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8469 | |
005 | 20230112111155 | |
007 | ta | |
008 | 230109s2022 ggkac b 001c bkor | |
020 | ▼a 9788910980308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6590704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4092 ▼2 23 |
085 | ▼a 953.07092 ▼2 DDCK | |
090 | ▼a 953.07092 ▼b 2022z1 | |
100 | 1 | ▼a 김명구, ▼g 金明九, ▼d 1956- ▼0 AUTH(211009)53363 |
245 | 1 0 | ▼a 공덕귀 : ▼b 생애와 사상 / ▼d 김명구 저 |
260 | ▼a 파주 : ▼b 박영사, ▼c 2022 | |
300 | ▼a xiii, 546 p. : ▼b 삽화, 초상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97-526)과 색인수록 | |
600 | 1 4 | ▼a 공덕귀, ▼g 孔德貴, ▼d 1911-1997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7092 2022z1 | 등록번호 5110573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공덕귀 평전. 무엇보다도 공 여사가 단순한 내조자가 아니었으며, 그 스스로 남편을 만나기 훨씬 이전부터 오랜 기간에 걸쳐 민주주의 사상과 인권존중 사상을 갖고 있었으며, 이 내면화된 사상에 따라 남편의 정치노선을 지원하기도 하고 때로는 남편을 올바른 방향으로 선도하기도 했음을 실증적으로 논증했다.
공 여사는 단순한 내조자의 수준을 넘어서서 자신이 포지한 민주주의 사상과 인권존중 사상에 따라 남편과 손발을 맞추기도 하고 남편을 이끌기도 했다는 뜻이다. 이 점에서, 이 책은 윤 전 대통령의 신념과 행동에 관한 기존의 해석을 한 차원 높게 심화시켰다. 다시 말해, 이 책은 윤 전 대통령에 관한 기존의 저술들이 제시한 논지들을 여러 측면에서 보완하고 있다.
공덕귀 평전,<공덕귀, 생애와 사상> 발문
김학준/윤보선민주주의연구원 초대원장
1. 해위 윤보선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에 관해서는 이승만 대통령 시대에 전개한 반독재민주화운동, 4월혁명의 결과로 이 대통령이 하야한 이후 성립된 제2공화정 시대에 대통령으로서 수행한 활동, 그리고 5·16군사정변 이후 박정희 대통령을 상대로 전개한 반독재민주화운동을 목격했거나 전해 들은 사람이라면 친숙하게 알고 있다. 특히 그의 회고록 <구국의 가시밭길>(한국정경사, 1967)과 <외로운 선택의 나날: 윤보선 회고록>(해위윤보선대통령기념사업회, 2012)을 읽은 경우에는, 훨씬 소상하게 알고 있다.
그러나 그의 진실된 협력자였던 부인 공덕귀 여사에 관해서는, 공 여사의 구술을 받아 한 신문인이 쓴 <나, 그들과 함께 있었네>(여성신문사, 1994)라는 자서전을 읽은 사람이 아니라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그저 ‘남편의 반독재민주화운동을 충실히 내조한 아내’라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생각이 틀린 것은 결코 아니다. 공 여사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은 채 남편의 애국적 정치활동을 헌신적으로 도왔다.
이러한 통상적 인식을 크게 교정하게 만드는 책이 출판됐다. 윤 전 대통령에 관한 책을 국문과 영문으로 출판했던 김명구 교수가 집필한 <공덕귀, 생애와 사상>이 바로 그것이다.
2. 이 책은 무엇보다도 공 여사가 단순한 내조자가 아니었으며, 그 스스로 남편을 만나기 훨씬 이전부터 오랜 기간에 걸쳐 민주주의 사상과 인권존중 사상을 갖고 있었으며, 이 내면화된 사상에 따라 남편의 정치노선을 지원하기도 하고 때로는 남편을 올바른 방향으로 선도하기도 했음을 실증적으로 논증했다. 공 여사는 단순한 내조자의 수준을 넘어서서 자신이 포지한 민주주의 사상과 인권존중 사상에 따라 남편과 손발을 맞추기도 하고 남편을 이끌기도 했다는 뜻이다.
이 점에서, 이 책은 윤 전 대통령의 신념과 행동에 관한 기존의 해석을 한 차원 높게 심화시켰다. 다시 말해, 이 책은 윤 전 대통령에 관한 기존의 저술들이 제시한 논지들을 여러 측면에서 보완하고 있다.
3. 그러면 공 여사의 그러한 사상은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인가? 저자 김 교수는 1911년 5월에 태어난 공 여사가 1949년 1월 38세의 나이에 해위와 결혼하기 이전의 삶을 소상하게 살폈다. 여기에 따르면, 공 여사는 항일의식이 투철한 경상남도 통영의 기독교 가정에서 자라면서 기독교 교육을 중시한 각급 학교를 다녔고 두 차례에 걸쳐 일본 신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했으며 국내에서는 전도사로 또는 교수로 사역했다. 이 과정에서, 공 여사는 “사람은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형상에 맞게 창조한 존재”라는 신념을 가졌고, 따라서 “사람에게 가장 존귀한 것은 자유이며 이 자유는 누구라도 속박할 수 없다.”라는 믿음을 키웠다. 동시에 평등의 사상과 공의(公義)의 사상을 받아들였다.
교회는 사람들이 사는 땅을 하나님의 나라로 만들 책임이 있음을 강조한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학을 배우기도 했고, 빈민을 위해 일생을 바친 가가와 도시히코(賀川豊彦)의 신학과 실천 그리고 가난한 사람을 도와야 한다는 송창근 목사의 성빈사상(聖貧思想)에 감동했으며, 기독교복음의 국가적?사회적 사명을 강조한 김재준 목사의 신학을 받아들이기도 했다. 철저한 자료검증을 기반으로 집필한 김 교수의 논지를 읽으면, 공 여사가 단순한 신학도가 아니라 기독교 신학에 밝은 학자임을 확인하게 된다.
자신의 신학세계가 그러했기에, 공 여사는 남편의 정치활동이 자신의 신학에 일치하도록 보살폈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정치에 영향력이 큰 기독교 지도자들과 남편을 연결해, 남편이 독재와 인권탄압에 저항하는 운동을 이끌도록 고무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자는 “공덕귀의 사상은 윤보선 정치사상의 신학적 이론이 되었다. 교계와 정치계를 연결시키는 사상적 연결점도 되었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윤보선에게 지지를 보내고 그 활동에 적극 동참한 이유이다.”라고 썼다.
4. 김 교수의 이 책은 다른 시각에서 보면 구한말 이후 우리나라 기독교의 역사 또는 기독교 정치·사회운동의 역사를 설명하고 있다. 모두가 그러했던 것은 아니지만, 환난과 핍박 속에서도 기독교의 가르침에 충실하게 생활하고자 했던 기독교인들의 경건한 신앙과 투쟁에 새삼 경의를 표하게 된다. 종교적 신념의 힘이 얼마나 크며 그것이 ‘위대함’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거듭 확인하게 된다. 발문을 쓰기 위해 이 책의 원고를 읽으며 스스로에 대해 부끄러움을 많이 느꼈음을 고백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명구(지은이)
2003년, 연세대학교에서 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했고 서울장신대와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교수였다. 감리교회 목사로 창천교회 소속이기도 하다. 현재 서울YMCA병설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소장, 해위민주주의연구원과 종로목요서평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월남 이상재의 기독교 사회운동과 사상>을 시작으로, <서울장신 50년사>, <창천교회 100년사>(공저), <해위 윤보선-생애와 사상>, <서울YMCA운동사 100-110>,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100년사>(공저), <복음, 성령, 교회-재한선교사들 연구>, <한국기독교사 1>, <한국기독교사 2> 등 공저와 번역서를 포함해 20여 편의 책을 썼다. 여러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고, 2011년에 저술한 <해위 윤보선-생애와 사상>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역사부분)에 선정되었다. 영국 에든버러대학(University of Edinburgh)은 2013년 그의 영어 논문 Nationalism, Religion and Democracy를 책으로 발간했다. 2019년 6월에는 에든버러대학 저널(University of Edinburgh Journal, No.1 Vol.49-Summer 2019)에 그의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Edinburgh with a focus on Yun Posun이 등재되었다.

목차
공덕귀 평전,「공덕귀, 생애와 사상」 발문 i 서 문 v PART 01 삶의 전반 -신학도가 되기까지- 01고향 통영 3 1. 경제적 상황 3 2. 정치ㆍ문화적 상황-저항과 자긍심의 고장 6 3. 일제 저항의 배경 9 02아버지 공도빈(孔道彬) 13 03호주장로교회의 통영 선교 19 1. 호주장로교회 한국 선교 19 2. 호주장로교회 한국선교, 그 신학과 정책-영적 복음과기독교 이데올로기의 전파 24 3. 대화정교회(충무교회)와 어머니방권악(방말선, 공마리아) 29 04탄생과 어린 시절: 막연한 저항 의식 41 05일신여학교 진학: 신앙과 역사의 합치 의식 배태 47 1. 인도선교사를 꿈꾸다 47 2. 공덕귀와 일신여학교 52 06송창근과의 만남, 그리고 부름(calling): 신앙의 영역과역사적 사명의 합치 의식 63 07유학을 가기까지 69 08일본 요코하마 교리츠여자신학교(共立女子神学校) 유학 과정 73 09공덕귀 시대의 일본 신학의 특성: 천황제와의 관계 77 1. 메이지시대(明治時代) 77 2. 다이쇼(大正)시대의 흐름 84 10공덕귀와 교리츠여자신학교(共立女子神學校) 103 1. 교리츠여자신학교설립의 기원 103 2. 요코하마 교리츠여자신학교 시절의 공덕귀-구령(救靈)의 기독교와 사회적 기독교의 합치 107 11김천 황금동교회 전도사 공덕귀 117 1. 황금동교회에서의 전도사 사역 117 2. 일제(日帝)의 핍박 123 3. 해방-감격과 왜곡 127 12공덕귀와 조선신학교 133 PART 02 정치인의 아내 -국가구원 의식의 이입(移入), 사명의 변화- 01덕수교회 전도사 145 02결혼과정 153 03윤보선 가문, 안동교회 그리고 윤보선 159 1. 윤보선 가문 159 2. 안동교회-국가구원 전통의 교회 165 3. 남편 윤보선-인간화의 일치 168 04안국동의 종부(宗婦)와 고위 관료의 아내: 정치 영향력에 대한 각성 175 056.25 전쟁 181 1. 공덕귀의 6.25 181 2. 대한적십자 총재 윤보선의 공헌과 이승만과의 결별 187 06영부인이 되기까지 193 07청와대 시절 199 08민주당 구파와 신파의 대립 207 095.16 군사정변과 하야(下野) 215 10윤보선에 대한 박정희의 두려움 221 1. 선거 상황 221 2. 갈등의 정치사상적 이유, 그리고 공덕귀 사상의 합류 225 11한일수교 반대운동: 정계와 교계의 가교 235 12염광회(鹽光會)의 발족 245 PART 03 신학도의 귀환, 신학적 정체성의 확인 01안동교회 여전도회장 공덕귀: 안동교회 설립 정체성복원 제안 253 02예장과 기장 분열의 여파 259 03여전도회 사명의 확장 265 04예장(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서울노회 여전도회연합회회장 공덕귀 271 05‘한국교회여성연합회’와의 연결: 신학적 저항의 도구 279 06매춘관광 반대 운동 285 07한국인 원폭 피해자에 대한 문제 제기: 민족애(民族愛)의확장 295 PART 04 민주화운동의 대모 01공덕귀 저항의 시대적 상황: 유신시대 309 1. 기독교계의 저항 311 2. 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 317 3. ‘명동사건’과 유신의 종말 322 02언론자유회복 운동의 지원: 그 한계 327 03세계 기독교와의 협력 견인 335 04구속자가족협의회 회장: 인권과 민주화의 문제 341 05총무 김한림 355 06남영나일론, 동일방적, YH사태: 인권과 생존권의 문제 361 1. 남영나일론사건 364 2. 방림방적임금체불사건과 동일방직사건 368 3. YH사태 375 4. 산업선교에 나타난 공덕귀의 신학 380 07신군부의 등장과 권력 장악: 갈등과 분리 385 08YWCA 위장 결혼식 사건: 윤보선과의 간극 조짐 391 09윤보선과 전두환 신군부, 그리고 공덕귀 399 1. 전두환의 회유, 그리고 안보와 반공의 문제 399 2. 윤보선과 공덕귀의 갈등과 사상적 분리 405 10윤보선과 공덕귀 정치사상: 기독교민족주의와기독교민주주의 409 1. 윤보선의 기독교민족주의 의식 410 2. 공덕귀의 기독교민주주의 의식 414 PART 05 삶의 종반 -삶을 정리하며- 01해위와의 미국과 유럽여행 423 02한국기독교1백주년기념사업과 신학적 상황 429 03한국기독교1백주년기념사업협의회 여성분과위원회 위원장공덕귀 437 1. 그 시작과 준비 437 2. 지역 여성대회 440 3. ‘통일을 위한 어머니의 금식기도회’-공덕귀의 통일관 443 4.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여성대회의 준비와 전개 448 5. 「한국기독교 여성100년사」 편찬 사업과 종무예배 453 04해위 윤보선의 소천(召天) 459 05박순경 교수 사건 467 1. 박순경의 구속과 사상의 지향점 467 2. 박순경 통일운동의 사상적 근거와 공덕귀 472 06정리 481 1. 성지순례 481 2. 하와이 교회 복원운동 참여-윤보선과 이승만과의 관계복원 484 3. 자서전 출간 487 책을 나가며 491 참고문헌 497 찾아보기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