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디자인 이론

교육디자인 이론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진동섭, 陳東燮, 1952-
서명 / 저자사항
교육디자인 이론 = Theory of education design / 진동섭 저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22  
형태사항
718 p. : 삽화(일부천연색) ; 24 cm
ISBN
9788925417431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7142
005 20221222105359
007 ta
008 221221s2022 ggka b 001a kor
020 ▼a 9788925417431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0.1 ▼2 23
085 ▼a 370.1 ▼2 DDCK
090 ▼a 370.1 ▼b 2022z13
100 1 ▼a 진동섭, ▼g 陳東燮, ▼d 1952- ▼0 AUTH(211009)22185
245 1 0 ▼a 교육디자인 이론 = ▼x Theory of education design / ▼d 진동섭 저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2
300 ▼a 718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4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 2022z13 등록번호 1118728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디자인 이론 탄생의 배경과 기대
교육디자인은 기존의 교육이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 행정과 경영의 계획성과 효과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상대적으로 인간의 감성과 예술성, 행정과 경영의 비계획성과 우연성 등은 소홀하게 다루었다는 인식에서 나온 이론이다. 교육디자인은 이들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교육 서비스 질 향상에 상승효과를 올릴 수 있다고 본다. 교육의 쓰임새와 쓸모와 함께 아름다움의 가치를 강조하는 디자인은 교육의 품위와 격조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진동섭(지은이)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학력 미국 University of Chicago 사회과학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 Ph. D.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 전공 석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학사 경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석좌교수 한국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청와대 교육(과학)문화비서관실 수석비서관 한국학교컨설팅연구회 회장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서울 오류여자중학교 교사 저서 및 역서 학교컨설팅: 교육개혁의 새로운 접근방법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의 이해 미국과 한국의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편역서) 교직과 교사의 전문적 자본: 학교를 바꾸는 힘 (역서) 학교혁신의 새로운 힘: 교사 임파워먼트와 스쿨 리더십 (역서)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역서) 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 서문 5

제1장 | 교육디자인 이론 탐색의 필요성 / 25
1. 교육디자인에 대한 관심의 배경 _ 25
2. 교육디자인 이론의 필요성 _ 31


제1부 교육디자인의 이론적 기반
제2장 | 교육과 예술의 관계 / 51
1. 예술의 관점과 특성 _ 52
2. 교육과 예술의 관계 _ 61
3. 예술의 교육적 효과 _ 94

제3장 | 디자인과 디자인 사고방식(design thinking) / 121
1. 디자인과 서비스 디자인 _ 122
2. 디자인 사고방식의 모델과 특성 _ 130

제4장 | 학교컨설팅의 개념과 모형 / 169
1. 학교컨설팅의 개념 _ 170
2. 학교컨설팅의 모형 _ 176
3. 학교컨설팅의 원리 _ 183
4. 학교컨설팅의 절차 _ 193
5. 학교컨설팅의 유형 _ 205

제5장 | 학교컨설팅의 배경, 의미, 과제 / 219
1. 학교컨설팅의 관점과 이론 구안 배경 _ 219
2. 학교컨설팅의 의미 _ 239
3. 학교컨설팅의 과제와 발전 방향 - 후속 이론 “교육디자인”의 창안 _ 258


제2부 교육디자인 개념과 이론
제6장 | 교육디자인 이론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와 활동 / 271
1. 교육디자인 이론 구성 작업의 전체적 흐름 _ 273
2. 교육디자인 이론 개발의 필요성 제안 _ 274
3. 교육디자인 이론 정립을 위한 활동과 기초 연구 _ 277
4. 교육디자인 이론 개발 과정의 결과 _ 305
5. 교육디자인 이론 형성 과정의 특성 _ 309

제7장 | 교육디자인의 개념, 원리와 사고방식 / 317
1. 교육디자인 관점과 이론의 필요성 _ 318
2. 교육디자인의 개념, 활동과 영역 _ 323
3. 교육디자인 원리와 사고방식 _ 338

제8장 | 교육디자인의 학교관과 교육관 / 377
1. 학교관의 유형과 성격 _ 378
2. 교육디자인의 교육관, 학교관, 교실관 _ 391


제3부 교육디자인의 주요 영역
제9장 | 수업디자인 / 419
1. 수업디자인의 개념 _ 420
2. 수업디자인의 원리, 과정과 절차 _ 425
3. 수업디자인의 새싹 - 「스마트폰 영화 제작 활용 교수법」 _ 451

제10장 | 학교경영디자인 / 485
1. 학교경영디자인의 개념 _ 486
2. 학교경영디자인의 원리와 과정 _ 490
3. 학교경영디자인의 새싹 -제주도 애월초등학교 더럭분교 _ 518

제11장 | 학교공간디자인(I): 학교공간디자인의 개념, 원리, 절차 / 537
1. 학교공간디자인의 개념 _ 538
2. 교육환경, 학교 공간과 교육/학교 경영의 관계 _ 546
3. 학교공간디자인의 원리 _ 574
4. 학교공간디자인의 과정과 절차 _ 585

제12장 | 학교공간디자인(II): 학교 공간의 변화와 디자인의 과제 / 601
1. 우리나라 학교 건축의 변화 _ 602
2. 학교 공간 개선을 위한 국내의 노력 _ 607
3. 학교 공간 개선을 위한 외국의 노력 _ 624
4. 국내외 학교 공간 개선 사업의 시사점 _ 641
5. 학교공간디자인의 과제와 발전 방향 _ 649


제13장 | 교육디자인의 성격과 과제 / 679
1. 교육디자인 이론의 성격 _ 680
2. 교육디자인 이론의 과제 _ 695

■ 찾아보기 70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