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해방이후 재일한인 외교문서 해제집 : 1945~1969

해방이후 재일한인 외교문서 해제집 : 1945~1969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경규, 저 임상민, 저 이수경, 저 소명선, 저 박희영, 저 김웅기, 저 엄기권, 저 정영미, 저 이행화, 저 박미아, 저 이재훈, 저
단체저자명
동의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서명 / 저자사항
해방이후 재일한인 외교문서 해제집 : 1945~1969 / 동의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편저 ; 이경규 [외]공저
발행사항
서울 :   박문사,   2022  
형태사항
3책(570 ; 514 ; 582 p.) : 삽화, 도표 ; 27 cm
ISBN
9791192365152 (v.1) 9791192365169 (v.2) 9791192365176 (v.3) 9791192365145 (Set)
일반주기
공저자: 임상민, 이수경, 소명선, 박희영, 김웅기, 엄기권, 정영미, 이행화, 박미아, 이재훈  
부록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8396
005 20230106135853
007 ta
008 230106s2022 ulkad 000c kor
020 ▼a 9791192365152 (v.1) ▼g 94340
020 ▼a 9791192365169 (v.2) ▼g 94340
020 ▼a 9791192365176 (v.3) ▼g 94340
020 1 ▼a 9791192365145 (Set)
035 ▼a (KERIS)BIB000016533723
040 ▼a 211023 ▼c 211023 ▼d 211023 ▼d 211009
041 0 ▼a kor ▼a jpn ▼a eng
082 0 4 ▼a 327.519052 ▼2 23
085 ▼a 327.53052 ▼2 DDCK
090 ▼a 327.53052 ▼b 2022z5
110 ▼a 동의대학교. ▼b 동아시아연구소
245 1 0 ▼a 해방이후 재일한인 외교문서 해제집 : ▼b 1945~1969 / ▼d 동의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편저 ; ▼e 이경규 [외]공저
260 ▼a 서울 : ▼b 박문사, ▼c 2022
300 ▼a 3책(570 ; 514 ; 582 p.) : ▼b 삽화, 도표 ; ▼c 27 cm
500 ▼a 공저자: 임상민, 이수경, 소명선, 박희영, 김웅기, 엄기권, 정영미, 이행화, 박미아, 이재훈
500 ▼a 부록수록
536 ▼a 이 저서는 2020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20S1A5C2A02093140)
546 ▼a 본문은 한국어, 일본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700 1 ▼a 이경규, ▼e
700 1 ▼a 임상민, ▼e
700 1 ▼a 이수경, ▼e
700 1 ▼a 소명선, ▼e
700 1 ▼a 박희영, ▼e
700 1 ▼a 김웅기, ▼e
700 1 ▼a 엄기권, ▼e
700 1 ▼a 정영미, ▼e
700 1 ▼a 이행화, ▼e
700 1 ▼a 박미아, ▼e
700 1 ▼a 이재훈,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7.53052 2022z5 1 등록번호 1118737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7.53052 2022z5 2 등록번호 1118737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7.53052 2022z5 3 등록번호 1118737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 해제집 『해방이후 재일한인 외교문서 해제집』은 1945년부터 1969년까지 한국정부 생산 재일한인 관련 외교문서를 대상으로, 한국정부의 재일한인 정책을 비판적이고 상대적인 관점에서 통합적인 연구를 추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간행된 것이다.
제1권에서는 재일한인의 유골봉환 「조선대학교 설립과 인가 「재일한인의 재입국 허가 「사할린 교포 귀환 문제 「북송교포 김귀하 망명 기도 사건 등에 관련된 외교문서를 다루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동의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지은이)

마키노 에이지/ 호세이대학 철학과 및 대학원 철학전공 교수 김성은/ 전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일본문화전공 교수 양세욱/ 인제대학교 중국학부 교수 이경규/ 동의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변상숙/ 동의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강사 이예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HK연구교수 권 철/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박진영/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고레나가 슌/ 일본 리츠메이칸아시아태평양대학교(APU) 총장 사쿠라이 노부히데/ 남서울대학교 글로벌지역문화학과 일본지역전공 조교수 최범순/ 영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이한정/ 상명대학교 일본어문학과 조교수 송인선/ 연세대학교 일본학연계전공 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v.1]
〈제1부〉 재일본 한국인 유골봉환 건
〈제2부〉 조선대학교 설립 및 인가, 그리고 인가 후의 움직임, 1958~1969
〈제3부〉 재일한인 재입국 허가
〈제4부〉 사할린 교포 귀환 문제
〈제5부〉 북송교포 김귀하 망명 기도 사건, 1966-1967

[v.2]
〈제1부〉 재외국민 보호, 1957~1959
〈제2부〉 재외국민 실태조사?재외공관 설치?재외국민 정책의 건
〈제3부〉 재일민단 관련
〈제4부〉 재일 한인 강제퇴거

[v.3]
〈제1부〉 한국인 원폭피해자 구호, 1968~1971
〈제2부〉 법적지위협정 시행
〈제3부〉 북한송환사업, 1958~1969
〈부록〉 역대 외무부 장관과 주일대사 명단, 대사관 정보

관련분야 신착자료

McCormick, John (2023)
葛劍雄 (2022)
한국. 외교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22)
기광서 (2022)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