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갈등사회의 공공정책 : 자유와 책임의 관점에서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혁주, 權赫周, 1963-
서명 / 저자사항
갈등사회의 공공정책 : 자유와 책임의 관점에서 / 권혁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형태사항
324 p. ; 23 cm
ISBN
9788952132024
서지주기
참고문헌(p. 305-320)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8638
005 20230111112419
007 ta
008 230110s2022 ulk b AK 001c kor
020 ▼a 9788952132024 ▼g 93350
035 ▼a (KERIS)BIB000016590932
040 ▼a 211043 ▼c 211043 ▼d 211009
082 0 4 ▼a 352.34 ▼2 23
085 ▼a 352.34 ▼2 DDCK
090 ▼a 352.34 ▼b 2022z1
100 1 ▼a 권혁주, ▼g 權赫周, ▼d 1963- ▼0 AUTH(211009)118563
245 1 0 ▼a 갈등사회의 공공정책 : ▼b 자유와 책임의 관점에서 / ▼d 권혁주 지음
260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c 2022
300 ▼a 324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05-320)과 색인수록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34 2022z1 등록번호 11187391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14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가치 갈등 사회에서 올바른 공공정책을 찾아서
한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데 필요한 공공정책,
어떻게 수립하고 집행해야 하는가?

사회갈등이 더욱 심각해지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올바른 공공정책에 대해 천착해 온 권혁주 교수(서울대 행정대학원)가 보편적 기본소득, 공적연금 개혁, 탈원전 정책과 같은 실제 사회적 쟁점에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책이 출간되었다. 정책 사례 연구와 함께, 국제개발협력, 인공지능, 민주주의와 같이 앞으로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될 주제도 포괄하고 있어 행정학 연구자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사회문제를 풀어 가기 위해 고민하는 공직자들이 의사 결정하는 데 실질적으로 유용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권혁주(지은이)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정책학, 사회정책, 공공정책의 정치이론, 갈등관리, 국제개발협력에 관해 연구와 강의를 해왔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Swire Scholar로 선정되어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세인트 앤서니 칼리지에서 수학했다. 1995년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식스대학교의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에서 Research Officer로 근무하면서 동아시아 사회정책에 관한 비교연구를 수행했다. 1997년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에 교수로 부임하여 2008년까지 재직했고, 2002-2005년에는 유엔사회개발연구소(UNRISD)에서 Research Coordinator로 근무하면서 사회정책과 국제개발협력의 학제적 연구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빈곤퇴치 및 사회보장을 위한 정책개발 연구를 하였다. 2008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 부임한 이후 개발도상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석사과정을 개설하고 운영했다. 이와 함께 서울대학교 글로벌행정발전연구소에서 관료제, 사회개발, 취약국가에 관해 연구를 수행했다. 최근에는 공화주의 관점에서 민주적 국정운영에 관해 연구를 수행했다. 『한국행정학보』 편집위원장, Global Social Policy 공동 편집위원장을 역임했으며, Harvard Yenching Visiting Scholar와 Fulbright-Democracy Visiting Scholar로 선정되어 하버드케네디스쿨에서 연구했으며, 국제개발협력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서론: 가치 갈등 사회에서 올바른 공공정책을 찾아서
1. 한국 사회의 가치 갈등과 공공정책의 지향
2. 결과우선주의의 자가당착
3. 올바른 공공정책을 위한 이론적 전제와 방향
4. 올바른 정책의 집행을 위한 행정의 책임
5. 정책 갈등의 사례와 대안

[제1부] 정책 갈등관리의 이론적 전제와 방안

1장 가치관의 대립과 공공정책
1. 공공정책의 출발점: 인간의 자유
2. 다양한 가치관과 공공정책
3. 정치 공동체에서 구성원의 책임
4. 공공정책의 두 전제: 자유와 책임

2장 이성과 숙의를 통한 갈등관리
1. 민주 사회에서 갈등 해결을 위한 전제와 역량
2. 사회갈등의 구조와 갈등관리의 원칙
3. 갈등관리 역량 ①: 이성을 통한 자기성찰
4. 갈등관리 역량 ②: 쟁점 분석과 관리 방법의 선택
5. 토론과 숙의의 규범
6. 결론: 이성과 성찰을 통한 상호 이해

[제2부] 행정의 책임성과 정책 관리

3장 민주·공화주의 관점에서 정치 · 행정의 통제와 견제
1. 민주화 유산과 국정 운영의 위기
2. 민주주의와 공화주의 그리고 견제와 균형
3. 정치의 행정 통제: 책임성
4. 행정의 정치 견제: 정치적 중립
5. 결론

4장 정책 수단의 정치적 성격
1. 정책 수단의 합리적 선택
2. ‘정치적’인 것의 세 가지 차원
3. 국가의 정책 개입 형태와 정책 수단
4. 사회적 맥락과 정책 수단의 정치적 성격
5. 결론

5장 적극행정과 권한 남용
1. 적극행정과 이론적 재구성의 필요성
2. 민주주의에서 행정 가치와 적극행정
3. 적극행정 이론에 대한 이차원적 접근
4. 적극행정 추진 전략
5. 결론

[제3부] 정책 갈등과 올바른 정책 대안

6장 정책 갈등과 시민참여 공론조사의 적절성
1. 시민참여 숙의 과정으로서 공론조사
2. 정책 과정에서 시민참여와 협력적 거버넌스
3. 시민참여 공론조사의 내용과 적용
4.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에 관한 시민참여 공론조사
5. 시민참여 공론조사의 이론적 보완과 정책적 유용성

7장 보편적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1. 코로나19 대유행과 기본소득 논쟁
2. 보편적 기본소득에 관한 여러 정책 대안
3. 보편적 복지국가의 규범적 논거와 보편적 보장
4. 공공재로서 사회복지 서비스
5. 필요한 사람에게 알맞은 혜택
6. 결론

8장 공적연금 갈등과 공무원연금 개혁 방향
1.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세대·집단 간 갈등
2. 노후소득 보장과 공적연금 체계
3.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의 형평성에 관한 쟁점
4. 보편적 공적연금 체계를 위하여

9장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정책에 대한 성찰
1. 코로나19 대유행 국면에서 국제개발협력
2. 국제개발협력에 관한 성찰적 접근
3. 왜 우리는 개발도상국을 도와주어야 하는가?
4.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정책에 대한 성찰
5. 국제개발협력의 세 가지 추진 방향

10장 민주주의와 지능정부의 잠재적 위협
1. 전자정부에서 지능정부로의 변화
2. 인공지능 시대와 지능정부
3. 자유에 대한 지능정부의 통제 가능성
4. 인공지능의 윤리와 규제
5. 결론

결론
1. 올바른 정책을 위한 성찰, 숙의 그리고 제도
2. 올바른 공공정책이 사회 발전을 가져올 것인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창수 (2022)
김대현 (2022)
조대엽 (2022)
한국. 인사혁신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