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7713 | |
005 | 20230102104432 | |
007 | ta | |
008 | 221230s2023 ulkad b 001c kor | |
020 | ▼a 9791165193164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586010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371.33463 ▼2 23 |
085 | ▼a 371.33463 ▼2 DDCK | |
090 | ▼a 371.33463 ▼b 2023 | |
245 | 0 0 | ▼a AI융합교육개론 / ▼d 정제영 지음 |
260 |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3 | |
300 | ▼a ix, 367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500 | ▼a 공저자: 김갑수, 박보람, 박휴용, 이선복, 전우천, 정영식, 조현국, 최숙영, 하민수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정제영, ▼e 저 |
700 | 1 | ▼a 김갑수, ▼e 저 |
700 | 1 | ▼a 박보람, ▼e 저 |
700 | 1 | ▼a 박휴용, ▼e 저 |
700 | 1 | ▼a 이선복, ▼e 저 |
700 | 1 | ▼a 전우천, ▼e 저 |
700 | 1 | ▼a 정영식, ▼e 저 |
700 | 1 | ▼a 조현국, ▼e 저 |
700 | 1 | ▼a 최숙영, ▼e 저 |
700 | 1 | ▼a 하민수,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33463 2023 | 등록번호 11187339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0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갑수(지은이)
현)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장, 인공지능융합교육원장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 전산과학 박사
조헌국(지은이)
조헌국 교수는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인공지능융합교육전공 주임교수로 일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를 졸업하여 동대학원에서 물리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수여 받았으며, 과학과 예술의 융복합을 주제로 국내 한국물리학회,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학센터, 국제과학영재학회와 영국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호주의 디킨대학교와 맥쿼리 대학교 등 국내외 유수 기관과 대학교로부터 초청을 받아 강연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창의재단 등의 지원을 받아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물리학의 미적 가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교육 분야 데이터를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적용해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현재 한국물리학회 평의원, 한국과학교육학회 이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술이사, 한국감성과학회 이사 등 여러 학술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다.
전우천(지은이)
현)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Oklahoma State University 전산학 공학박사
박휴용(지은이)
박휴용은 연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를 마치고, 미국의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박사학위(Curriculum & Instruction)를 받은 후, 전북대학교에서 교육과정이론, 인공지능융합교육, 다문화교육, 질적연구방법론을 가르치고 있다. 저자가 2000년대 초반 처음 인지과학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을 때에는, 인공지능의 가능성에 대한 학계의 의견이 분분했고, 포스트휴머니즘은 국내에 거의 소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2021년 현재 포스트휴머니즘은 4차산업혁명의 기술적 혁신이 미래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 개념이 되었다. 이에 따라 저자는 미래의 지식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교육적 실천의 변화를 강조하는 삼부작을 기획했고, 그 결과 1부 『융합지식과 융합교육과정』과 2부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의 미래』에 이은 본 저서 『4차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휴먼 학습론』으로 완성되었다. 본 저서는 포스트휴먼 사회에서 미래 학습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최숙영(지은이)
현) 우석대학교 정보보안학과 교수 우석대학교 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주임교수 한국 컴퓨터교육학회 부회장 Nova Southeastern University 교육학 박사
정제영(지은이)
이화여대 미래교육연구소 소장 서울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육부가 지정한 미래교육연구소장과 창의교육거점센터장을 맡고 있다. 이화여대에서 기획처장, AI융합교육연구지원센터장, 호크마교양대학장, THE인재평가지원실장, 기획처부처장, 교육학과장과 도덕윤리연계전공 주임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미래교육 정책의 기획과 집행, 평가 과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학교폭력 예방 정책, 학업중단 위기 학생에 대한 정책, 교원의 역량 개발과 학교교육의 개선 정책 등의 영역에 대해 연구를 진행해 왔다. 최근에는 빅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학생 맞춤형 교육시스템 개발 연구, 위기 학생을 조기에 발굴하고 개입하는 Early Warning System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는 《AI 교육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AI융합교육개론》,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정책론》, 《교육정치학 이론과 적용》, 《한국의 교사교육》, 《디지털 시대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의 시대》, 《교육과 행정》,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괴롭힘 예방》, 《교육행정학 핸드북》, 《사교육 : 현상과 대응》, 《한국교육 60년》 등이 있다. 제44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하여 교육부에서 10여 년간 근무하여 사무관과 서기관으로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두루 경험한 바 있다. 교육정책 기획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9월 학기제 도입 등 학제개편 정책, 외고 등 특목고를 포함한 고교체제 개편 정책’ 등을 담당하여 추진한 바 있다.
하민수(지은이)
현)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교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주임교수 The Ohio State University 철학 박사
박보람(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여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9년부터 강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청소년 집단 극단화의 심리적 요인 분석에 기초한 시민교육 방안 연구」에 주력하는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세계의 시민교육』, 『옴니버스 시민교육』, 『시민성 이론과 시민교육』,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등이 있고, 대표 논문으로는 『주체적 시민성을 학습하는 시민교육』, 『시민교육을 위한 성적 시민성 개년 연구』, 『초·중학교 디지털 시민성 교육과정 개발』, 『다문화 경험학습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발달』 등이 있다.
이선복(지은이)
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AI융합교육전공 주임교수 University of Georgia 교육심리(양적연구방법) 박사
정영식(지은이)
현)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 박사

목차
1부 인공지능과 교육의 변화 CHAPTER 1 AI 시대, 교육 환경의 변화정제영 CHAPTER 2 AI 시대, 미래교육의 방향전우천, 정제영 CHAPTER 3 지식의 융합과 AI 융합교육조헌국 CHAPTER 4 AI 교육의 개념과 영역최숙영 2부 인공지능 기술과 교육적 활용 CHAPTER 5 AI 기술김갑수 CHAPTER 6 파이썬 기반의 AI 활용 교육전우천 CHAPTER 7 교사를 위한 AI 융합교육최숙영 CHAPTER 8 학습자를 위한 AI 튜터링 시스템정제영, 이선복 3부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과제 CHAPTER 9 AI 교육과정박휴용 CHAPTER 10 AI와 교수학습 혁신정영식 CHAPTER 11 AI 평가와 학습 피드백하민수 CHAPTER 12 AI와 윤리적 과제박보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