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8668 | |
005 | 20230111084242 | |
007 | ta | |
008 | 230110s2022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9727733 ▼g 93510 | |
035 | ▼a (KERIS)BIB000016563328 | |
040 | ▼a 211032 ▼c 21103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9/14 ▼2 23 |
085 | ▼a 616.8914 ▼2 DDCK | |
090 | ▼a 616.8914 ▼b 2022z12 | |
100 | 1 | ▼a Caligor, Eve, ▼d 1956- |
245 | 1 0 | ▼a 경증 성격병리의 정신치료 / ▼d Eve Caligor, ▼e Otto F. Kernberg, ▼e John F. Clarkin 지음 ; ▼e 최영민 [외]옮김 |
246 | 1 9 | ▼a Handbook of dynamic psychotherapy for higher level personality pathology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2 | |
300 | ▼a 348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공역자: 방현숙, 손아영, 송영옥, 이선이, 임유리, 최지애 | |
504 | ▼a 참고문헌(p. 335-343)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dynamic psychotherapy ▼v Handbooks, manuals, etc. |
650 | 0 | ▼a Personality disorders ▼x Treatment ▼v Handbooks, manuals, etc. |
700 | 1 | ▼a Kernberg, Otto F., ▼d 1928-, ▼e 저 ▼0 AUTH(211009)13512 |
700 | 1 | ▼a Clarkin, John F., ▼d 1938-, ▼e 저 ▼0 AUTH(211009)18326 |
700 | 1 | ▼a 최영민, ▼e 역 ▼0 AUTH(211009)95242 |
700 | 1 | ▼a 방현숙, ▼e 역 ▼0 AUTH(211009)148994 |
700 | 1 | ▼a 손아영, ▼e 역 |
700 | 1 | ▼a 송영옥, ▼e 역 |
700 | 1 | ▼a 이선이, ▼e 역 |
700 | 1 | ▼a 임유리, ▼e 역 ▼0 AUTH(211009)148995 |
700 | 1 | ▼a 최지애, ▼e 역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 2022z12 | 등록번호 1118738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 2022z12 | 등록번호 1118744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경증 성격병리 환자에 대한 세밀한 설명과 함께 이들을 위한 역동적 정신치료가 어떻게 시행되는지에 대한 설명을 매우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역동적 정신 치료 지침서답게, 치료를 전체적으로 구조화하고 치료 목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어떻게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지부터 매 회기 매 순간 치료자가 어떻게 환자와 상호작용하며 치료적으로 개입하는지에 대한 기법의 설명에 이르기까지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각자의 내면에 깊숙이 숨어있는 성격병리를
끄집어내어 풀어내는 친절한 치료 매뉴얼
이 책은 성격병리 중 어떤 특정한 형태의 정신역동적 치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그것을 DPHP(Dynamic Psychotherapy for Higher level Personality pathology, 경증 성격병리에 대한 역동적 정신치료)라고 말한다. 현대의 정신역동적 대상관계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이 치료는, 개인의 심리적 삶이 내적 대상관계라고도 불리는 내적 관계 양상을 중심으로 체계화되는 방식에 초점을 둔다. 이 치료에서 우리는 환자의 현재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그의 내적 관계 양상을 탐색하고 최종적으로 수정한다. 설명된 치료 모델은 전이초점 정신치료 (Transference-Focused Psychotherapy: TFP)에서 발전한 것이다.
경증 성격병리 환자에 대한 세밀한 설명과 함께 이들을 위한 역동적 정신치료가 어떻게 시행되는지에 대한 설명을 매우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역동적 정신 치료 지침서답게, 치료를 전체적으로 구조화하고 치료 목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어떻게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지부터 매 회기 매 순간 치료자가 어떻게 환자와 상호작용하며 치료적으로 개입하는지에 대한 기법의 설명에 이르기까지 꽤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단순한 이론적 설명이 아니라 풍부한 임상 사례가 곁들여 있어 마치 상담 현장에서 임상 실습을 하는 느낌을 준다. 상담과 치료 현장에 있는 모든 상담자와 치료자를 위한 핸드북이다. 상담 공부를 하거나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Otto F. Kernberg(지은이)
1928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출생하였고, 1939년 나치를 피해 칠레로 이주하여 생물학, 의학, 정신의학 및 정신분석을 공부하였다. 1961년 미국으로 건너간 후 메닝거 메모리얼병원 Director, 토페카 정신분석연구소 지도감독 및 훈련 분석가,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미국 정신분석학회 회장과 국제 정신분석학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 뉴욕 Presbyterian병원, Westchester분원의 경계선 인성장애 리소스센터의 임상 Director이며, 인성장애연구소의 Director이다. 또한 코넬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교수로 재직 중이며 컬럼비아대학교 정신분석 훈련연구센터의 훈련 및 지도감독 분석가로 활동 중이다.
John F. Clarkin(지은이)
뉴욕 장로교 웨스트체스트 병원의 성격장애연구소의 공동 책임자이자 웨일 코넬 의과대학, 코넬 의생명과학대학원의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다. 그는 국제정신치료연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Eve Caligor(지은이)
뉴욕에 위치한 컬럼비아 의과대학의 정신건강의학과 임상교수이다. 그녀는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정신분석 교육연구소의 교육, 분석감독관 및 책임자를 역임하고 있다.
최영민(옮긴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이다. 설리반의 이론과 현대 인간관계 정신분석을 지향하는 인간관계 분석치료회에서 수련을 받았으나(1992~1995), 특정학파에 소속하지 않고 정신분석 각 학파의 개념들을 비교분석하는 작업을 계속해 오고 있다. 궁극적으로 기독교 신앙 안에서 정신분석 개념들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하고 있다. 「정신분석의 역사-분석이론의 진화를 중심으로」 「정신병리적 종교성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상호주관성-정신분석 패러다임의 변화」 「자아심리학과 대상관계이론의 비교」 「기독교 신앙이 외래 정신분열병 환자에 미치는 영향」 등 55편의 논문이 있으며, 『영성지향심리치료』 『새로운 나를 여는 열쇠』 등 10권의 저서 및 역서가 있다. 2010년에 출판된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은 대한민국학술원 기초학문육성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현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주임교수이며,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이다.
송영옥(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방현숙(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손아영(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선이(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임유리(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최지애(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서론과 개요 환자 DPHP의 개요 어떤 환자에게 어떤 치료를 할 것인가 제1부 경증 성격병리의 이론적 이해 제2장 성격병리에 대한 정신역동적 접근 성격과 성격병리 경증 성격병리 성격 경직성 방어기제와 성격 경직성 무의식적 갈등 제3장 성격병리에서 보이는 내적 대상관계, 정신 구조, 주관적 경험 자기표상, 대상표상, 그리고 성격 경직성 성격병리에서 내적 대상관계와 방어 작용 오이디푸스 갈등 구조적 변화 제2부 경증 성격병리의 정신치료 제4장 DPHP의 기본 요소 DPHP의 기본 과제들 전이란 무엇이며, DPHP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DPHP에서 변화 작용원리와 기법 이론 변화 작용원리: 해석과 담아내기 제5장 DPHP의 전략과 치료 설정 전략에 대한 개관 전략 1: 지배적 대상관계 규정하기 전략 2: 지배적 대상관계에 내재된 갈등을 관찰하고 해석하기 전략 3: 치료 목표로 초점 좁히기 전략 4: 확인된 갈등을 훈습하기-갈등적 대상관계를 환자의 의식적 자기경험으로 통합하기 치료 설정과 치료틀 정신치료적 관계 치료틀로부터의 일탈 치료 동맹 제6장 DPHP의 기법: 환자에 대해 경청하기 환자에 대해 경청하기 환자의 언어적 소통을 듣기 비언어적인 환자의 소통을 ‘듣기’ 제7장 DPHP의 기법: 개입 기법적 중립성 해석 저항 분석 성격 분석 해석 및 담아내기 제8장 DPHP의 전술 전술 1: 개입할 부분-우선적 주제 찾기 전술 2: 갈등을 정의하기 전술 3: 지배적 갈등의 체계적인 분석 전술 4: 지배적 갈등과 치료 목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제3부 환자 평가, 치료 단계 및 기타 치료들과 DPHP의 병합요법 제9장 환자 평가와 감별 치료 계획 환자 평가와 진단적 면담 진단적 면담: 정보 진단적 면담: 방법 감별 치료 계획 제10장 치료 단계 DPHP 시작 단계 DPHP 중간 단계 DPHP 종결 단계 치료적 교착 상태 제11장 DPHP에서 약물치료 및 기타 치료의 병합요법 우울증 치료와 DPHP의 병합 불안장애의 치료와 DPHP의 병합 성 치료, 부부치료, 집단치료와 DPHP의 병합 제12장 맺음말 성격병리의 진단, 구조화, 치료 연구 수련 유연한 실행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