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 정신병리학 : 통합적인 기독교적 평가

현대 정신병리학 : 통합적인 기독교적 평가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McRay, Barrett W., 1961- Yarhouse, Mark A., 1968- Butman, Richard E., 1951- 김혜정, 역 심은정, 역 조인효, 역 이수경, 역
Title Statement
현대 정신병리학 : 통합적인 기독교적 평가 / Barrett W. McRay, Mark A. Yarhouse, Richard E. Butman 공저 ; 김혜정 [외]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22  
Physical Medium
509 p. ; 26 cm
Varied Title
Modern psychopathologies : a comprehensive Christian appraisal (2nd ed.)
ISBN
9788999727160
General Note
공역자: 심은정, 조인효, 이수경  
부록: 정신병리학의 주요 이론적 접근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37-502)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Mental illness --Religious aspects --Christianity Psychiatry and religion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8606
005 20230110124744
007 ta
008 230110s2022 ulk b 001c kor
020 ▼a 9788999727160 ▼g 93180
035 ▼a (KERIS)BIB000016497865
040 ▼a 241008 ▼c 241008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6.89/17 ▼2 23
085 ▼a 616.8917 ▼2 DDCK
090 ▼a 616.8917 ▼b 2022z4
100 1 ▼a McRay, Barrett W., ▼d 1961-
245 1 0 ▼a 현대 정신병리학 : ▼b 통합적인 기독교적 평가 / ▼d Barrett W. McRay, ▼e Mark A. Yarhouse, ▼e Richard E. Butman 공저 ; ▼e 김혜정 [외]공역
246 1 9 ▼a Modern psychopathologies : ▼b a comprehensive Christian appraisal ▼g (2nd ed.)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2
300 ▼a 509 p. ; ▼c 26 cm
500 ▼a 공역자: 심은정, 조인효, 이수경
500 ▼a 부록: 정신병리학의 주요 이론적 접근
504 ▼a 참고문헌(p. 437-502)과 색인수록
650 0 ▼a Mental illness ▼x Religious aspects ▼x Christianity
650 0 ▼a Psychiatry and religion
700 1 ▼a Yarhouse, Mark A., ▼d 1968-
700 1 ▼a Butman, Richard E., ▼d 1951-
700 1 ▼a 김혜정, ▼e
700 1 ▼a 심은정, ▼e
700 1 ▼a 조인효, ▼e
700 1 ▼a 이수경,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8917 2022z4 Accession No. 1118740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간의 본성에 대한 매뉴얼이라고 할 수 있는 성서와 교통하면서 현대 정신병리에 대한 이해를 통합하려고 시도한 책이다. 죄와 정신병리학의 관계를 다루며, 각 정신병리의 현대적 분류, 병인과 지속, 치료를 논할 뿐 아니라 치료 및 예방에서 신앙공동체의 역할, 목회적 돌봄 및 통합의 주제 등을 심도 있게 다룬다. 이를 통해 앞으로 심리학 분야에서 신앙과 학문을 통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진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과학이 지배하는 심리학의 세계에서
신앙공동체의 ‘치유의 역할’ 회복을 기도한다.


사람들이 겪는 정신병리와 그 치료에 대한 관심이 오늘날만큼 컸던 적이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많은 사람이 다양한 정신병리를 경험하며 고통을 호소하고, 그들 주변에서는 사랑하는 사람의 고통을 보며 안타까워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상담가들은 정신병리의 최신 이론에 대한 이해와 보다 효과적인 치료기술의 연마를 위해 애쓰고 있다. 하지만 정신병리에 대한 이해는 종종 정확한 진단과 효과성이 검증된 치료기법에 대한 관심에 머물 뿐, 나타나는 증상 뒤에 있는 인간 본성과의 관계에 기초한 넓고 깊은 이해를 위한 배움과 토론의 장은 적다. 특히 많은 기독교인 심리학자와 목회자 및 신앙인은 신앙적인 관점에서 정신병리를 어떻게 해석하고 치료하는 것이 좋을지를 고민한다.
『현대 정신병리학: 통합적인 기독교적 평가』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매뉴얼이라고 할 수 있는 성서와 교통하면서 현대 정신병리에 대한 이해를 통합하려고 시도한 흔하지 않은 책이다. 저자들은 오랜 기간 학문적·영적 공동체를 이루며 이러한 주제들을 신앙과 학문의 통합적 관점에서 조망하고자 헌신했다. 내담자들과 동일한 연약함을 지닌 자로서 내담자의 고통에 깊이 공감하며, 정형화된 임상적 개입을 넘어 정신병리의 근본 뿌리에 대한 예리한 통찰을 제공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신체심리사회영적 본성을 지닌 온전한 사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죄와 정신병리학의 관계를 다루며, 각 정신병리의 현대적 분류, 병인과 지속, 치료를 논할 뿐 아니라 치료 및 예방에서 신앙공동체의 역할, 목회적 돌봄 및 통합의 주제 등을 심도 있게 다룬다. 이를 통해 앞으로 심리학 분야에서 신앙과 학문을 통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진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 책은 정신건강 분야(심리학, 상담, 사회복지, 결혼 및 가족 상담 등)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이나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목회자들과 목회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독자들을 포함하여 넓은 범위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저술되었다.

제1부(제1~5장)는 ‘역사적이고 현대적인 분류’로, DSM에 기록된 주요 정신질환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제1장에서는 성경의 저자들과 역사에 기록된 목회자와 신앙인들이 영혼의 상처를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다룬다. 제2장에서는 현대 정신건강 관련 학문이 사람의 고통을 다양하게 분류한 방법을 탐색한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다면적인 성격을 가진 정신병리학의 기초들을 생물학적 배경과 사회문화적 현실로 설명한다. 제5장의 제목은 ‘죄와 정신병리학’으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정신병리학을 연구하는 데 죄를 어떻게 적용할지 분석한다.
제2부(제6~16장)는 ‘정신병리학: 심리적 문제의 분류’로, 현대 정신병리학에서 다루는 주요 정신질환을 하나씩 다룬다(예: 기분의 문제). 장마다 정해진 범주에 속한 정신적 문제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분류된 정신질환의 개관은 물론이고 그 질병의 원인, 진단과 예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고 나서 우리는 제1부의 기초적인 장들의 논의와 연결하며, 분류된 정신적 문제들을 목회 돌봄의 주제들이라는 관점과 통합적 주제들이라는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제3부(제17장)는 ‘현재는 어떠한가’로, 기독교인 정신건강 전문가들과 목회 돌봄 사역자들에게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불완전한 정신질환 분류체계에 대한 시야를 열어주고 싶은 희망을 담는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교회에서 얻는 최고의 자원들과 과학 혹은 임상에서 얻는 최선의 이해력을 합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마크 야하우스(지은이)

리젠트대학교(Regent University)의 심리학과 교수로 재임 중이며, 수년간 성적 정체성이라는 주제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지닌 사람들 간의 대화를 촉진해 온, 수상 경력에 빛나는 교육가이자 학자이다. 저자는 2000년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연례 총회에서 획기적인 심포지엄의 의장을 역임했으며, 동성애자 심리학자들과 기독교 심리학자들을 함께 초청하여 성적 정체성과 종교적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사람들을 위한 치료적 선택의 공동 기반을 논의했다. 그는 미국 심리학회에서 이와 유사한, 동성애자 공동체 내에서 각기 다른 종교와 그룹 사이의 결혼이 지닌 다양한 의미, 성적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상담, 그리고 상담에서 성적 정체성 주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에 관한 내용의 학술회의들의 의장을 역임했다. 저자는 50편 이상의 학술 논문과 책의 일부를 집필했고, 다수의 책을 공저했다. 그가 공저한 책으로는 Modern Psychologies: A Comprehensive Christian Appraisal, Family Therapies: A Comprehensive Christian Appraisal, 그리고 Sexual Identity: A Guide to Living in the Time Between the Times 등이 있다.

Richard E. Butman(지은이)

휘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공인된 임상심리학자이다. 일리노이주 휘튼 지역에서 개인심리치료도 하고 있다.

Barrett W. McRay(지은이)

휘튼대학교 Christian Foundation and Ministry 학과의 부교수이자 공인된 임상심리학자이며, 일리노이주 휘튼 지역에 있는 Alliance Clinical Associates의 임상책임자이다.

심은정(옮긴이)

위드미 심리상담연구소 소장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교 및 진로상담), 바이올라대학교 박사(임상심리학) 상담심리사 1급(한국상담심리학회), 전문상담사 1급(한국상담학회), 임상심리전문가(한국임상심리학회),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보건복지부), 미국심리학자면허(알라배마주) (전) 숭실대학교 베어드교양대학 교수

조인효(옮긴이)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목회상담학 박사 전 Clinebell Institute 인턴상담사 현 숭실대학교 베어드 교양대학 외래교수 위드미 심리상담연구소 전문상담사

김혜정(옮긴이)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상담심리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바이올라 대학교 로즈미드 심리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공인 심리학자(인디애나주), 미국 공인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사,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 전문요원, 상담학회와 상담심리학회의 수련감독 자격을 가지고 있다. 현재 문화와 자아발달, 영성심리학,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PCIT), 청소년·부부·가족 치료에 관심이 있으며 관련 논문들을 발표하였다.

이수경(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교육상담 및 심리 전공) 박사 전 한세대학교 대학원 연구전담 조교수 이화여자대학교, 한동대학교 강사 현 성결대학교 교직부 조교수 경기도 재난심리사회복지센터 자원활동가 한국상담학회 통일상담연구회 이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역사적이고 현대적인 분류

제1장 목회적 돌봄 역사의 분류
성경적 기초
교회의 문헌
현대의 목회 돌봄

제2장 현대 정신건강의 분류
질병분류학: 분류 과학
정신건강 분류의 역사
현대적 분류법
현대적 분류에 대한 이론적 관점
현대적 분류에 나타난 병인
현대적 분류에서 DSM의 가치
현대적 분류 체계의 한계
추가적인 고려 사항

제3장 정신질환의 생물학적 기초
다시 보는 심리사회적 모델
영적 모델에 대한 한마디
생물학적 기준

제4장 정신질환의 사회문화적 기초
이론적 강조점
예방과 치료에 관한 견해
우리가 (다시) 배워야 할 필요가 있는 몇 가지 교훈
결론

제5장 죄와 정신병리학
죄, 병, 범죄
설명의 틀
기독교적 설명의 틀이 심리학에 가져다주는 것
기독교적 설명의 틀을 포함하는 방법
결론

제2부 정신병리학: 심리적 문제의 분류

제6장 문제 소개
상실, 모든 문제의 핵심
DSM-5 분류와 ‘문제’

제7장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제
현대적 분류
병인 및 지속의 주제
치료의 주제
기독교적 평가

제8장 불안의 문제
현대적 분류
병인 및 지속의 주제
치료의 주제
예방의 과제
목회적 돌봄의 주제
통합의 주제
결론

제9장 기분의 문제
현대적 분류
병인 및 지속의 주제
치료의 주제
자살 및 자살 예방
예방의 과제
목회적 돌봄의 주제
통합의 주제
죄와 정신병리
결론

제10장 외상의 문제
현대적 분류
병인 및 지속의 주제
치료의 주제
예방의 과제
기독교적 평가

제11장 자기발달의 문제
현대적 분류
병인 및 지속의 주제
치료의 주제
예방의 과제
기독교적 평가
통합의 주제

제12장 성과 성별의 문제
현대적 분류
병인 및 지속의 주제
치료의 주제
최근 경향
예방의 과제
목회적 돌봄의 주제
결론

제13장 정신병의 문제
현대적 분류
병인 및 지속의 주제
치료의 주제
예방의 과제
목회적 돌봄의 주제
통합의 주제
죄와 정신병리
추가적인 고려 사항
결론

제14장 중독의 문제
현대적 분류
병인 및 지속의 주제
치료의 주제
예방의 주제
기독교적 평가
결론

제15장 고령자의 문제
현대적 분류
병인 및 지속의 주제
치료의 주제
예방의 과제
기독교적 평가
결론

제16장 사회병리학에서 파생되는 문제
사례: 섭식장애
병인 및 지속의 주제
치료의 주제
예방의 과제
결론

제3부 현재는 어떠한가

제17장 불완전한 체계에서의 책임 있는 치료
정신병리학의 도전과 기회
교회의 과제와 기회
결론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Liu, Jie (2022)
Vasquez, Melba Jean Trinida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