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7086 | |
005 | 20221220170548 | |
007 | ta | |
008 | 221220s2021 ulkac b 001a kor | |
020 | ▼a 9788928516643 ▼g 946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670.9111 ▼2 23 |
085 | ▼a 780.953 ▼2 DDCK | |
090 | ▼a 780.953 ▼b 2021 | |
100 | 1 | ▼a 노동은 |
245 | 1 0 | ▼a 북한음악론 = ▼x North Korean music theory : ▼b 통일음악의 모색과 실천 / ▼d 노동은 지음; ▼e 정찬현, ▼e 천현식 엮음 |
260 | ▼a 서울 : ▼b 민속원, ▼c 2021 | |
300 | ▼a 391 p. : ▼b 삽화, 초상화(또는 인물사진) ; ▼c 24 cm | |
490 | 1 0 |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a Minsokwon archebooks ; ▼v 207 |
490 | 1 0 | ▼a 민속원 ; ▼v 1952 |
500 | ▼a 참고문헌(p.382-386)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정찬현, ▼e 엮음 |
700 | 1 | ▼a 천현식, ▼e 엮음 |
830 | 0 |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a Minsokwon archebooks ; ▼v 207 |
830 | 0 | ▼a 민속원 ; ▼v 1952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53 2021 | Accession No. 1513627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노동은(지은이)
1946년 전북 익산에서 태어나 한양대 음대, 연세대 대학원을 마쳤고, 목원대 관현악과 교수와 음대 학장을 거쳐 1999년부터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퇴임하였다. 한국음악학회 회장,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음악연구소 소장, 정율성국제음악제 조직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2016년 12월 2일 지병으로 타계하였다. 한국 근현대 음악 관련 30여 권의 단행본과 400여 편의 논문을 남겼으며 항일음악과 친일음악 분야에서 독보적인 연구 업적을 쌓았다. 2004년 ‘한국의 미래를 열어갈 100인’으로 선정되었으며, 단재학술상(1996)·녹조근정훈장(2011)·KBS국악대상 특별공로상(2012)·박헌봉 국악상(2015)을 수상했다. 주요 저작으로 <한국영아음악연구>, <한국민족음악현단계>, <김순남 그 삶과 예술>, <한국근대음악사1>, <노동은의 음악상자>, <한국근대음악사론>, <지영희평전>, <항일음악 330곡집>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발간사: 통일음악론의 모색과 실천
머리말 한반도 음악과제: 반쪽의 민족음악 찾기?
제1장 음악으로 북한문화 읽기
1. 민족음악의 개념·정의·범위
2. 민족음악의 역사적, 미학적 준거
제2장 북한음악의 회고와 전망
1. 사회문화적 시스템으로 접근한 북한의 음악개념
2. 북한 민족음악의 성과와 과제
3. 북한음악이 걸어온 역사
4. 북한음악의 전망
제3장 북한의 전통음악론
1. 북한의 전통음악 개념과 해석
2. 전통음악의 요소들
3. 전통악기개량과 관현악, 가극의 실제
4. 전통음악의 교육기관과 단체
제4장 북한의 민족관현악
1. 북한 민족기악중주단 공연의 반응
2. 민족악기 개량의 원칙들과 대상
3. 민족관현악의 갈래와 편성의 소통혁신
4. 민족관현악과 무대공간의 소통성
5. 북한 민족관현악의 의의와 전망
제5장 북한 예술단체, 공연장, 음악가
1. 북한음악단체의 현황
2. 중앙 예술단체
3. 전국 공연장 현황과 지역 예술단체
4. 북한의 지휘자와 배합관현악 작곡가
제6장 북한의 음악교육
1. 교육헌장과 강령
2. 학제와 운영
3. 교원 양성
4. 음악과 목표
5. 음악교과 내용과 활동
6. 평양음악무용대학(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전신) 교과과정
7. 지역의 예술대학
제7장 남북 음악의 소통
1. 남북한 음악상황 비교와 대책
2. 통일음악의 인식전환
3. 남북한 교류 방침
부록: 방북기
1. 갈라진 북쪽 음악을 찾아서:1990년 범민족통일음악회
2. 윤이상통일음악회를 다녀와서:해방 후 처음으로 성사된 남북 합동공연(1998)
해제: 노동은의 북한음악연구
1. 연구의 시작
2. 시간으로 본 연구
3. 특징과 성과, 과제
4. 갈래로 본 연구목록
5. 연도별 글목록
참고자료
찾아보기
Information Provided B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