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임상심리학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상규, 朴相圭, 1957-, 저 박준호, 1973-, 저 배성훈, 1980-, 저 신성만, 申聖萬, 1972-, 저 조성근, 1976-, 저 조혜선, 저 최현정, 崔縣淨, 1981-, 저 홍예영, 저
Title Statement
임상심리학 = Clinical psychology / 박상규 [외]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22  
Physical Medium
435 p. : 삽화 ; 27 cm
ISBN
9788999726729
General Note
공저자: 박준호, 배성훈, 신성만, 조성근, 조혜선, 최현정, 홍예영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8705
005 20230111164339
007 ta
008 230110s2022 ulka b 001c kor
020 ▼a 9788999726729 ▼g 93180
035 ▼a (KERIS)BIB000016237686
040 ▼a 211036 ▼c 211036 ▼d 211036 ▼d 211009
082 0 4 ▼a 616.89 ▼2 23
085 ▼a 616.89 ▼2 DDCK
090 ▼a 616.89 ▼b 2022z11
245 0 0 ▼a 임상심리학 = ▼x Clinical psychology / ▼d 박상규 [외]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2
300 ▼a 435 p. : ▼b 삽화 ; ▼c 27 cm
500 ▼a 공저자: 박준호, 배성훈, 신성만, 조성근, 조혜선, 최현정, 홍예영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박상규, ▼g 朴相圭, ▼d 1957-, ▼e▼0 AUTH(211009)132670
700 1 ▼a 박준호, ▼d 1973-, ▼e
700 1 ▼a 배성훈, ▼d 1980-, ▼e
700 1 ▼a 신성만, ▼g 申聖萬, ▼d 1972-, ▼e▼0 AUTH(211009)68681
700 1 ▼a 조성근, ▼d 1976-, ▼e▼0 AUTH(211009)118901
700 1 ▼a 조혜선, ▼e
700 1 ▼a 최현정, ▼g 崔縣淨, ▼d 1981-, ▼e▼0 AUTH(211009)113822
700 1 ▼a 홍예영,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89 2022z11 Accession No. 11187401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상규(지은이)

현재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명예교수이며, 박상규심리상담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임상심리학회 종신회원으로,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전문상담사 1급, 중독심리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 지금까지 꽃동네치료공동체에서 회복 중인 알코올 중독자와 동반하고 있다. 한국중독상담학회 회장, 한국중독심리학회 회장, 경찰청 마약류범죄수사 자문위원,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이사장, 세종충북도박문제예방치유센터 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임상심리학의 정의와 윤리
1. 임상심리학의 이해
2. 임상심리학자의 기능과 역할
3. 임상심리학자 현황과 관련 자격증
4. 임상심리학자의 윤리

제2장 임상심리학의 역사와 훈련
1. 심리학의 역사
2. 임상심리학의 역사
3. 한국에서의 임상심리학자 훈련

제3장 임상심리학의 연구방법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윤리

제4장 임상 면담
1. 면담의 목적
2. 면담자의 준비
3.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과 면담
4. 언어적 내용 및 비언어적 내용의 관찰
5. 내담자의 특성에 따른 면담
6. 가족이나 주변 사람과의 만남
7. 평가 면담의 기법
8. 면담 방식과 심리치료 이론
9. 평가 면담의 내용
10. 정신상태의 평가
11. 면담의 분류
12. 면담 진행 과정

제5장 지능평가
1. 지능의 개념과 이론
2. 지능검사의 발달
3. 웩슬러 지능검사
4. 기타 지능검사

제6장 성격평가
1. 객관적 성격검사
2. 투사적 성격검사

제7장 신경심리평가
1. 뇌 기능 손상과 인간 행동
2. 신경심리평가

제8장 정신역동치료
1. 정신역동치료의 개념
2. 정신역동치료의 실제

제9장 행동 평가와 초창기 인지행동치료
1. 행동 평가
2. 인지행동치료

제10장 인지행동치료의 현재: 수용전념치료와 변증법행동치료
1. 인지행동치료의 발전과 새로운 흐름
2. 수용전념치료
3. 변증법행동치료

제11장 인간중심치료 및 실존주의 심리치료
1. 인간중심치료의 개요
2. 인간중심치료의 이론
3. 인간중심치료의 치료적 과정
4. 인간중심치료의 최신 치료법: 동기강화상담
5.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개요
6.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이론
7.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치료적 과정

제12장 집단 심리치료
1. 집단상담
2.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
3. 집단상담의 과정
4. 집단상담 리더의 자질
5. 집단상담 리더가 높여야 할 능력
6. 집단상담 리더가 집단상담 중에 해야 할 일
7. 구조화 집단상담의 제작 및 평가 과정

제13장 가족치료와 놀이치료
1. 가족치료
2. 놀이치료

제14장 정신재활
1. 정신재활의 목표
2. 재활 모델
3. 정신재활의 기본 가치와 원리
4. 정신재활에 대한 오해들
5. 정신재활의 실제

제15장 앞으로의 임상심리학의 미래와 준비
1. 인공지능(AI)의 발달과 인간사회의 변화
2. 산업 현장과 4차 산업
3. 임상심리학과 4차 산업
4. 미래의 임상심리학자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Comer, Ronald J (2023)
Liu, Jie (2022)
Vasquez, Melba Jean Trinida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