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8664 | |
005 | 20230110172709 | |
007 | ta | |
008 | 230110s2022 ulk b 000cu kor | |
020 | ▼a 9791167423191 ▼g 93810 | |
035 | ▼a (KERIS)BIB000016361360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895.709004 ▼2 23 |
085 | ▼a 897.09006 ▼2 DDCK | |
090 | ▼a 897.09006 ▼b 2022z6 | |
100 | 1 | ▼a 金正日, ▼d 1983- ▼0 AUTH(211009)148993 |
245 | 1 0 | ▼a 중국에서의 한국현대문학 수용양상 연구 = ▼x 韓國現當代文學在中國的傳播與接受硏究 / ▼d 김정일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22 | |
300 | ▼a 339 p. ; ▼c 24 cm | |
500 | ▼a 부록: 중국조선족 주요문학지에 실린 한국작품 및 그에 관한 해설과 평론 | |
504 | ▼a 참고문헌: p. [301]-305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09006 2022z6 | Accession No. 1118738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중국에서의 한국 문학 번역.소개 및 수용의 궤적 및 맥락을 재정리하고 그 과정 속에 보여지는 문제점 및 교훈을 찾아내 향후의 새로운 발전에 힘을 보태고자 집필된 교재다. 제1부에서는 앞선 연구자들이 열어 놓은 방향성을 토대로 삼아 미처 채워 넣지 못한 부분을 보완하였다. 제2부에서는 중국 조선족 문단에서의 한국문학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의 유입이 중국 조선족 작가들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1992년 8월, 중국과 한국이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후 근 30년이 가까운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양국 간의 교역과 인적 교류는 거의 해마다 증대되어 한국에 있어서는 중국이 최대 교역국이 되었고, 중국에게 있어서 한국 역시 중요한 교역국(2021년 한국은 중국의 국가별 교역액 순위 3위로 2위인 일본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2021년 양국 교역액은 3600억 달러를 돌파하였으며 이는 수교 당시 63억 달러이던 교역액의 57배가 넘는 수준이다. 인적 교류 또한 코로나사태 전에 이미 연 1000만 명에 달했으며 2016년에는 역대 최고치인 1,284만 명을 기록하였다. 중한 양국의 교류가 밀접해지고 빈번해질수록 양국은 점차 서로를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심층적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문화적 측면에서의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졌고 특히 한국의 문화와 사회 발전 과정 등을 그려내고 있는 한국문학의 중국어 번역 및 출판이 정부와 민간의 지원에 힘입어 활발히 진행되어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룩하였다. 하지만 그동안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문학 번역.출판이 활발히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한국현대문학은 중국에서 바람직한 수용을 이룩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현대문학을 전공하여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필자는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지켜보면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중국에서의 한국 문학 번역.소개 및 수용의 궤적 및 맥락을 재정리하고 그 과정 속에 보여지는 문제점 및 교훈을 찾아내 향후의 새로운 발전에 힘을 보태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국가간 교류는 국민간의 친숙함에 달려 있고 국민간의 친숙함은 마음 소통에 달려있다”는 말처럼 한국문학이 중국에서 보다 더 잘 수용되어야 비로소 중국 국민들이 한국을 더 잘 알게 되고 한국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것이며 양국이 보다 건전하고 활발히 교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제1부에서는 이러한 취지 아래 앞선 연구자들이 열어 놓은 방향성을 토대로 삼아 미처 채워 넣지 못한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이 주제의 발전에 일조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기존의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 및 출판을 문학번역의 연구 영역으로만 간주하는 연구 시각에서 벗어나 한국문학의 중국어 번역 및 출판을 다문화 교류의 시각으로 보는 셰톈전(謝天振) 교수의 번역소개학 이론을 동원하여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의 역자, 지원자, 출판 유통 및 수용에 대한 정리를 토대로 지금까지의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소개 모델의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한국문학의 중국 유입은 중국 사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중국 독자들에게는 물론 중국 사회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중국 독자들은 중국에 유입된 한국문학을 통해 한국을 알게 되고 한국의 문화를 알게 되었으며 한국을 가지 않고도 한국 사회를 알아가고 한국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두 나라 서로간의 이해증진과 소통, 그리고 많은 분야의 협력 강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발휘하였다. 중국은 다민족 국가로서 한국문학의 유입은 또한 같은 문자를 사용하고 있는 중국 조선족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그동안 조선어로 문학을 창작해 온 중국 조선족 작가들에게 가져다 준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조선족 작가의 한국문학 접촉은 그들의 언어적 표현이 예전에 비해 더욱 세련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소재를 기존의 서사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체로 엮어 나갈 수 있는 자양분을 제공해주었다. 이 책의 제2부에서는 중국 조선족 문단에서의 한국문학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의 유입이 중국 조선족 작가들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제1부 중국에서의 한국현대문학 수용양상 연구 1 서론 2 한국 현대문학의 중국어 번역 역자 및 역자 모델 3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ㆍ소개루트 및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소설의 수용 양상 3.1. 수교 전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ㆍ소개루트 및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소설의 수용 양상 3.2. 수교 초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ㆍ소개루트 및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소설의 수용 양상 3.3. 2000년대 이후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ㆍ소개루트 및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소설의 수용 양상 제2부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 유입이 중국 사회에 끼친 영향 1 서론 1.1 문제제기 1.2 연구사 검토 1.3 연구대상 및 방법 ------- 2 조선족문학지에 나타난 한국문학의 전래 양상 2.1. 중국 조선족문학의 정의 및 그의 성격 2.2 한국문학의 영향을 받게 된 원인 2.3 한국 문학작품의 전래 2.4 전래 양상을 통해 본 중국 조선족 문단의 한국 문학 수용 양상 ------- 3 조선족 작품에 나타난 한국 문학의 영향 3.1 이순원의 「말을 찾아서」와 최국철의 「여우 보러 가자」 3.2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와 조성희의 「부적」 3.3 이상의 「날개」와 리동렬의 「그림자 사냥」 4 리태복의 성장역정과 그의 문학수신 4.1 리태복의 성장역정과 그의 문학수신 4.2 리태복의 문학창작과 경향 4.3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과 리태복의 「할빈, 1988년 여름」 5 김혁의 문학창작과 한국 문학의 관련 양상 5.1 김혁의 체험과 그의 문학수신 5.2 김혁과 이상의 관련 양상 5.3 「천재죽이기」에 나타난 이상의 영향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