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7381 | |
005 | 20221223163056 | |
007 | ta | |
008 | 221223s2022 ulk b 000a kor | |
020 | ▼a 9791160183481 ▼g 9334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70.44932 ▼2 23 |
085 | ▼a 070.44932 ▼2 DDCK | |
090 | ▼a 070.44932 ▼b 2022z1 | |
245 | 0 0 | ▼a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 / ▼d 정의철 [외]공저 |
260 | ▼a 서울 : ▼b 지금, ▼c 2022 | |
300 | ▼a 214 p. : ; ▼c 21 cm | |
500 | ▼a 공저자: 이창호, 이종명, 이효성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이 책은 2022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수수료 지원을 받아 출간되었음 | |
700 | 1 | ▼a 정의철, ▼d 1968-, ▼e 저 ▼0 AUTH(211009)43862 |
700 | 1 | ▼a 이창호, ▼g 李昌昊, ▼d 1969-, ▼e 저 ▼0 AUTH(211009)129153 |
700 | 1 | ▼a 이종명, ▼e 저 |
700 | 1 | ▼a 이효성, ▼g 李孝性, ▼d 1964-, ▼e 저 ▼0 AUTH(211009)47603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4932 2022z1 | 등록번호 1118731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론학자 4명이 머리를 맞대고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의 열풍 원인과 현황, 그리고 기존의 레거시 미디어를 능가하는 인기에 가려진 문제점들을 짚어 본다. 나아가 이러한 대안미디어의 새로운 저널리즘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제언한다.
이 책은 언론학자들을 중심으로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기획되었다. 이에 독자들은 접근과 이용의 편의성, 기성 언론에 대한 불신에 힘입어 주목 받고 있는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이면에 매몰되기 쉬운 극단적 정파성과 상업성의 위험을 양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과 한계를 직시하면서 온라인 정치 실천을 통한 사회변화 도모라는 본연의 정치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적 방안들을 모색해 본다.
변화하는 미디어 지형 속에서 다양한 정치적 담론과 참여가 이루어지는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
언론학자 4명이 머리를 맞대고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의 열풍 원인과 현황, 그리고 기존의 레거시 미디어를 능가하는 인기에 가려진 문제점들을 짚어 본다. 나아가 이러한 대안미디어의 새로운 저널리즘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제언한다.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의 명과 암
2011년 <나는 꼼수다> 이래 이제는 주류 미디어를 위협할 정도로 그 인기와 영향력이 커져 버린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
팟캐스트와 유튜브는 다양한 일상의 이슈와 정체성이 표현되는 온라인 생활정치의 장(場)이자 대표적인 공유 서비스로서, 미디어의 대중화라는 순기능과 함께, 가짜뉴스, 편향성에 따른 극화현상의 역기능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언론학자들을 중심으로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기획되었다. 이에 독자들은 접근과 이용의 편의성, 기성 언론에 대한 불신에 힘입어 주목 받고 있는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이면에 매몰되기 쉬운 극단적 정파성과 상업성의 위험을 양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과 한계를 직시하면서 온라인 정치 실천을 통한 사회변화 도모라는 본연의 정치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적 방안들을 모색해 본다.
“이제는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인정하고, 이용자들이 콘텐츠를 능동적, 비판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저널리즘(뉴스)과 엔터테인먼트’, ‘정치와 오락’의 융합이 유튜브/팟캐스트를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이에 저자들은 정치유튜브/팟캐스트가 새로운 시민참여 저널리즘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안언론으로서의 관점과 역할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언제, 어디서든지 접속할 수 있는 팟캐스트와 유튜브는 이용자 친화적인 특성을 토대로 순식간에 수많은 이용자들을 끌어모았다. 특히 정치 장르의 인기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독특한 진행방식과 심층적 뉴스 해설, 그리고 제도권 언론에 대한 불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그리고 이제,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는 충성도 높은 독자층의 지지를 기반으로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영향력과 인기를 동시에 얻고 있다.
이 책에서는 십여 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순식간에 대중 속으로 파고들어 이제는 모두의 일상 언론이 되어 버린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의 본질을 탐구한다. 아울러 이들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질수록, 언론으로서의 자성과 함께 자유분방함과 개방성이라는 미디어 고유의 장점과 저널리즘적 가치의 균형 있는 접목을 촉구하고 있다.
1장 정치팟캐스트의 매력과 대안 - ‘아래로부터’ 목소리와 정치팟캐스트의 대안적 역할 성찰하기(정의철 저)는 광주의 고려인 공동체와 부산의 이주여성 공동체가 팟캐스트를 통해 그들의 이슈와 문화를 표현하고, 소통과 생활정치의 주체로 나선 사례들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2장 정치유튜브의 매력과 문제점, 대안 - 자기민속지학과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정의철 저)는 저자의 경험과 전문가 인터뷰를 토대로 정치유튜브의 매력과 문제점,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유튜브 정치채널이 주민밀착형 정치 주제들을 발굴하고, 주민 입장에서 파헤쳐 주민 삶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 수 있는 구체적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생활정치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3장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 이용자 특성(이창호 저)에서는 정치팟캐스트나 정치유튜브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논의한다. 또한 청취자나 시청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왜 이들이 정치팟캐스트나 정치유튜브에 몰입하는지를 살핀다.
4장 <뉴스공장>과 <신의한수> 비교(이창호 저)에서는 대표적인 진보정치 팟캐스트와 보수정치 유튜브로 알려진 두 채널을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5장 유튜브와 전통 미디어의 저널리즘적 충돌(이종명 저)은 정치유튜브를 비롯한 시사·정치 콘텐츠 생산을 바라보는 학계와 기자 집단의 시각을 각각 살핀다.
6장 정치유튜버의 정파적 담론 실천과 수용자 화답(이종명 저)에서는 유튜브를 위시한 뉴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시사·정치 콘텐츠 생산자로 활동하는 유튜버들의 담론 실천과,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생산자들의 목소리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유튜버의 ‘저널리즘’적 실천과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7장 정치팟캐스트의 이용동기와 정치참여(이효성 저)은 정치팟캐스트 이용의 실제와 이용자들의 구체적인 이용동기, 그리고 이에 따른 정치참여 차원의 영향 및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아울러 정치팟캐스트의 문제점과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8장 정치유튜브의 이용동기와 정치참여(이효성 저)에서는 정치유튜브의 이용동기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다룬다. 유튜브의 정치동영상은 오락적 요소와 정치·시사 콘텐츠의 혼합으로 이용자들의 동일시와 몰입을 높이면서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강조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의철(지은이)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다. 미국 럿거스대학에서 소통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2022, 공저), <팬데믹 시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사회적 소통과 공공PR>(2021, 공저), <유튜브의 이해>(2021, 공저), <다문화사회와 이주민 건강: 헬스커뮤니케이션 차원의 분석과 대안 모색>(2020, 교육부·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논문으로 <지역방송 저널리즘 강화와 해결지향 저널리즘의 역할>(2022), <자기민속지학을 통한 자가격리 이야기 방역소통 성찰과 대안 탐색>(2022), <감염병 위기 속 ‘시민됨’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성찰>(2021), <불통과 갈등의 시대, 소통(학)의 변화 모색>(2021) 등이 있다.
이창호(지은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다. 텍사스주립대학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청소년 미디어 이용과 참여,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교육이다. <청소년, 참여의 새 시대를 열다>(2022, 공저), <인공지능, 디지털 플랫폼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2021, 공저), <유튜브의 이해와 활용>(2021, 공저), <청소년을 위한 매체 이야기>(2020, 공저), <팟캐스트 저널리즘>(2020, 공저) 등을 저술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정치팟캐스트 이용의 예측요인 탐구: 미디어 이용, 팟캐스트 이용동기, 정치적 성향, 정보신뢰성을 중심으로」(2021, 공저), 「고3 유권자의 정치참여실태 및 요인: 21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2021) 등이 있다.
이효성(지은이)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미국 남일리노이대학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저널리즘과 정치커뮤니케이션, 미디어효과, 연구방법론 등이다. 최근 주요 발표논문으로는 「유튜브의 정보추구동기 및 이용이 투표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 21대총선에서 코로나사태에 대한 대통령 책임변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020), 「소셜미디어에서의 정치적 상호작용 참여와 정당지지 의도에 미치는 유튜브의 뉴스·시사 및 오락 콘텐츠 이용의 영향: 21대 총선을 중심으로」(2021)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미디어 소통과 민주주의>(2015, 공저), 역서로는 <아랍위성텔레비전>(2012) 등이 있다.
이종명(지은이)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전임연구원이다. 고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가짜뉴스 생산 등에 활용되는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과 그에 영합하는 정치적 국면 분석, 그리고 기자 인식 등 다양한 논의에 천착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광장 정치와 집회 유튜버의 활동」(2021), 「소위 ‘유튜브 저널리즘’에 대한 기자 집단의 인식 연구」(2022), 「시사정치 유튜브 채널의 제주 4.3에 대한 담론 실천」(2022)을, 저서로 <유튜브의 이해와 활용>(2021, 공저), <저널리즘의 지형: 한국의 기자와 뉴스>(2016, 공저)가 있다.

목차
1장 정치팟캐스트의 매력과 대안 ▶ 정의철 ‘아래로부터’ 목소리와 정치팟캐스트의 대안적 역할 성찰하기 1. 서론: 주류언론의 문제와 ‘대안미디어(alternative media)’의 부상 2. 소수자 재현 문제와 대안미디어의 필요성 3. 팟캐스트 특성과 소수자와 주민의 미디어참여 4. 사례분석: 팟캐스트와 ‘아래로부터’ 목소리 내기 5. 결론과 대안: ‘아래로부터’ 목소리와 팟캐스트의 ‘정치적’ 역할 2장 정치유튜브의 매력과 문제점, 대안 ▶ 정의철 자기민속지학과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 1. 서 론 2. ‘유튜브 정치화’의 매력과 특성 3. 유튜브 정치화의 명과 암 4. ‘정치화’-‘엔터테인먼트화’ 융합과 영향: 전문가 의견 중심으로 5. 대안과 결론 3장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 이용자 특성 ▶ 이창호 1. 인구학적 특성 2. 저널리즘 기능에 대한 인식 3. 청소년 이용 현황 4. 청취 사례와 제언 4장 〈뉴스공장〉과 〈신의한수〉 비교 ▶ 이창호 1. 〈뉴스공장〉과 〈신의한수〉 소개 2. 〈뉴스공장〉과 〈신의한수〉 이용자 비교 3. 〈뉴스공장〉과 〈신의한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뉴스공장〉과 〈신의한수〉의 문제점 5.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의 발전 방향 5장 유튜브와 전통 미디어의 저널리즘적 충돌 ▶ 이종명 1. 유튜브 속 ‘저널리즘적 실천’, 그 현실 2. 학계의 ‘유튜브 저널리즘’ 명명하기 3. ‘저널리즘’적 실천과 유튜브 속 정파적 맥락의 괴리 4. 유튜브의 부상 속 ‘저널리즘’적 실천에 대한 현업 기자들의 인식과 수용 5. 유튜브 속 ‘저널리즘’ 원칙 실현의 (불)가능성 6. 유튜브의 ‘저널리즘’적 실천 개념 재정립에서 길을 찾다 6장 정치유튜버의 정파적 담론 실천과 수용자 화답 ▶ 이종명 1. 유튜브 속 시사 정치 콘텐츠의 등장과 확산 2. 유튜버들의 전통적 저널리즘 미디어에 대한 표상적 부정 3. 유튜버들의 전통적 저널리즘 미디어에 대한 암묵적 동조 4. 유튜브 수용자의 기자 집단 비난과 유튜버 응원 5. 정파성이 드리운 미디어 지형과 유튜브 접합 6.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오래된 정파성의 그림자 7장 정치팟캐스트의 이용동기와 정치참여 ▶ 이효성 1. 정치팟캐스트의 시작 2. 정치팟캐스트의 특성 3. 정치팟캐스트의 이용동기 4. 정치팟캐스트 이용과 정치참여 5. 정치팟캐스트의 문제점과 새로운 가능성 8장 정치유튜브의 이용동기와 정치참여 ▶ 이효성 1. 유튜브의 확산 2. 유튜브 콘텐츠의 이용동기 3. 소셜미디어와 정치참여 4. 정치·시사 유튜브와 정치참여 5. 오락 유튜브와 정치참여 6. 유튜브와 정치참여의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