사 본 매수 부린이에게 계약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들을 짚어 준다.
전·월세 계약 관련한 임대차 부린이에게 임대인과 임차인 각각의 상황을 함께 다뤄 이해를 돕는다.
집을 한 번도 안 팔아 본 매도 부린이에게 매도가 잘 되게 하는 꿀팁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부동산 관련 헷갈리는 용어들, 예를 들어 ‘미분양VS미계약분VS줍줍’을 함께 다루어 비교해서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그야말로 부동산 공부 후 투자를 실행할 때 고민하고 망설이는 부린이에게 든든한 길잡이가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이 책을 본 독자들의 후기 **
무론도원님
부동산 공부 좀 했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무릎을 탁 쳤습니다! 안 해 본 사람은 알 수 없는 정보들이 가득합니다! 알쏭달쏭 이걸 누구한테 물어봐야 할지 모를 때, 부동산에서는 이러는 게 관행이라는데 다 믿어도 되는지 혼란이 왔을 때, 아니 혼란이 오기 전에 미리 읽어야 할 책입니다. 특히 초보들이 놓칠 수 있는 중요한 특약내용이 담겨 있어 좋았습니다. 살아 있는 부동산 지식으로 레벨업 하십시오!
gill***
《책으로 시작하는 부동산 공부》 작가님의 현장 경험이 담긴 부동산 해법서입니다!
궁금하지만 시간이 부족하거나 타인에게 질문하기 조심스러운 질문을 친절하게 방법을 알려 주는 고마운 책이에요. 부동산 공부 방법과 함께 애정 가득 담긴 실질적인 조언은 고민만 하고 망설이는 부린이에게 오이시스 같은 책입니다.
kong***
부동산이라는 어려운 투자의 산을 등반하면서 우리는 사소하고도 작디작은 질문과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정답일 줄 알고 찾아보면 오답일 때도 많고요. 사소한 질문이라 누구에게 물어보기도 민망한데, 이 책엔 정말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칼같이 단호한 언니가 말끔하고 깔끔하게 답을 제시해 줍니다. 이러면 어떨까 저러면 어떨까 부동산 고민에서 허우적거릴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나의 부동산 고민 해답지를 여러분에게 추천합니다.
gues***
부린이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이 주제별로 질의응답 형식으로 나와 있어서 목차를 보고 궁금한 부분을 바로 찾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 책을 통해 살면서 꼭 알아야 할 부동산 관련 지식을 넓게 익힌 후 더욱 심도 있게 공부해 나간다면 부동산 공부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bb***
부동산 공부를 하는 사람에게 필독서로 추천합니다. 주변에 전문가가 없어서 부동산 공부에 답답함을 겪었다면 이 책은 그 이상의 답을 해 줄 것입니다. 마치 나만 알고 싶은 지인 전문가가 실제 경험을 있는 그대로 녹여 놓은 책입니다!
zozo***
지금까지 부린이들을 위한 책이 많이 나왔지만 이런 형식은 처음이네요! 속 시원히 긁어 주는 말들이 가득합니다. 누구한테 물어볼 수도, 알려주지도 않는 말들이 다 들어 있어요. 살면서 꼭 한 번은 궁금했던 것들을 알려주니 안 읽으면 손해입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레비앙(지은이)
내 집 마련을 위해 부동산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 무엇부터 해야 할지 몰라 책부터 읽었다. 부동산부터 경제, 자기계발 분야까지, 베스트셀러부터 신간, 스테디셀러까지 거의 모든 책을 읽었고 후기를 블로그에 기록하였다. 그렇게 ‘레비앙의 블로그’에는 500권이 넘는 책 리뷰가 쌓였고, 더해지는 책의 수만큼 부동산을 보는 안목도 쌓여 갔다. 이를 부동산 투자에 접목하였고, 다수의 경험을 살려 《책으로 시작하는 부동산 공부》와 《부린이가 가장 궁금한 질문 TOP 99》를 출간하였다. 공부에서 그치지 않고 실행한 결과 내 집 마련을 넘어 경제적 목표를 이루었다. 더불어 ‘책, 동료, 새로운 꿈’을 얻으며 제2의 인생을 살게 되었다. 현재 독서 모임인 ‘문우공감’을 운영 중이며, 앞으로도 블로그와 모임을 통해 북멘토로서 '도움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목표가 있다.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지금이 부동산 공부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입니다
PART1 집을 살까 말까 고민하는 부린이 질문 7가지
: 부린이 탈출을 위한 기본 자세
1. 집은 꼭 사야 하나요?
2. 사고 나서 집값이 떨어지면 어쩌죠?
3. 하락이 끝나길 기다렸다가 바닥을 찍었을 때 사면 되는 거죠?
4. 집을 사지 않는 사람들의 심리는 어떤 건가요?
5. 배우자가 부동산 투자를 반대해요.
6. 남편(아내)이 반대해서 집을 못 샀는데 너무 속상해요.
7. 집값이 너무 많이 올랐는데 다음 기회가 또 올까요?
PART2 처음 집을 알아보는 신혼부부 & 부린이 질문 27가지
: 어디에 어떤 집을 사야 할까?
(신혼부부들을 위한 인생 선배의 조언)
8. 결혼할 사람과 경제관념이 많이 달라요.
9. 결혼할 때 부모님의 도움 없이 시작하려고 해요.
10. 신혼부부인데 혼인신고를 빨리 하지 말라고 하던데요?
11. 자금이 부족한 상황에서 서울 빌라 VS 경기도 아파트?
12 부모님 소유의 (마음에 안 드는) 집에 들어가서 살라고 하는데요.
13. 거주할 동네를 고르는 기준이 있나요?
14. 양육을 고려한다면 친정 근처 VS 시댁 근처, 어디가 좋을까요?
15. 처음부터 학군지에서 시작하는 것은 어떨까요?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00년차 학부모의 조언)
16. 결국 대치동으로 가지 않으면 후회할까요?
17. 자연 친화적인 곳에서 살고 싶어요.
18. 부동산으로 돈을 벌려면 엉덩이가 가벼워야 한다고 하던데요.
19. 공부 먼저 하고 집을 산다 VS 집을 사고 나서 공부한다
(본격적으로 집을 알아볼 때 생기는 궁금증)
20. 집을 사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21. 부동산을 선택하는 팁이 있을까요?
22. 부동산에 들어가기 겁나요
23. 나중에 방문한 부동산에서 이미 본 물건을 소개해 준다면?
24. 이왕이면 대단지 아파트를 선택하라고 하던데요?
25. 아파트 VS 빌라 VS 오피스텔 VS 주상복합
26. 인테리어가 잘 된 비싼 집 VS 수리가 안 된 싼 집
27. 25평 VS 33평 VS 42평
28. 1층 VS 탑층
29. 로얄층은 몇 층인가요?
30. 판상형 VS 타워형
31. 남향 VS 남서향 VS 남동향 VS 동향 VS 서향 VS 북향
32. 같은 평수라면 방 2개 VS 방 3개
33. 뷰 값이 1억이 넘는다고요?
34. 집을 알아볼 때 유용한 사이트나 앱이 있나요?
부린이가 겪은 에피소드 모음
PART3 집을 한 번도 안 사 본 매수 부린이 질문 45가지
: 똑똑하게 계약, 잔금, 등기하는 방법!
(시작이 중요해! 계약)
35. 계약금을 송금하기 전에 확인해야 할 것이 있나요?
36. 계좌번호를 받고 보통 얼마 만에 가계약금을 입금하나요?
37. 가계약금과 계약금은 보통 얼마로 하나요?
38. 가계약금을 송금하고 계약 취소가 가능한가요?
39. 계약을 취소해도 부동산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나요?
40. 계약서 작성 시 반드시 참석해야 하나요?
41. 계약금, 중도금, 잔금은 어떻게 정하나요?
42. 공동명의 VS 단독명의?
(중간 점검과 깔끔한 마무리! 중도금&잔금)
43. 중도금은 반드시 지급해야 하나요?
44. 중도금을 약속한 날짜보다 빨리 입금해도 되나요?
45. 전세를 낀 매매계약의 경우 계약금과 잔금을 어떻게 정하나요?
46. 잔금 날짜는 보통 계약일로부터 며칠 안에 하나요?
47. 매매계약 시 특약사항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48. 잔금 지급 전에 인테리어를 하고 싶어요.
49. 중개수수료는 정해진 대로 지급해야 하나요?
50. 물건지와 양타는 무슨 뜻인가요?
51. 잔금일과 등기일은 꼭 같아야 하나요?
52. 소유권을 넘긴 기준일은 언제인가요?
53. 잔금일에 꼭 챙겨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54. 매도인이 등기권리증을 분실했다고 하는데요?
55. 잔금일에 추가로 필요한 비용이 있을까요?
(이런 경우에는! 임대와 대출, 분양아파트)
56. 임대를 바로 내놓으려면 어느 부동산에 의뢰해야 할까요?
57. 임대 목적의 인테리어는 어느 정도까지 하면 될까요?
58. 분양권이나 입주권은 일반 주택 매수와 어떤 차이가 있나요?
59. 분양권 매수 시 양도세 매수자 부담이 무슨 뜻인가요?
60. 분양아파트 입주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61. 분양아파트 사전점검이 무엇인가요?
62. 입주 전 잔금을 완납하지 않고도 청소할 수 있나요?
63. 입주지정 기간 내에 잔금을 완납하지 못하면 어쩌죠?
64. 분양아파트 입주 시 잔금대출은 꼭 지정 은행에서 하나요?
65. 대출은 주거래 은행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한가요?
66. 대출 받을 은행을 알아보는 방법이 있나요?
67. 마이너스통장으로 집을 사도 되나요?
68. 대출금으로 집을 사면 안 되는 대출도 있나요?
(완전한 내 집! 등기)
69. 등기는 누가 하나요?
70. 대출이 있는 경우 셀프등기는 불가능한가요?
71. 등기비용 견적서를 미리 받아 볼 수 있나요?
72. 등기비용이 궁금해요.
73. 등기비용 – 취득세 관련 궁금증
74. 등기비용 – 증지대 관련 궁금증
75. 등기비용 – 국민주택채권 관련 궁금증
76. 등기비용 – 인지세 관련 궁금증
77. 등기비용 – 법무사 각종 대행수수료 관련 궁금증
78. 등기권리증은 언제 어떻게 받나요?
79. 집을 보유하고 있는 동안 내야 할 세금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부린이가 겪은 에피소드 모음
PART4 전·월세 계약 관련한 임대차 부린이 질문 14가지
: 임대인 VS 임차인
80. 근저당(대출)이 있는 집에 임대로 들어가도 될까요?
81. 깡통전세를 주의하라고 하던데요?
82. 임대차계약 시 꼭 넣어야 하는 특약사항이 있나요?
83. 전입신고 & 확정일자 & 임대차계약신고
84. 전세권 설정은 어떤 경우에 하나요?
85. 전세자금대출을 받으려면 집주인에게 미리 알려야 하나요?
86. 임대인(집주인)이 통보도 없이 바뀔 수도 있나요?
87. 임대인(집주인)이 바뀌었는데 새로 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나요?
88. 전세계약 기간을 2년이 아니라 1년으로 해도 되나요?
89. 집에 구멍을 뚫고 설치할 일이 있다면 임대인에게 알려야 하나요?
90. 임차인은 어느 정도까지 수리를 요구할 수 있나요?
91. 전셋집이지만 신혼이라 인테리어를 예쁘게 하고 싶어요.
92. 계약기간 만료 전에 이사를 해야 할 것 같아요.
93. 갱신 VS 묵시적 갱신 VS 계약갱신청구권
부린이가 겪은 에피소드 모음
PART5 집을 한 번도 안 팔아 본 매도 부린이 질문 6가지
: 본격적인 수익 실현 과정에서 궁금한 점
94. 적당한 매도 금액을 정하는 데 참고할 만한 기준이 있을까요?
95. 센스 있는 매도 의뢰 Tip
96. 매도가 잘 되게 하는 Tip
97. 매도 후 꼭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98. 일 년에 한 개만 매도하는 게 이익이라고 하던데요?
99. 1주택 비과세 전략 VS 다주택?
부린이가 겪은 에피소드 모음
부록 누군가에게 차마 물어보기 힘든 부동산 용어
신축 VS 준신축 VS 구축
빌라 VS 연립 VS 다세대 VS 다가구
리모델링 VS 재건축 VS 재개발
용적률 VS 건폐율
이주비대출 VS 중도금대출 VS 잔금대출
초피 VS 플피 VS 마이너스피
업계약서 VS 다운계약서
미분양 VS 미계약분 VS 줍줍
에필로그 지금 당장 무엇부터 시작하면 될까요?
Information Provided B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