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中國共產黨의) 중국 특색 외교 이론과 실천

(中國共產黨의) 중국 특색 외교 이론과 실천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杨洁勉, 저 이춘호, 李春虎, 역 김영규, 金永奎, 역 김승범, 金勝範, 역 조은미, 趙銀美, 역
Title Statement
(中國共產黨의) 중국 특색 외교 이론과 실천 / 楊潔勉 외 지음 ; 李春虎 [외]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늘품플러스,   2022  
Physical Medium
506 p. : 삽화 ; 23 cm
Varied Title
中国共产党和中国特色外交理论与实践
ISBN
9791188024865
General Note
공역자: 김영규, 김승범, 조은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492-502
Subject Added Entry-Geographic Name
China --Foreign relations --20th centur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7716
005 20230102102847
007 ta
008 221230s2022 ulka b 000a kor
020 ▼a 9791188024865 ▼g 03340
035 ▼a (KERIS)REQ000058102362
040 ▼a 224010 ▼c 224010 ▼d 211009
082 0 4 ▼a 327.51 ▼2 23
085 ▼a 327.51 ▼2 DDCK
090 ▼a 327.51 ▼b 2022z1
245 2 0 ▼a (中國共產黨의) 중국 특색 외교 이론과 실천 / ▼d 楊潔勉 외 지음 ; ▼e 李春虎 [외]옮김
246 1 9 ▼a 中国共产党和中国特色外交理论与实践
246 3 ▼a Zhongguo gong chan dang he Zhongguo te se wai jiao li lun yu shi jian
260 ▼a 서울 : ▼b 늘품플러스, ▼c 2022
300 ▼a 506 p. : ▼b 삽화 ; ▼c 23 cm
500 ▼a 공역자: 김영규, 김승범, 조은미
504 ▼a 참고문헌: p. 492-502
610 0 ▼a 中国共产党 ▼x Party work
610 4 ▼a Zhongguo gong chan dang ▼x Party work
651 0 ▼a China ▼x Foreign relations ▼y 20th century
700 1 ▼a 杨洁勉, ▼e
700 1 ▼a 이춘호, ▼g 李春虎, ▼e
700 1 ▼a 김영규, ▼g 金永奎, ▼e
700 1 ▼a 김승범, ▼g 金勝範, ▼e
700 1 ▼a 조은미, ▼g 趙銀美, ▼e
900 1 0 ▼a Yang, Jiemian,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51 2022z1 Accession No. 11187339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11년은 중국공산당 창건 90주년을 맞는 해이다. 지나간 90년 역사를 돌이켜보면, 이 시기는 중국공산당이 자체의 성장과 발전을 거듭해 온 역사임과 동시에 전체 중국 인민이 자신의 진정한 출로를 찾기 위해 꾸준히 탐색해 온 역사이다. 그리고 중국 외교가 국제 무대로의 도약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분투해 온 역사로 평가할 수 있다.

그 과정에 중국공산당은 세계적 흐름과 역사 발전 추세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토대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독자적인 가치관, 시대관, 체계관(體系觀), 국가관, 주권관, 국익관 및 발전 체계를 재정립했다. 이 뿐만 아니라 중국 현대 역사상 3단계 발전인 평화적 해방, 평화적 공존, 평화적 발전이 가능하도록 중국 외교를 이끌어 마침내 리더와 실천적 주체, 세계적 대세와 현실적 수요, 국내와 국제 등의 다각적인 균형을 실현했다. 이러한 중국공산당의 중국 외교에 대한 지도 과정과 주요 성과에 대해 소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중국 외교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지도 과정과 주요 성과

이론편
제1장 시대관과 중국 외교
제1절 전쟁과 혁명관 하의 중국 외교
제2절 평화발전관 하의 중국 외교
제3절 평화발전 이념의 새로운 내용

제2장 국제체계관과 중국 외교
제1절 신중국 창건 이전의 국제체계관과 대외 관계
제2절 신중국 건립부터 개혁개방까지의 국제체계관과 외교실천
제3절 개혁개방 이후의 국제체계관과 외교 실천

제3장 국익관과 중국 외교
제1절 코민테른 영향 하의 국익관(1921-1936)
제2절 자주독립적인 국익관의 형성(1936-1949)
제3절 이데올로기 영향 하의 국익관(1949-1979)
제4절 개혁개방 하의 국익관(1979-2011)

제4장 과학적 발전관과 중국 외교
제1절 도전 속에서 형성된 과학적 발전관
제2절 실천 속에서 보완된 과학적 발전관과 새로운 시기의 중국 외교
제3절 과학적 발전관의 이론적 정립과 중국 외교 혁신

실천편
제5장 중국 외교의 전통적 구도
제1절 강대국 외교와 전략적 동반자
제2절 주변외교와 선린우호
제3절 개도국 외교의 계승 발전
제4절 다자외교의 개척과 혁신

제6장 중국의 비전통 외교
제1절 비전통 외교의 발전 토대
제2절 자원외교
제3절 환경외교
제4절 대테러 외교
제5절 방역과 재난구호 분야의 외교
제6절 공공외교

제7장 중국 특색의 정당외교
제1절 정당외교의 내용과 발전
제2절 정당외교의 원칙과 상대
제3절 정당외교의 역할과 영향

결론: 시대와 더불어 발전하는 중국공산당과 중국 외교의 전망
후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McCormick, John (2023)
葛劍雄 (2022)
한국. 외교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22)
기광서 (2022)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22)
Jentleson, Bruce W.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