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7145 | |
005 | 20221222110557 | |
007 | ta | |
008 | 221221s2022 ulkac b AK 000c kor | |
020 | ▼a 9788952131423 ▼g 03990 | |
035 | ▼a (KERIS)REQ000058038118 | |
040 | ▼a 211015 ▼c 211015 ▼d 211009 | |
082 | 0 4 | ▼a 378.0092 ▼2 23 |
085 | ▼a 378.0092 ▼2 DDCK | |
090 | ▼a 378.0092 ▼b 2022z2 | |
245 | 0 0 | ▼a 백 년 전의 꿈 : ▼b 다시 읽는 장리욱 / ▼d 유영미, ▼e 김미혜 엮음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c 2022 | |
300 | ▼a 535 p. : ▼b 삽화, 초상화 ; ▼c 23 cm | |
500 | ▼a "장리욱 연보" 수록 | |
600 | 1 4 | ▼a 장리욱, ▼g 張利郁, ▼d 1896-1983 |
700 | 1 | ▼a 유영미, ▼e 편 ▼0 AUTH(211009)102353 |
700 | 1 | ▼a 김미혜, ▼e 편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8.0092 2022z2 | Accession No. 11187287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8.0092 2022z2 | Accession No. 151363233 | Availability Proce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8.0092 2022z2 | Accession No. 11187287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8.0092 2022z2 | Accession No. 151363233 | Availability Proce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울대학교 3대 총장을 역임한 故 장리욱 박사의 회고록, 발표문, 그에 관한 연구논문 등을 엮은 것으로, 식민지 시기 십여 년의 미국 유학과 신성학교 교장 생활, 동우회 사건으로 인한 옥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장과 총장, 흥사단 이사장, 주미대사로서의 삶을 따라가면서 우리의 근현대사와 함께 초기 서울대학교의 역사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오늘을 비추는 백 년 전의 “생활 활동” 기록
이 책은 서울대학교 3대 총장을 역임한 故 장리욱 박사의 회고록, 발표문, 그에 관한 연구논문 등을 엮은 것으로, 식민지 시기 십여 년의 미국 유학과 신성학교 교장 생활, 동우회 사건으로 인한 옥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장과 총장, 흥사단 이사장, 주미대사로서의 삶을 따라가면서 우리의 근현대사와 함께 초기 서울대학교의 역사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도산 안창호를 따르는 양심적인 민족지도자, 서구식 교육을 받은 지식인으로서 장리욱 박사는 식민 지배 세력이나 독재자에 영합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전쟁 이후 북한 출신 지식인들이 흔히 그러했던 것과 달리 맹목적인 반공주의에 빠지지 않았는데, 그렇기 때문에 이승만 정권과 거리를 두었고, 훗날 4월혁명으로 탄생한 민주당 정부의 주미한국대사로 복무했으며, 5·16 군사쿠데타를 처음부터 반대하며 내내 박정희 군사정권을 비판하는 입장에 섰다. 경제발전 지상주의가 아닌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의 균형을 생각하는 전통에 기여한 그의 생애와 사상을 돌아보는 것은 우리 미래를 위한 자양분이 되기에 충분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장리욱(지은이)
1895년 평안남도 강서에서 출생했다. 1916년 조국을 떠나 십여 년의 미국 유학 후 1928년부터 1937년까지 평안북도 선천 신성중학교 교장을 맡았고 1937년 동우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해방 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장, 서울대 총장, 흥사단 이사장, 주미대사 및 월간 『새벽』 대표, 월간 『샘터』 고문을 역임했다. 대표 저서로 단행본 『현실과 이상』, 『끝없는 탐구』, 『도산의 인격과 생애』, 『무엇인가 들려오고 있다』가 있고, 그 외 『사상계』, 『새교육』, 『흥사단보』 등의 잡지.학술지에 다수의 글을 기고했다.
유영미(엮은이)
지난 30년간 미국의 대학에서 한국어교육과 연구를 수행해 왔다. 1985년 스탠포드 대학의 동아시아 학과에 한국어 프로그램을 창설하여 운영한 경력이 있으며, 1990년 스탠포드 대학에서 언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1996년부터 현재까지는 뉴저지 주립대학인 럿거스 대학의 한국어 프로그램 책임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북미한국어교사협의회(AATK) 회장을 역임했고 한국어교육표준 개발팀의 팀장으로 표준 문서를 출간했으며 현재 19개 대학의 대표들로 구성된 커리큘럼 개발 프로젝트의 팀장으로 일하고 있다.
김미혜(엮은이)
故 장리욱의 외손녀이며, 미국 뉴저지 프린스턴 소재 웨스트민스터 콰이어 컬리지 음악도서관 사서 및 관장을 지냈다.

Table of Contents
발간에 부쳐 머리말 제1부 장리욱, 『나의 회고록』 서문 제1편 먼 곳을 꿈꾸는 동안 개화기의 모던 스쿨|숭실 시절|일본 유학|아슬아슬했던 탈출|태평양을 건너다 제2편 미주 생활 뜨거운 고학|듀북대학의 한국 학생들|학창 생활|도산을 따라서|잊지 못할 두 사람|일생의 이정표 제3편 신성학교 시절 귀국|신성학교|학원 탄압|이유 있는 학생 동요|경찰 유치장에서 사표를 쓰다 제4편 8·15와 38선 일제의 패망|평양에서 서울로|교육사절단|국립서울대학안 분규 제5편 6·25와 4·19 일본으로 가다|일본에서의 생활|4·19 전후 제6편 5·16 전후 주미대사 시절|5·16|조국으로의 긴 여정 나의 회고록에 부쳐 제2부 저작으로 본 장리욱의 삶과 철학 제1편 새로운 교육을 위하여 1. 교육적 견지에서 관찰하는 유미 학생의 심리상 경험 2. 잊을 수 없는 스승, 새교육 선구자 전익호 선생 3. 존 듀이 선생과 컬럼비아대학 4. 대학의 혼을 곡한다 5. 소위 ‘국대안 사건’의 전말 제2편 시대의 풍파에 맞서 1. 5·16, 워싱턴에서의 기자회견 2. 박정희 대통령에게 부치는 공개장 3. 안도산 비록: 내가 지내 본 도산 이야기 4. 광복절 기념사 제3편 삶에 찾아온 인연들 1. 듀북대학에 보내는 편지 2. 그래함 씨에 대한 추억 3. 딸과 사위에게 보낸 편지 제3부 학문적으로 본 장리욱의 생애 1. 장리욱의 생애와 교육사상 2. 장리욱의 생애와 사상(논평) 3. 해방 후 장리욱의 교육 활동 4. 장리욱이 본 도산 안창호 장리욱 연보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