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8147 | |
005 | 20230105103428 | |
007 | ta | |
008 | 230104s2022 ulk 001c kor | |
020 | ▼a 9791158488079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547055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72.64/044 ▼2 23 |
085 | ▼a 372.64044 ▼2 DDCK | |
090 | ▼a 372.64044 ▼b 2022 | |
100 | 1 | ▼a Langer, Judith A. |
245 | 1 0 | ▼a 구상 구축과 문학 교육 : ▼b 문학적 사고와 문학 수업 / ▼d Judith A. Langer 지음 ; ▼e 김영란 [외]옮김 |
246 | 1 9 | ▼a Envisioning literature : ▼b literary understanding and literature instruction ▼g (2nd ed.) |
260 | ▼a 서울 : ▼b 박이정, ▼c 2022 | |
300 | ▼a 310 p. ; ▼c 23 cm | |
500 | ▼a 공역자: 정재림, 박수현, 박치범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Literature ▼x Study and teaching ▼z United States |
700 | 1 | ▼a 김영란, ▼g 金英蘭, ▼d 1974-, ▼e 역 ▼0 AUTH(211009)127514 |
700 | 1 | ▼a 정재림, ▼g 鄭在琳, ▼d 1973-, ▼e 역 ▼0 AUTH(211009)61446 |
700 | 1 | ▼a 박수현, ▼g 朴修賢, ▼d 1974-, ▼e 역 ▼0 AUTH(211009)70348 |
700 | 1 | ▼a 박치범, ▼e 역 |
900 | 1 0 | ▼a 랑거, 주디스 A.,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지정도서실/지정 | 청구기호 372.64044 2022 | 등록번호 111873684 | 도서상태 지정도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2.64044 2022 | 등록번호 12126269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5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지정도서실/지정 | 청구기호 372.64044 2022 | 등록번호 111873684 | 도서상태 지정도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2.64044 2022 | 등록번호 12126269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5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는 학교교육에서 문학이 과학이나 사회와 같은 방식으로 가르쳐지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문학은 과학이나 사회와는 다른 방식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저자는 문학적 사고를 ‘구상 구축하기(envisionment-building)’의 과정으로 이론화하였다. 구상 구축하기는 문학 독서 행위를 독자의 문학적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면, 그 실체를 개념화한 것이다.
문학적 사고 혹은 문학적 경험의 실체를 구상 구축하기와 그 단계들로 구분하고, 구상 구축하기 과정에서 가능성 지평 탐색하기의 사고, 참조점 유지하기의 사고를 통해 의미를 구성해 나간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에 기초해 구상 구축하기를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문학 수업이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 『구상 구축과 문학 교육-문학적 사고와 문학 수업』은 주디스 랑거(Judith A, Langer)의 『Envisioning Literature-Literary Understanding and Literature Instruction(2판)』(Teachers College Press, 2011)을 완역한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학교교육에서 문학이 과학이나 사회와 같은 방식으로 가르쳐지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문학은 과학이나 사회와는 다른 방식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저자는 문학적 사고를 ‘구상 구축하기(envisionment-building)’의 과정으로 이론화하였다. 구상 구축하기는 문학 독서 행위를 독자의 문학적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면, 그 실체를 개념화한 것이다.
주디스 랑거는 문학적 사고 혹은 문학적 경험의 실체를 구상 구축하기와 그 단계들로 구분하고, 구상 구축하기 과정에서 가능성 지평 탐색하기의 사고, 참조점 유지하기의 사고를 통해 의미를 구 성해 나간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에 기초해 구상 구축하기를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문학 수업이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때 근본적으로 문학작품 읽기를 통해 학생들의 사고를 촉진시킬 수 있 다는 믿음과 학생들이 충분히 합리적인 생각을 하는 사유자(thinker) 라는 믿음을 토대로, 학생들이 문학 작품에 대해 생각하고 토론할 수 있는 교실 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Judith A. Langer(지은이)
현재 알바니 소재 뉴욕 주립 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의 빈센트 오리어리 명예 교수(Vincent O’Leary Distinguished Professor Emeritus)이다. 그녀는 리터러시 교육(literacy education)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자이다. 그녀는 사람들이 어떻게 고등 문식성을 갖추게 되는지, 사람들이 학습하는 데에 읽기·쓰기·언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양상들이 교실 지도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했다. 랑거의 연구는 이론뿐만 아니라 정책과 실천에 국내적,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쳐 왔다. 연구 성과를 인정받은 랑거는 스웨덴 웁살라 대학교(University of Uppsala)에서 명예 박사 학위, 스웨덴 룬드 대학교(Lund University) 국제 창의 과학자상(Imaginative Scientists of the World award), 호프스트라 대학교(Hofstra University) 총장상 및 평생 업적상 등 다수의 저명한 상을 받았다. 또한 국제 읽기 명예의 전당(the international Reading Hall of Fame)에 헌액되었고, 읽기 곤란을 겪는 학생 지도에 관한 연구로 알버트 해리스 상(Albert J. Harris award)을 받았다.
정재림(옮긴이)
고려대학교에서 국어교육을 전공하고 국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고려대학교와 항공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자신이 문학을 전공했다는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하고, 선생이 되었다는 점에 감사하는 사람이다. 문학이라는 전공과 선생이라는 직업을 선택한 특별한 계기는 딱히 없다. 하지만 유신론자인 까닭에 이 모든 일이 우연이 아니라고 믿는 사람이다. 한동안은 ‘기억’이라는 주제에 매료되어 『기억의 고고학』 『한국 현대소설과 전쟁의 기억』 『기억의 여신 므네모시네, 영화관에 들어서다』와 같은 책들을 펴내기도 했다. 요즘은 내가 좋아하는 문학을 어떻게 하면 남도 좋아하게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한편, ‘좋은 선생’이 되자고 재차 다짐하고 있다.
박치범(옮긴이)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이 책의 1판을 읽은 경험을 바탕으로 2판을 꼼꼼하 게 읽으며 문학적 사고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자 번 역에 참여하게 되었다.
김영란(옮긴이)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문학적 사고가 수학적 논리 구성이나 과학적 사고 와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기 위해 이 책을 번역하게 되었다.
박수현(옮긴이)
공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정신적 성장과 통찰력 함양에 실제적 도움을 주는 문학 교육에 관해 고민하다가, 신선한 교육 방법과 문학의 힘을 부각하는 이 책의 번역에 동참했다.

목차
저자에 관하여 일러 두기 역자 서문 서문 제 1 장 문학적 사고와 문식성을 갖춘 마인드 왜 문학을 가르치는가? 문식성을 갖춘 마인드(THE LITERATE MIND) 한 교실 사례 삶 속의 문학 학교에서의 문학 문학적 이해는 무엇인가? 제 2 장 구상 구축하기 텍스트와 상호작용하기 구상 구축하기 동안의 단계들 교실 사례 제 3 장 문학적 경험의 본질 의미를 향한 지향들(Orientations toward meaning) 가능성의 지평 탐색하기 참조점 유지하기 몇 가지 교실 사례 삶과 사고 제 4 장 문학작품 속에서 지향을 전환하기 제 5 장 구상 구축을 위한 사회적 장치로서의 교실 문학 토론 두 가지 교실 경험 공동체의 탄생 제 6 장 실제적인 지도 방법 실천의 원리 실제 교실 사례 구상-구축 교실 제 7 장 교수 전략 학교에서의 협력적 지원 전 학년에 걸친 협력적 지원 사례 지도 방식: 활동으로서의 수업 무엇이든 되는 건가요? 과정 중의 평가: 그 속에서 계속 진화하는 목표 제 8 장 시스템에서 뒤처진 학생을 위한 문학 열람실 9학년 국어 교실: 특수 교육 대상 학생들 노벨 중학교: 도시의 가난한 지역 주니어 하이 306: 이중언어와 ESL 학급 구상 구축하기 제 9 장 문학적 개념과 어휘 학습 구상 구축이 일어나는 교실에서의 문학적 지식 가르칠 수 있는 순간 제 10 장 교육과정을 가로지르는 문학 타 교과 수업에 문학적 사고 도입하기 문학과 교육과정을 통합하기: 팀 접근법 제 11 장 맺음말: 학교와 삶에서의 문학 후기: 교사들의 반응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