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뉴노멀 시대 일본교육의 변화와 실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공병호, 孔秉鎬, 1962-, 저 박주언, 저 윤종혁, 저 이성한, 저 이은주, 저 이정희, 저 장지은, 저 조규복, 저 최순자, 저 한용진, 저
단체저자명
한국일본교육학회
서명 / 저자사항
뉴노멀 시대 일본교육의 변화와 실제 / 한국일본교육학회 편 ; 공병호 [외]공저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22  
형태사항
241 p. : 삽화 ; 23 cm
ISBN
9791168019973
일반주기
공저자: 박주언, 윤종혁, 이성한, 이은주, 이정희, 장지은, 조규복, 최순자, 한용진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7903
005 20230103103836
007 ta
008 230102s2022 ggka b 001a kor
020 ▼a 9791168019973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0.952 ▼2 23
085 ▼a 370.952 ▼2 DDCK
090 ▼a 370.952 ▼b 2022
110 ▼a 한국일본교육학회
245 1 0 ▼a 뉴노멀 시대 일본교육의 변화와 실제 / ▼d 한국일본교육학회 편 ; ▼e 공병호 [외]공저
260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22
300 ▼a 241 p. : ▼b 삽화 ; ▼c 23 cm
500 ▼a 공저자: 박주언, 윤종혁, 이성한, 이은주, 이정희, 장지은, 조규복, 최순자, 한용진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공병호, ▼g 孔秉鎬, ▼d 1962-, ▼e▼0 AUTH(211009)37547
700 1 ▼a 박주언, ▼e
700 1 ▼a 윤종혁, ▼e
700 1 ▼a 이성한, ▼e
700 1 ▼a 이은주, ▼e
700 1 ▼a 이정희, ▼e
700 1 ▼a 장지은, ▼e
700 1 ▼a 조규복, ▼e
700 1 ▼a 최순자, ▼e
700 1 ▼a 한용진,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952 2022 등록번호 1118735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코로나19 이후 뉴노멀 시대, 일본교육의 새로운 변화와 실천. 뉴노멀 시대 일본교육의 변화와 실제를 큰 주제로 하여, 교육연구 동향, 교육개혁 정책, 교육실천 사례 세 영역을 다룬 책이다.

1부 교육연구 동향에서는 뉴노멀 시대와 한일사회의 교육개혁의 전환,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뉴노멀 사회,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교육과제, 일본 대학생 대상 코로나19 관련 연구를 다뤘다. 2부 교육연구 동향에서는 교육개혁 정책으로 3·11 동북대지진 이후 학교교육개혁 과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일본의 학교교육 개혁 방향과 과제, 일본의 GiGA스쿨의 전개, 학령기 인구 감소에 따른 일본의 초·중등교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을 다뤘다. 마지막 교육실천 사례를 다룬 3부에서는 일본 후생노동성 코로나19 지침과 영유아교육기관 대응 사례, 뉴노멀 시대 일본의 아동교육 분야 NPO 활동, 일본의 교원 업무 경감 추진 정책과 시사점을 다뤘다.

저자 소개

공병호
(전) 덕성여자대학교 교수
(현) 오산대학교 교수

박주언
(전) 도쿄여자대학교 강사
(현)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원

윤종혁
(전) 한국교육개발원 부원장
(현)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이성한
(전) 영남대학교 강사
(현) 고신대학교 교수

이은주
(전) 명지전문대학 겸임교수
(현) 명지전문대학 조교수

이정희
(전) 부산교육대학교 강사
(현)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장지은
(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현)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조규복
(전) 동경대학 객원준교수·연구원
(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책임연구원

최순자
(전) 사이타마대학교 교육학부 연구원
(현) 국제아동발달교육연구원 원장

한용진
(전) 한국일본교육학회장
(현) 고려대학교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발간사 _최순자
글을 시작하며: 뉴노멀 시대의 일본교육 _한용진

제1부 교육연구동향

제1장 뉴노멀 시대와 한일사회의 교육개혁의 전환: 부등교(不登校) 시대의 학습권의 의의를 중심으로 _이은주
Ⅰ. 팬데믹과 한일사회
Ⅱ. 부등교 시대(不登校時代)의 한일교육
Ⅲ. 일본의 비대면 교육의 현상
Ⅳ. 교육개혁의 전환 제언
Ⅴ. 나가며
참고문헌

제2장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뉴노멀 사회: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일본의 ICT 교육 _박주언
Ⅰ. 머리말
Ⅱ.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의 개념 정리
Ⅲ.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의 변화
Ⅳ. 일본의 ICT 교육 현황
Ⅵ. 맺음말
참고문헌

제3장 일본 대학생 대상 코로나19 관련 연구 _최순자
Ⅰ. 일본 대학 코로나19 초기 대응 관심사
Ⅱ. 학회지 논문 메타분석
Ⅲ. 대학생 대상 코로나19 관련 연구
Ⅳ. 대학생의 심리적 지원
참고문헌

제2부 교육개혁정책

제4장 3·11 동북대지진 이후 학교교육개혁 과제: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체제 구축을 중심으로 _윤종혁
Ⅰ. 3·11사태와 코로나19 위기 앞에 선 10년의 교육
Ⅱ. 3·11 이후 학교교육 현장의 위기관리와 학교안전망 구축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학교교육 개혁방향과 과제
Ⅳ. 3·11 10년을 맞은 포스트 코로나 교육체제의 새로운 전망
참고문헌

제5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일본의 학교교육 개혁 방향과 과제: ICT 활용을 중심으로 _이정희
Ⅰ. 일본의 미래형 교육 과정
Ⅱ.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일본의 학교교육 개혁
Ⅲ. 일본의 미래형 학교교육 실현을 위한 노력
Ⅳ. 일본의 미래형 학교교육 실현을 위한 과제
참고문헌

제6장 일본의 GIGA 스쿨의 전개 _장지은
Ⅰ. 프로그래밍 교육
Ⅱ. 협동과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툴
Ⅲ. GIGA 스쿨
Ⅳ. 마무리
참고문헌

제7장 학령기 인구 감소에 따른 일본의 초·중등교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의무교육특례’를 중심으로 _조규복
Ⅰ. 일본 교원 지원율 감소와 의무교육특례
Ⅱ. 의무교육특례와 관련 정책 및 시사점
Ⅲ. 일본 의무교육특례의 시사점
Ⅳ. 한국형 의무교육특례
참고문헌

제3부 교육실천사례

제8장 일본 후생노동성 코로나19 지침과 영유아교육기관 대응 사례 _최순자
Ⅰ. 교육계에 큰 변화를 가져온 코로나19
Ⅱ. 코로나19에 관한 후생노동성 지침과 논의점
Ⅲ. 후생노동성 코로나19 지침에 관한 영유아교육기관 대응 사례
Ⅳ. 융통적 대응
참고문헌

제9장 뉴노멀 시대 일본의 아동교육 분야 NPO 활동 _이성한
Ⅰ. 머리말
Ⅱ. 뉴노멀 시대의 아동교육 분야 NPO 활동
Ⅲ. 아동교육 분야 NPO의 역할과 과제
참고문헌

제10장 일본의 교원 업무 경감 추진 정책과 시사점: ‘업무 분장’ ‘팀 학교’ ‘동아리 지도’를 중심으로 _조규복
Ⅰ. 일본 교원의 업무 경감 정책과 사례
Ⅱ. 일본 교원 초과근무 현황과 원인
Ⅲ. 우리나라 교원 업무 관련 시사점
참고문헌

글을 마치며: 뉴노멀 시대 교육의 전망과 방향 _공병호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