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역사 속의 젊은 그들 : 18세기 북학파에서 21세기 복합파까지 / 증보판

역사 속의 젊은 그들 : 18세기 북학파에서 21세기 복합파까지 / 증보판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하영선, 河英善, 1947-
Title Statement
역사 속의 젊은 그들 : 18세기 북학파에서 21세기 복합파까지 / 하영선 지음
판사항
증보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동아시아연구원,   2022  
Physical Medium
463 p. : 삽화 ; 23 cm
ISBN
9791166175015
General Note
"인물연보" 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8150
005 20230105110008
007 ta
008 230104s2022 ulka b 000c dkor
020 ▼a 9791166175015 ▼g 03910
035 ▼a (KERIS)BIB000016589330
040 ▼a 247023 ▼c 247023 ▼d 211009
082 0 4 ▼a 327.519 ▼2 23
085 ▼a 327.53 ▼2 DDCK
090 ▼a 327.53 ▼b 2022z13
100 1 ▼a 하영선, ▼g 河英善, ▼d 1947- ▼0 AUTH(211009)144133
245 1 0 ▼a 역사 속의 젊은 그들 : ▼b 18세기 북학파에서 21세기 복합파까지 / ▼d 하영선 지음
250 ▼a 증보판
260 ▼a 서울 : ▼b 동아시아연구원, ▼c 2022
300 ▼a 463 p. : ▼b 삽화 ; ▼c 23 cm
500 ▼a "인물연보" 수록
504 ▼a 참고문헌 수록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3 2022z13 Accession No. 1118736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국제정치학자 하영선 교수의 2010년 강의를 바탕으로 쓴 초판을, ‘2022년의 젊은 그들’을 위하여 새롭게 고쳐 낸 책이다. 동아시아연구원이 주최하고 조선일보가 후원한 2010년 강의에서, 저자는 18세기부터 21세기까지 한국의 대외 정책과 인식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일곱 선각자와 21세기 복합파의 지적 연대기를 소개하고 그들의 이야기가 지금 한국의 대외 전략에 주는 함의를 고찰했다.

저자는 “젊은 그들”과 만나게 된 계기를 시작으로 그들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지적 유산에 이르는 광범위한 내용을 탁월한 식견으로 구성하며 인물들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오늘 한국이 당면한 과제와 연결한다.

증보판 《역사 속의 젊은 그들》은 21세기 복합파의 미래를 보완하기 위해 저자의 2016년 특별 강의 중 “꿈의 세계정치학”에 관한 내용을 제9장으로 새롭게 엮었다. 21세기의 주요 국가들은 동상이몽을 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위기를 맞으며 문명사적 변환을 겪고 있다. 제9장에서는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발견한 국제정치적 상상력의 일면을 소개하고, 나아가 21세기 한국의 복합 외교 공생 전략을 제시한다. 저자는 젊은 세대의 비전과 상상력으로 새로운 문명 표준을 제시하고 이끌어 가는 데 미래 한국의 사활이 걸려 있다고 당부한다.

초혼(招魂)과 설렘의 한국외교사

한국 국제정치 사상을 만들어 간 젊은 그들의 삶과 앎에서
21세기 복합과 공생의 새로운 질서를 향한 희망을 찾다

10년 만에 다시 만나는 하영선 교수의 명강의

증보판 《역사 속의 젊은 그들》은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국제정치학자 하영선 교수(현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의 2010년 강의를 바탕으로 쓴 초판을, ‘2022년의 젊은 그들’을 위하여 새롭게 고쳐 낸 책이다. 동아시아연구원이 주최하고 조선일보가 후원한 2010년 강의에서, 저자는 18세기부터 21세기까지 한국의 대외 정책과 인식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일곱 선각자와 21세기 복합파의 지적 연대기를 소개하고 그들의 이야기가 지금 한국의 대외 전략에 주는 함의를 고찰했다. 저자는 “젊은 그들”과 만나게 된 계기를 시작으로 그들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지적 유산에 이르는 광범위한 내용을 탁월한 식견으로 구성하며 인물들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오늘 한국이 당면한 과제와 연결한다.

삶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꿈과 애달픔의 이어달리기
근현대사는 조선 말기의 혼란과 열강에 의한 개화, 식민 지배에 이르는 슬픔과 아픔의 기록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당면한 역사의 과제에 부딪치며 길을 찾았던 청년들의 궤적이기도 하다. 연암 박지원의 대청 복합 그물망 외교론, 구당 유길준의 양절체제론, 민세 안재홍의 20세기 복합론으로 면면히 이어진 지적 전통은 21세기 복합파의 사상적 기반을 형성했다. 유배 생활에 굴하지 않고 탄생한 다산 정약용의 정치 개혁안, 젊은이에게 새로운 시각을 일깨운 환재 박규수의 사랑방, 협력과 갈등의 역학을 통찰한 약영 김양수의 식민지 국제정치학, ‘장소의 논리’에 기초한 동주 이용희의 한국 국제정치학은 당대의 현실을 냉철히 파악하고 대안을 추구했던 부절한 움직임이다. 그들의 꿈을 이어받아 어떻게 달려나갈 것인지, 이 책은 오늘의 젊은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21세기 세계정치를 향한 꿈과 상상력
증보판 《역사 속의 젊은 그들》은 21세기 복합파의 미래를 보완하기 위해 저자의 2016년 특별 강의 중 “꿈의 세계정치학”에 관한 내용을 제9장으로 새롭게 엮었다. 21세기의 주요 국가들은 동상이몽을 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위기를 맞으며 문명사적 변환을 겪고 있다. 제9장에서는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발견한 국제정치적 상상력의 일면을 소개하고, 나아가 21세기 한국의 복합 외교 공생 전략을 제시한다. 저자는 젊은 세대의 비전과 상상력으로 새로운 문명 표준을 제시하고 이끌어 가는 데 미래 한국의 사활이 걸려 있다고 당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하영선(지은이)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1980-2012)로 재직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 국제문제 연구소와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의 초청 연구원이었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장, 미국학 연구소장, 한국 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20년 동안 400편의 시론을 썼고, “하영선 칼럼”을 7년 동안 연재했다. 전파연구, 한국외교사, 정보세계 정치, 동아시아연구원의 연구 모임들을 이끌며 한국 국제 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해서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지난 20년 동안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와 한국의 생존전략을 젊은 세대들과 함께 공부하고 현장을 찾아보는 학술답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편저로는 국제정치이론 분야에서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2019),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복합 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2012), 『변환의 세계정치』(2012), 한국외교사 분야에서 『한국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2019), 『사행의 국제정치: 16-19세기 조천?연행록 분석』(2016), 한국외교정책 분야에서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2015), 『2020 한국외교 10대과제: 복합과 공진』(2013),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북한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2010),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 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의 구축』(2010), 한국개념사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2』(2009/2012)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증보판을 내면서
강의를 시작하며 | 미래 속의 젊은 우리들

제1강 연암 박지원의 중국 바로 보기
만남
1. 중국의 부상과 미래
2. 중국과 한반도
3. 중국 바로 알기: 연행록 읽기
삶
1. 우울한 가슴앓이(1737년~1767년)
2. 백탑파 모임(1768년~1785년)
3. 뒤늦은 벼슬살이(1786년~1805년)
앎
1. 존화양이론
2. 청조 대외정책의 복합성
3. 조선의 대청 복합 그물망 외교론
연암의 유산
질의응답

제2강 다산 정약용의 좌절한 정치 개혁
만남
1. 동주의 중매
2. 다산의 정치학적 접근
삶
1. 실학 공부와 천진암 강학회(1762년~1782년)
2. 정조와의 운명적 만남(1783년~1800년)
3. 다산의 강진 유배(1801년~1818년)
4. 여유당의 말년(1819년~1836년)
앎
1. 조선조 당시 허학(虛學)의 비판
2. 정치적 정당성 싸움의 경학 연구
3. 정치권력의 유지 관리
4. 정치권력 장악을 위한 군사론
5. 다산 연구의 부활
질의응답

제3강 환재 박규수의 개화파 사랑방
만남
1. 21세기와 19세기
2. 위정척사론
3. 박규수의 사랑방
삶
1. 유년 시절과 은둔기(1807년~1847년)
2. 출사와 관직 생활(1848년~1873년)
3. 박규수의 사랑방(1874년~1877년)
앎
1. 홍양후에게 보낸 편지의 북학 전통
2. 『상고도회문의례』의 존명 사상
3. 냉안간시무 허심독고서 (冷眼看時務 虛心讀古書)
4. 『거가잡복고』의 정치학
5. 『벽위신편평어』와 『해국도지(海國圖志)』의 영향
6. 제너럴셔먼호 사건과 일곱 편의 외교 문서
7. 조일수교의 서계 문제(1873년~1876년)
환재의 유산
질의응답

제4강 구당 유길준의 삼중 어려움
만남
1. ‘Civilization’과 ‘文明’
2. 개념사 연구
3. 동서고금 전파 연구

삶
1. 전통유학 수학(1856년~1872년)
2. 개화사상 수학(1873년~1882년)
3. 연금 은둔 생활(1885년~1893년)
4. 갑오개혁(1894년~1895년)
5.. 일본 망명 생활(1896년~1907년)
6. 『평화광복책』 (1907년~1914년)
앎
1. 문명개화론
2. 양절체제론
3. 군민공치론
조선 문명화의 좌절
1. 갑오개혁의 좌절
2. 균세의 실패
3. 국내 역량의 효율적 동원 실패
질의응답

제5강 약영 김양수의 미완성 식민지 국제정치학
만남
1. 식민지 시기 국제정치학의 빈곤
2. 약영(若嬰)과의 만남
3. 국제협조주의의 개념사
삶
1. 국내 수학과 일본 유학(1896년~1918년)
2. 식민지 시기 언론 활동(1918년~1930년)
3. 식민지 시기 사회 활동(1930년~1945년)
4. 해방 이후 정치 활동(1945년~1969년)
앎
1. 『사회문제에 대한 관념』
2. 『과거 1년의 세계: 대세를 지배하는 3대 사조』
3. 『1년간의 세계 대세』,
『세력균형주의와 국제협조주의』
4. 『양대 세력의 석금관(昔今觀)』,
『구미 국제 정국의 전망』
약영의 유산
질의응답

제6강 민세 안재홍의 실패한 20세기 복합론
만남
1. ‘민세’적 고민의 공유
2. 한국 민족주의의 문제
3. 복합론의 역사
삶
1. 국내 수학과 일본 유학(1891년~1914년)
2. 국내 활동과 징역 생활(1915년~1923년)
3. 조선일보와 신간회(1924년~1931년)
4. 민세주의와 조선학(1932년~1944년)
5. 해방 이후 정치 활동(1945년~1965년)
앎
1. 민세 제1기: 민중의 세상
2. 민세 제2기: 신간회의 국내 복합론
3. 민세 제3기: 민족적 국제주의
4. 민세 제4기: 신민족주의
민세 20세기 복합론의 실패와 영향
질의응답

제7강 동주 이용희와 한국 국제정치학
만남
1. “그것이 그런 것 같지 않다”
2. 권역과 전파의 국제정치학
3. 제왕의 학문
삶
1. 식민지 시절(1917년~1945년)
2. 서울대학교 교수 시절(1949년~1975년)
3. 현실 참여 시절(1975년~1997년)
앎
1. 동주 국제정치학의 출발
2. 『일반 국제정치학(상)』
3. 세계정치의 이중구조화
4. 『미래의 세계정치』
동주 국제정치학의 중요성
질의응답

제8강 복합파의 암호 풀기: 21세기 세계정치학
만남
1. 탈냉전에서 복합으로
2. 은유에서 분석으로
3. 한국 외교의 복합 네트워크 연구
복합파 모임의 연구 내용
경제위기 이후 세계질서와 한국의 복합 외교
1. 세계 질서의 미래
2. 동아시아 세력분포도
3.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4. 중국과 일본의 동아시아 정책
5. 북한 문제
6. 한국의 복합 외교
21세기 복합파의 미래
질의응답

제9장 보유: 꿈의 세계정치학
1. 21세기 세계정치 주인공의 꿈
2. 21세기 국제정치학을 위한 상상력
3. 21세기 한국 국제정치학의 꿈
4. 중견국 한국의 꿈

강의를 마치며 | 젊은 세대들의 역사적 대화

인물연보
주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McCormick, John (2023)
葛劍雄 (2022)
한국. 외교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22)
기광서 (2022)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