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라시아를 향한) 한국의 도전 : 한국 유라시아 정책의 현주소와 미래비전

(유라시아를 향한) 한국의 도전 : 한국 유라시아 정책의 현주소와 미래비전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범식, 辛範植, 1966-, 저 장세호, 張世虎, 1974-, 저 백주현, 1957-, 저 최재덕, 崔才德, 1970-, 저 성원용, 成源鏞, 1965-, 저 서동주, 徐東周, 1960-, 저 권원순, 權元淳, 1965-, 저 이태림, 저 이대식, 저, 1968- 백동화, 저 김익준, 1967-, 저 이백희, 저 이선영, 저
단체저자명
유라시아21
서명 / 저자사항
(유라시아를 향한) 한국의 도전 : 한국 유라시아 정책의 현주소와 미래비전 / 유라시아21 엮음 ; 신범식 [외]지음
발행사항
파주 :   이조,   2022  
형태사항
271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91187607601
일반주기
공저자: 장세호, 백주현, 최재덕, 성원용, 서동주, 권원순, 이태림, 이대식, 백동화, 김익준, 이백희, 이선영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8319
005 20230106164333
007 ta
008 230105s2022 ggkad 000c kor
020 ▼a 9791187607601 ▼g 93340
035 ▼a (KERIS)BIB000016237034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327.5195047 ▼2 23
085 ▼a 327.53047 ▼2 DDCK
090 ▼a 327.53047 ▼b 2022z2
110 ▼a 유라시아21
245 2 0 ▼a (유라시아를 향한) 한국의 도전 : ▼b 한국 유라시아 정책의 현주소와 미래비전 / ▼d 유라시아21 엮음 ; ▼e 신범식 [외]지음
260 ▼a 파주 : ▼b 이조, ▼c 2022
300 ▼a 271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0 ▼a 공저자: 장세호, 백주현, 최재덕, 성원용, 서동주, 권원순, 이태림, 이대식, 백동화, 김익준, 이백희, 이선영
700 1 ▼a 신범식, ▼g 辛範植, ▼d 1966-, ▼e▼0 AUTH(211009)106568
700 1 ▼a 장세호, ▼g 張世虎, ▼d 1974-, ▼e▼0 AUTH(211009)11126
700 1 ▼a 백주현, ▼d 1957-, ▼e▼0 AUTH(211009)136211
700 1 ▼a 최재덕, ▼g 崔才德, ▼d 1970-, ▼e
700 1 ▼a 성원용, ▼g 成源鏞, ▼d 1965-, ▼e▼0 AUTH(211009)141002
700 1 ▼a 서동주, ▼g 徐東周, ▼d 1960-, ▼e▼0 AUTH(211009)78810
700 1 ▼a 권원순, ▼g 權元淳, ▼d 1965-, ▼e▼0 AUTH(211009)24037
700 1 ▼a 이태림, ▼e
700 1 ▼a 이대식, ▼e 저, ▼d 1968-
700 1 ▼a 백동화, ▼e
700 1 ▼a 김익준, ▼d 1967-, ▼e▼0 AUTH(211009)106019
700 1 ▼a 이백희, ▼e
700 1 ▼a 이선영,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7.53047 2022 등록번호 1118737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중 전략경쟁과 코로나19 팬데믹의 도전적 조건 하에서 한국의 북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하여 기업과 정부의 적절한 협력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북방정책이 대상으로 하는 유라시아 대륙의 상황에서는 정부의 적절한 판단과 지원을 배경으로 기업들이 새로운 경제활동 무대를 개척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유라시아 정책의 현주소와 미래비전 및 한국 외교의 자기주도적 정책을 제시하는 책이다.

유라시아 정책의 현주소와 미래비전
한국 외교의 자기주도적 정책 제시


미-중 전략경쟁과 코로나19 팬데믹의 도전적 조건 하에서 한국의 북방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하여 기업과 정부의 적절한 협력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북방정책이 대상으로 하는 유라시아 대륙의 상황에서는 정부의 적절한 판단과 지원을 배경으로 기업들이 새로운 경제활동 무대를 개척하려는 의지가 필요한데, 한국에서 새롭게 열린 유라시아 공간을 향한 기업들의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실질 협력의 시도는 향후 한국의 대륙을 향한 꿈을 이뤄줄 동력이 될 것이다.
이 책에 모아진 통찰과 지혜가 한국이 펼치는 유라시아를 향한 도전에 대하여 새로운 전망과 동력을 창출하는 데 조금이라도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익준(지은이)

인하대학교 물류대학원 MBA (MLM) 인하대학교 물류대학원 박사 학위 인하대학교 물류대학원 겸임교수 에코비스 로지스틱스, 에코비스 오리진, TL LINK 대표이사 1993년부터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중국, 한국 근무중 저서 《러시아 또 다른 시작》 《까만머리》 논문 〈물류기업의 화주기업 해외진출 인큐베이터 역할〉 〈러시아 및 CIS 관세동맹에 의한 국제화물운송 경로선택의 결정 요인 분석〉

백주현(지은이)

경기도 고양에서 태어나 경복고와 서울 사대 영어교육과에서 공부하였다. 1985년 외교부에 들어가 미 국방성 언어연구소 러시아어 연수 후 주로 러시아·중앙아시아 업무를 담당하였다. 러시아 외교 아카데미에서 역사학 박사를 받았고, 러시아 CIS과장, 재외동포 영사국장으로 근무하였다. 주 카자흐스탄 대사와 주 휴스턴 총영사를 역임한 후, 현재는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석좌교수로 영사법무학을 강의하고 있다. 유능한 영사 인력의 양성과 영사법무학의 새로운 영역 개척을 위해 전력하고 있다. 저자는 영사조력법이 발효되는 2년 후까지 국민 한 명 한 명을 위한 훌륭한 영사 인력 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논문 및 저술 역사학 박사 논문 “한반도 통일에 있어서의 러시아 팩터”, 러시아 연방 외교 아카데미 1993 ≪러시아가 뛴다≫(2005, 경진문화사), ≪신 러시아가 뛴다≫(2008, 경진문화사), ≪에너지 시장의 파워게임≫(2016, 글로벌콘텐츠), ≪핵무기를 버리고 경제건설하는 카자흐스탄≫(2019, 글로벌콘텐츠)

신범식(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MGIMO) 정치학 박사 2023, 『메가아시아의 형성과 동학』(편저) 2022,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편저) 2020,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 이동』(편저)

서동주(지은이)

유라시아정책연구원 부원장 연세대학교 정치학 박사 2022,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유라시아』(공저) 2022, 『유라시아를 향한 한국의 도전』(공저) 2021, 『러시아의 사이버 안보』(공저) 2014, 『러시아현대정당사』

장세호(지은이)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에 재직 중이며, 관심 연구 영역은 러시아 권력엘리트, 선거와 정당, 한러관계 등이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전문위원,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겸임교수 등으로 활동 중이다. 장세호 박사는 러시아의 관점을 담고 있는 2장을 책임 집필하였다.

권원순(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MGIMO)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7년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조교주슬 지냈으며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경력으로 국가에너지위원회 전문위원,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 복권위원회 복권기금성과평가위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17대 대통령당선인 러시아특사로 활동하였다. 미국의 남일리노이대학과 듀크대학에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경제체제 전환과 에너지 및 교통·물류 협력 등을 주제로 구소련 및 유라시아지역을 연구하며 국내외 저명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성원용(지은이)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IEWS) 연구교수, 한국교통연구원(KOTI) 책임연구원, 외교통상부 자문위원, 한국철도공사 자문위원, 한국동북아경제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천대학교 동북아국제통상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국제운송회랑의 새로운 지정학: 유라시아 실크로드 구축을 위한 협력방안 연구』(공저, 2015), 『러시아 극동 바이칼 지역의 개발과 신북방 경제협력의 여건』(공저, 2013), 『카자흐스탄의 교육현황과 발전과제』(2009), 『러시아 교통물류정보 조사』(공저, 2005)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푸틴주의와 러시아 국가자본주의: 역사적 기원과 현대적 변용」(2014), 「러시아 농업개혁의 패러독스: 개인부업농과 상품·화폐관계의 공존은 가능한가」(2011) 등이 있다.

이대식(지은이)

서울대학교 학부와 대학원,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원에서 19세기 러시아문학을 공부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러시아 건축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융합형 러시아 연구학자이다. 2011년 삼성경제연구소에 입사하여 러시아를 비롯한 중앙아시아, 중국 등 지역 연구를 담당했다. 2017년부터는 민간연구소 여시재에서 연구실장으로 일하며 동북아 가스허브 구축을 통한 에너지 협력 등 한국과 동북아의 미래를 설계하는 일과 미래도시 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있다. (주)멀티캠퍼스의 경영 지식 플랫폼 SERICEO에서 러시아의 문화, 예술, 역사부터 비즈니스 매너, 최신 기업 동향 등을 알려주는 <줌 인 러시아> 시리즈를 9년간 진행했고, 2016년에는 동명의 책을 출간하여 러시아를 공부하는 학생들이나 여행자들에게 후한 평가를 받았다. 2020년부터는 CIS 지역의 경제, 사회, 정치 동향을 소개하는 새로운 시리즈 <CIS 리포트>를 시작했다. 12년 동안 생활한 러시아에 깊은 애정을 갖고 있기에 귀국 직후에는 좋은 것만 보이는 ‘근거리 착시효과’를 염려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는 어느새 ‘원거리 착시효과’가 생긴 것은 아닌지 늘 경계한다. 좀처럼 싫증나지 않는 러시아에 대해 좀 더 정확히 알고 이를 나누기 위한 연구와 활동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최재덕(지은이)

최종학력 : 중, 북경대학 박사 「한중관계 전공」 현,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한중정치연구소 소장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회(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회 정책위원 전북도청 남북교류협력위원회 정책위원 국제정치학회 / 동북아학회 / 슬라브유라시아학회 이사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연구위원 전, 대통령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전문위원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육위원 <저서> ·대한책략, 논형, 2019 ·글로벌 혼돈의 시기, 한중관계의 진화(공저), 한중관계연구원, 2020 ·(이슈로 본) 한중관계의 오늘과 내일(공저), 한울아카데미, 2017 <주요 연구 및 논문> ·「한반도 신경제지도와 일대일로 협력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 북방경제협력과 연계모색 중심으 로」, 『평화학연구』, 한국평화연구학회, 2018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서의 남북한 주도권 강화 방안: 지경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국 가전략』, 세종연구소, 2018 ·「일대일로의 이론과 실제: 중국의 지역패권주의 강화와 일대일로 사업추진에서 발생된 한계점」, 『한국동북아논총』, 한국동북아학회, 2018 ·「신남방정책과 ‘인도-태평양 전략’의 상호연계 모색: 지정학과 지경학의 상호 보완성을 중심으 로」, 『세계지역연구논총』,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차이나 리스크에 대한 대비와 한반도의 전략적 지정학 정립의 필요성-북방경제협력을 중심으 로」, 『슬라브학보』,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9 ·「일대일로2.0과 중러 관계의 제한성」, 『평화학연구』, 한국평화연구학회, 2019 ·「미중패권경쟁의 전망과 한국의 외교전략-아세안과 신남방정책의 협력을 중심으로」, 『슬라브학 보』,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0 ·「코로나 팬데믹 시대, 국제질서의 변화와 러시아의 외교전략 - 중러·미러 관계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아태지역연구센터, 2020 외 다수

이태림(지은이)

현) 국립외교원 러시아 담당 교수 현) (사)유라시아21 부회장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MGIMO) 법학박사 KPMG International 러시아법인 이사, 법무법인 세종 러시아팀 선임외국변호사, 북방경제협력위원회 기획조정관 등 역임

백동화(지은이)

현) 법무법인(유) 세종 외국변호사(러시아) 현) (사)유라시아21 부회장 모스크바국립국제관계대학교 LLB, 모스크바국립법률대학교 LLM, 삼성전자 모스크바법인 법무팀

이백희(지은이)

현) 이스트텔레콤 대표 현) 유라시아21 부회장

이선영(지은이)

현) ㈜유라스텍 대표이사 현) 서울대교구가톨릭경제인회 운영위원, 서울상공회의소 성동구상공회 이사, 북방경제협력위원회 특별위원 국제지역학(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 (사)한국기술거래사회 사무국장, (사)한국비아이기술사업화협회 부회장 등 역임

사단법인 유라시아21(엮은이)

Ⅰ. 비전 (사)유라시아21은 러시아를 포함한 유라시아와 한반도 관계 발전을 연구하고, 이와 관련된 각국 정책 전문가 육성 및 네트워크의 구축하며, 유라시아 각국 의회 간의 소통 증진 및 네트워크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국 내외에서 창조적인 유라시아 정책을 형성, 홍보, 확산하는 활동을 주된 목적으로 국회 사무처에 등록된 사단법인으로 2017년 5월 창립되었습니다. Ⅱ. 목적 1. 국회 내 러시아 및 유라시아 관련 의원들의 연구모임이 거의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러시아·유라시아에 대한 정책토론의 장을 활성화하고 이 지역에 대한 의원외교 활동을 민간 수준에서 지원한다. 2. 학계뿐 아니라 정·관계 및 재계 · 업계 등에서 오랫동안 한국의 대륙·북방 협력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해 온 현장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정책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 유라시아 진출 정책의 입안과 실현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한다. 3. 유라시아 진출을 꿈꾸는 차세대를 발굴하고, 청년세대의 유라시아 진출 역 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원한다. Ⅲ. 주요 활동 방향 1. 유라시아 각국의 정치·경제·사회 제 분야 및 한국과의 교류 증진 방안에 대 한 정책 개발 및 제안 2. 한국의 유라시아(북방 및 대륙) 관련 정책의 개발 및 한국 기업의 유라시아 진출 방안 연구 및 제안 3. 유라시아 각국 의회 간 교류 및 의원 외교의 활성화를 위한 사업 지원 4. 유라시아에 진출하였거나 진출하려는 기업들 간의 네트워크 구축 및 유라시아 기업활동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세미나 및 여타 활동 조직 5. 유라시아에 대한 인식 증진 및 진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홍보 Ⅳ. 주요 사업 1. 연례 정책포럼 · 대표적 정기행사로 년 1회 개최, 매년 9월말~10월초 개최 · 법인 내 분과 토론 결과 개발된 정책의 발표 · 정계 및 관계와 제계 인사들의 정책 토론의 장을 마련 2. 정책 세미나 · 각 시기별 북방 관련 주요 정책이슈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 · 국회의원, 담당부처 관료를 비롯한 현장 전문가들의 자유로운 소통 · 년 3~4회 개최. 필요한 경우 비공개로 개최할 수도 있음 · 러시아 및 유라시아 관련 주요 의제 관련 전문가 강연 3. 유라시아 비즈니스 인사이트 · 각 기업 CEO등 업계 전문가들 대상으로 유라시아 사업 관련 현안 분석 및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 매월말 조찬세미나로 모임 4. 의원 유라시아 외교 지원 · 한-러 의원친선협회 및 한-중앙아 의원친선협회 등 의원 외교 지원 · 국회 내 러시아, 유라시아 포럼과 정기 세미나 개최 · 유라시아 국회의장 회의 지원, 이슈 발굴, 각종 정보 지원 등 5. 기타 · 청년세대 및 사업가를 위한 러시아·유라시아 관련 아카데미 및 훈련프로 그램 개최 · 차세대 유라시아 연구 전문가 발굴 및 지원 사업 · 러시아·유라시아 내 지한 전문가 발굴 및 지원 사업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발간사
축사
머리말

Ⅰ부 전략의 모색

1장. 미-중 전략경쟁, 미-중-러 전략적 삼각관계, 그리고 한-러 전략협력
- 신범식
2장. 전환기적 국제질서와 러시아의 ‘전략적 가치’
- 장세호
3장. 바이든 시대 미중경쟁과 한국 중앙아시아 협력
- 백주현
4장. 러중 전략협력과 유라시아질서의 미래: 한국의 기회와 제약
- 최재덕

Ⅱ부 정책의 모색

5장. 신북방정책의 성과와 과제: 차기 정부를 위한 제언
- 성원용
6장. 한반도 비핵화·평화프로세스와 러시아의 역할
- 서동주
7장. 한-러 경제 협력 거버넌스의 현황과 과제
- 권원순
8장. 한-러 간 전략적 소통의 확대를 위한 과제: 한-러 관계 심화 발전을 위한 본질적 문제를 중심으로
- 이태림

Ⅲ부 실질협력의 모색

9장. 디지털 무역협정과 한-EAEU 경제협력
- 이대식
10장. 외국인 투자 촉진과 위험 회피를 위한 제도적 과제
- 백동화
11장. 러시아, 중앙아시아 물류, 유통 공동진출 방안
- 김익준
12장. 중앙아시아 ICT 분야 발전전략 및 협력방안
- 이백희
13장. 4차 산업혁명과 한-러 기술협력 유망 분야
- 이선영

저자 소개
기관소개

관련분야 신착자료

McCormick, John (2023)
한국. 외교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22)
葛劍雄 (2022)
기광서 (2022)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