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7900 | |
005 | 20230103091932 | |
007 | ta | |
008 | 230102s2022 ggk b 001a kor | |
020 | ▼a 9788925417295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155.2 ▼2 23 |
085 | ▼a 155.2 ▼2 DDCK | |
090 | ▼a 155.2 ▼b 2022z6 | |
100 | 1 | ▼a Erikson, Erik H. ▼q (Erik Homburger), ▼d 1902-1994 ▼0 AUTH(211009)84572 |
245 | 1 0 | ▼a 정체성 : ▼b 청소년과 위기 / ▼d 에릭 H. 에릭슨 저 ; ▼e 윤초희, ▼e 정현천 공역 |
246 | 1 9 | ▼a Identity : ▼b youth, and crisis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2 | |
300 | ▼a 444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17)과 색인수록 | |
650 | 0 | ▼a Identity (Psychology) |
700 | 1 | ▼a 윤초희, ▼d 1970-, ▼e 역 ▼0 AUTH(211009)31236 |
700 | 1 | ▼a 정현천, ▼e 역 ▼0 AUTH(211009)16439 |
900 | 1 0 | ▼a 에릭슨, 에릭 H.,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5.2 2022z6 | Accession No. 11187352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19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에릭 H. 에릭슨의 <정체성>. 정체성의 개념을 고찰하는 것은 그것의 역사를 기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가 이 책에서 논의될 특별한 의미로 처음 사용된 이후 20년간 그 대중적 용도는 매우 다양해지고 개념적 맥락은 너무 확장되어, 무엇이 정체성이고 무엇이 정체성이 아닌지에 대해 더 나은 그리고 최종적인 경계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 온 것 같다. 그러나 그런 결정적인 이름을 가진 것은 그 본질상 변화하는 역사적 함의의 영향을 받는다.
‘정체성’ 및 ‘정체성 위기’는 대중적이거나 과학적으로 사용될 때 너무도 크고 자명해 보이는 것을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기 때문에, 개념 정의를 요구하는 것은 거의 의미 없는 일처럼 여겨진다. 반면, 다른 경우에는 측정의 목적상 너무도 협소한 것을 지칭하기 때문에 전체 의미를 상실하게 되고, 오히려 무언가 달리 불리는 편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에릭 H. 에릭슨(지은이)
독일 출신 미국 심리학자, 정신분석가. 인간 발달 이론과 정체성 위기 개념을 정립했다. 생부가 누구인지 모른 채 덴마크 출신 유대인 어머니와 독일 출신 유대인 새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그러나 유대인과 다른 외모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자신의 정체성을 두고 깊이 고민했다.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예술가를 꿈꾸며 유럽 각지를 떠돌다 1927년부터 6년간 빈의 정신분석연구소에서 안나 프로이트에게 정신분석 훈련을 받았다. 나치의 억압을 피해 1933년 미국으로 건너간 에릭슨은 학위도 없고 정식 의학 공부도 한 적이 없었으나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미국 최초의 아동 정신분석가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캘리포니아대학(UC버클리), 예일대학을 거쳐 1960년부터 하버드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에릭슨의 심리 이론은 20세기 정신분석을 넘어 역사학, 정치학, 종교학, 인류학, 사회학 등 여러 분야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쳤다. 생애 주기 이론을 적용해 간디의 삶을 추적한 책 《간디의 진리》로 퓰리처상과 전미도서상을 받았다. 저서로 《유년기와 사회》, 《청년 루터》, 《정체성: 청년과 위기》 등이 있다.
정현천(옮긴이)
SK그룹에서 35년간 재무, IR, 구조조정, 해외사업 전략 수립, 사업개발 등의 다양한 일을 하고 부사장으로 그룹의 CSR 및 ESG를 담당했으며, 지금은 내부 교육기관인 mySUNI의 전문교수로 일하면서 후배들을 지원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동국대학교에서 조직인사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은 책으로는 『포용의 힘』(트로이목마, 2017)이 있고, 포용국가연구회에서 펴낸 『포용한국으로 가는 길』(시사저널사, 2021)의 공저자로 참여했다. 옮긴 책으로는 『수퍼사이징 더 마인드』(공역, 교육과학사, 2018)가 있다.
윤초희(옮긴이)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교육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관심분야는 인지발달, 학습과학, 창의성, 비판적 사고 등이다. 저·역서로는 『교육학개론』(공저, 박영스토리, 2021), 『학습컨설팅: 이론과 설계』(공저, 박영스토리, 2018), 『수퍼사이징 더 마인드』(공역, 교육과학사, 2018), 『마음의 형성: 알렉산드르 루리야의 자서전』(역, 교육과학사, 2015), 『교실에서의 창의성교육』(공역, 학지사, 2014), 『학교와 지역사회를 위한 심리 및 학습컨설팅』(공역, 센게이지러닝, 2012), 『사고와 언어』(역, 교육과학사, 2011) 등이 있다. 현재 동국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있다.

Table of Contents
□옮긴이의 글 7 □서문 11 제1장 프롤로그 … 21 제2장 관찰의 기초 … 61 1. 한 임상의의 기록 _ 61 2. 전체주의에 관하여 _ 99 제3장 생애주기: 후성 정체성 … 119 1. 유아기와 인식의 상호의존성 _ 126 2. 초기 유년기와 자기 자신이고자 하는 의지 _ 138 3. 유년기와 역할 기대 _ 148 4. 학령기와 과제 동일시 _ 157 5. 청소년기 _ 165 6. 정체성을 넘어서 _ 174 제4장 생애사와 사례사를 통해 본 정체성 혼란 … 183 1. 전기 I: 창조적 혼란 _ 183 2. 발생학: 동일시와 정체성 _ 201 3. 병력학: 임상에서 바라본 심각한 정체성 혼란 _ 214 4. 사회학: 개인적 혼란에서 사회적 질서로 _ 231 5. 전기 II: 다시 돌아온 혼란-매일 밤의 정신병리학 _ 252 제5장 이론적 막간 … 269 1. 자아와 환경 _ 269 2. 혼란, 전이, 그리고 저항 _ 275 3. 나, 내 자신과 자아 _ 280 4. 자아의 집단성 _ 286 5. 이론과 이데올로기 _ 290 제6장 최근 이슈들: 청소년 … 299 제7장 여성성과 내부의 공간 … 339 제8장 인종과 더 넓은 정체성 … 381 □이 책이 기초한 자료 417 □후주 419 □찾아보기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