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7717 | |
005 | 20230419095156 | |
007 | ta | |
008 | 221230s2022 ggk 000a kor | |
020 | ▼a 9791190301220 ▼g 1336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658.3 ▼2 23 |
085 | ▼a 658.3 ▼2 DDCK | |
090 | ▼a 658.3 ▼b 2022z11 | |
100 | 1 | ▼a 정봉수, ▼g 鄭奉守, ▼d 1967- ▼0 AUTH(211009)150408 |
245 | 2 0 | ▼a (직장인과 취업준비생에게 바로 도움을 주는) 인사노무실무 = ▼x A practical guide for employment and labor issues / ▼d 정봉수 지음 |
246 | 3 1 | ▼a Practical guide for employment and labor issues |
260 | ▼a 고양 : ▼b 시간여행, ▼c 2022 | |
300 | ▼a 440 p. ; ▼c 22 cm | |
900 | 1 0 | ▼a Jung, Bongsoo,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8.3 2022z11 | 등록번호 1118733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사노무관리의 실제 발생 사례를 가지고 일게 쉽게 정리한 실무서이다. 취업준비생이나 일반 직장인이면 누구나 여기서 담고 있는 내용 정도는 알아야 자신의 권리를 지키고 동료 직원들을 보호할 수 있다.
Part 1에서는 노동법의 이해, Part 2에서는 근로기준법에서 규정하는 차별 금지와 적용 범위 그리고 근로감독에 관해, Part 3에서는 근로 계약에서 규정하는 근로자와 사용자가 지켜야 할 의무에 관해, Part 4에서는 회사의 근로조건의 기준을 정한 취업규칙에 관해 이해를 돋우고, Part 5에서는 임금과 관련된 일반지식에 관해, Part 6에서는 근로시간과 휴식에 대한 노동법적 판단에 관해, Part 7에서는 근로환경 즉, 중대 재해 처벌법, 직장 내 괴롭힘 기준과 사례를 통해 이해를 돋우며, Part 8에서는 산업재해보상, 산재 발생 처리절차, 과로사의 실질적인 예를 살펴보며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Part 9에서는 집단적 노사관계에서 부당노동행위와 대체근로 금지제도에 관하여 알아본다.
자기 소리를 낼 줄 아는 사람이 되자.
현 시대의 직장생활은 선후배 사원 간에 대등한 인격체로서 각자의 업무 내용과 실적에 따라 대우받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 직장상사가 후배 사원에게 직장예절을 가르친다는 명목으로 원치 않는 술자리를 갖는다면 이는 ‘직장 내 괴롭힘’이다. 기존의 사회에서는 묵묵히 인내하고 참아내는 의리 있는 직장인을 선호했지만, 이젠 자기의 권리를 알고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직원을 더 알아주는 시대이다.
자신의 권리를 알고 생활하자.
이 책은 인사노무관리의 실제 발생 사례를 가지고 일게 쉽게 정리한 실무서이다. 취업준비생이나 일반 직장인이면 누구나 여기서 담고 있는 내용 정도는 알아야 자신의 권리를 지키고 동료 직원들을 보호할 수 있다.
Part 1에서는 노동법의 이해, Part 2에서는 근로기준법에서 규정하는 차별 금지와 적용 범위 그리고 근로감독에 관해, Part 3에서는 근로 계약에서 규정하는 근로자와 사용자가 지켜야 할 의무에 관해, Part 4에서는 회사의 근로조건의 기준을 정한 취업규칙에 관해 이해를 돋우고, Part 5에서는 임금과 관련된 일반지식에 관해, Part 6에서는 근로시간과 휴식에 대한 노동법적 판단에 관해, Part 7에서는 근로환경 즉, 중대 재해 처벌법, 직장 내 괴롭힘 기준과 사례를 통해 이해를 돋우며, Part 8에서는 산업재해보상, 산재 발생 처리절차, 과로사의 실질적인 예를 살펴보며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Part 9에서는 집단적 노사관계에서 부당노동행위와 대체근로 금지제도에 관하여 알아본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봉수(지은이)
저자는 공인노무사.법학박사이다. 그는 한남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메릴랜드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그리고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법학석사를 졸업하고 아주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노동법)이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외투기업의 NO 1, 강남노무법인의 대표노무사이다. 서울글로벌센터 위촉노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전)우체국 물류지원단 사외이사, 전) 보쉬코리아에서 인사팀 담당자로 활동했다. 저서로 《한국노동법 영문해설(6판)》 / (주)중앙경제, 《노사문제 사례별 대응방안》 / (주)중앙경제, 그리고 계간 《노동사건 사례 모음》 발행인이다. 실무자를 위한 노동법 실무 매뉴얼 시리즈로 《구조조정 매뉴얼》, 《외국인 고용과 비자 매뉴얼》, 《해고 매뉴얼》, 《노동조합 매뉴얼》, 《임금 매뉴얼》, 《근로시간, 휴일, 휴가 매뉴얼》, 《비정규직과 근로자성 판단 매뉴얼》, 《근로계약 매뉴얼》, 《산재보상 매뉴얼》, 《취업규칙 매뉴얼》 등을 발행했다. 공저로서 방송대학교 출판원에서 《근로보호법》을 출판하였다

목차
|머리말| 자신의 권리를 알고 자기 소리를 낼 줄 아는 사람으로… | 4 PART 1 노동법의 이해 01 근로자에 대한 사업주의 보호 의무 | 12 02 근로기준법에서 근로자 판단 기준 | 16 03 학원 강사, 근로자성 판단 기준과 사례 | 23 04 지입차주는 근로자인가? | 26 05 외국인 회사의 대표이사, 근로자인가 사용자인가? | 29 06 전직금지 약정을 한 경우, 퇴사자는 경쟁 회사에 취업을 못 하는가 | 35 07 우수 인재확보를 위한 특별 보너스(사이닝 보너스)의 구속력 | 42 08 노동법 소멸시효 제도 | 49 PART 2 근로기준법 01 차별 금지, 관련한 노동 사례 | 54 02 상시 5인 미만 사업장의 근로 조건 | 64 03 온라인 업무전환에 따른 오프라인 근로자 해고 | 68 04 부당해고구제신청, 각하 사유와 관련 사건 사례 | 76 05 여성보호, 근로기준법상 주요 내용 | 81 06 근로감독관의 근로감독, 지적사항과 사업주의 대응조치 사례 | 89 PART 3 근로 계약 01 수습 근로자, 해고 사례와 시사점 | 96 02 비정규직 보호법이란 무엇인가? | 101 03 기간제 근로자, 갱신 기대권 | 106 04 아르바이트(단시간 근로자), 근로 조건 | 110 05 불법 파견, 판단 기준과 사례 | 114 06 고등학생(연소자) 아르바이트, 근로 조건 | 117 07 단순 기능 외국인 근로자(E9) 고용 방법 | 120 08 외국인 농업종사자 활용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개선 방향 | 130 PART 4 취업규칙 _복무규정, 징계, 해고, 정리해고 01 취업규칙이란 무엇인가? | 138 02 김영란법과 기업의 법적 책임 | 147 03 채용절차법, 채용 비리와 청탁을 금지하다 | 155 04 통상해고와 징계해고의 차이 | 159 05 고용종료, 근로기준법의 보호 내용 | 165 06 권고사직(해고·합의 퇴직), 판단 기준과 사례 | 170 07 부당해고구제신청은 노동위원회의 ‘심판회의’ | 178 08 해고에서 화해를 통한 노동분쟁 해결 | 185 09 징계해고, 절차를 지키지 않으면 부당해고이다 | 192 10 외국 본사의 파견근무 외국인 부당해고 사례 | 197 11 저성과자 해고, 사례와 교훈 | 203 12 최후 수단으로 정리해고 | 208 13 희망퇴직제도 | 216 PART 5 임금 01 임금공제 금지 원칙과 예외 관련 사례 | 224 02 임금삭감·임금동결·임금반납 방법과 관련 사례 | 229 03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확산과 휴업수당 | 234 04 포괄임금제, 위험성과 관련 사례 | 238 05 최저임금과 사업주의 의무 | 242 06 근로기준법의 이해-외국인 강사의 퇴직금 미지급 사례 | 246 07 퇴직금 미지급 진정-사례 | 253 08 퇴직금 선지급, 퇴직금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가 | 259 09 퇴직연금제도 | 265 10 사업주의 임금 체납을 신속하게 해결하는 소액체당금 | 273 PART 6 근로시간과 휴식 01 유연 근로시간제 활용 사례 | 278 02 재택근무제 도입과 관리 방법 | 282 03 휴식시간을 이용한 근로시간 설계 | 286 04 현행법상 저축휴가제도 활용 방법 | 290 05 대법원-1년 기간제 최대 연차휴가는 11개 | 298 06 연차휴가 부여 방식 | 304 07 기업 상무가 청구한 미사용 연차수당과 미지급 연장근로수당 | 311 PART 7 근로환경 _중대 재해 처벌, 직장 내 괴롭힘 방지 01 중대재해처벌법, 2022년 1월부터 적용 | 318 02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사업주의 대응방안 | 322 03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 327 04 직장 내 괴롭힘, 개념과 판단 기준 | 330 05 직장 내 괴롭힘 발생시 사업주의 적절한 조치 | 337 06 직장 내 괴롭힘 처리 사례 -신입직원 | 343 07 직장 내 괴롭힘, 사례와 교훈 | 350 PART 8 산업재해 보상 01 산재 사망사고 발생시 사업주의 조치 의무 | 358 02 업무상 사망과 관련한 합의 사례 | 366 03 출장 중, 오염된 음식물로 인한 사망-산재 사례 | 373 04 업무상 과로사로 인정받은 산재-전직 경찰관 | 379 05 자택 심장마비 사망, 산재 사례-KTX 기장 | 386 06 소음성 난청 산재 판정 기준과 사례-해양경찰 | 392 07 출퇴근 재해 산재 인정 기준 | 400 08 산재보험료 부과처분 취소 사건 | 404 PART 9 집단적 노사관계 01 부당노동행위, 판단 기준은 무엇인가? | 412 02 사용자 언론 자유와 부당노동행위와 관계 | 418 03 노동조합 파업시, 대체근로 금지제도 | 424 04 공공기관 노동이사제 도입 | 429 05 복수노동조합과 교섭창구 단일화제도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