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6675 | |
005 | 20221216092000 | |
007 | ta | |
008 | 221215s2022 ggkad b 001a kor | |
020 | ▼a 9788946074064 ▼g 9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2.23 ▼2 23 |
085 | ▼a 302.23 ▼2 DDCK | |
090 | ▼a 302.23 ▼b 2022z10 | |
245 | 0 0 | ▼a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 : ▼b 이론과 실천 / ▼d 이숙정 [외]지음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 ▼b 한울엠플러스, ▼c 2022 | |
300 | ▼a 220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공저자: 김창숙, 이창호, 김지연, 이장주, 봉미선, 김봉섭, 고영삼, 이경화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2022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수수료를 지원받아 출간되었음 | |
700 | 1 | ▼a 이숙정, ▼g 李叔庭, ▼d 1972-, ▼e 저 ▼0 AUTH(211009)77087 |
700 | 1 | ▼a 김창숙, ▼d 1978-, ▼e 저 ▼0 AUTH(211009)144662 |
700 | 1 | ▼a 이창호, ▼g 李昌昊, ▼d 1969-, ▼e 저 ▼0 AUTH(211009)129153 |
700 | 1 | ▼a 김지연, ▼e 저 |
700 | 1 | ▼a 이장주, ▼e 저 |
700 | 1 | ▼a 봉미선, ▼e 저 |
700 | 1 | ▼a 김봉섭, ▼e 저 |
700 | 1 | ▼a 고영삼, ▼g 高永三, ▼d 1962-, ▼e 저 ▼0 AUTH(211009)16741 |
700 | 1 | ▼a 이경화,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 2022z10 | 등록번호 1118727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와 증진을 위해 기획된 이 책은 사회학, 교육학, 커뮤니케이션학 등 관련 분야 전문가 9명이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이고, 디지털 원주민인 자녀 세대는 어떤 특징이 있으며, 자녀의 미디어 이용을 중재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고 어떻게 자녀와 소통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게임이나 유튜브,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를 어떻게 교육적으로 지도하고 관리해야 하는지 등, 부모들이 궁금해할 만한 지침도 담고 있다. 책에 담긴 전문가들의 제안과 조언은 자녀의 과다한 미디어 이용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자녀가 당당한 디지털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아이의 미디어 이용을 어떻게 중재해야 할까?”
전문가들이 전하는 자녀를 위한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
‘디지털 기반의 원격교육 활성화 기본법’이 통과돼 학교에서 디지털 미디어 문해 교육을 실시하도록 입법화되었다.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이해 및 비판 능력을 높이고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사회참여와 민주적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법안의 주요 내용이다. 한편, 각 가정에서는 과다한 미디어 이용을 둘러싼 부모와 자녀의 갈등이 일상이 되어버렸다.
교육과 여가생활 모두에서 자녀의 미디어 이용이 많아진 가운데, 이를 지도해야 하는 부모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학생 당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는 많지만,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하는 부모의 미디어 교육은 여전히 부족하고 정보 또한 빈약한 실정이다.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와 증진을 위해 기획된 이 책은 사회학, 교육학, 커뮤니케이션학 등 관련 분야 전문가 9명이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이고, 디지털 원주민인 자녀 세대는 어떤 특징이 있으며, 자녀의 미디어 이용을 중재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고 어떻게 자녀와 소통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게임이나 유튜브,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를 어떻게 교육적으로 지도하고 관리해야 하는지 등, 부모들이 궁금해할 만한 지침도 담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본 이해부터
미디어 중재의 실천까지 담은 책
디지털 기기,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부모와 자녀 간 깊은 갈등의 골을 만들어놓았다. 자녀 세대는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디지털 기술을 접하고 자유자재로 이용하는 디지털 원주민인 반면, 부모 세대는 아날로그 시대에 성장해 디지털에 적응해 가는 디지털 이주민이다. 이 두 세대는 미디어 이용을 바라보는 시각뿐 아니라 생활 속에 차지하는 미디어의 중요도 또한 다르고, 기기를 다루는 능력에서도 세대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교육열이 높은 우리나라 부모는 특히 자녀의 미디어 이용이 공부할 시간을 빼앗고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는 부정적인 시선 또한 갖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디지털 생활에 익숙한 자녀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모르는 부모들이 많다.
이 책은 디지털 미디어에 푹 빠진 자녀들을 부모들이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구체적 방법을 제시해 준다. 1장 「부모 중재의 다섯 가지 영역」은 부모 중재의 필요성과 부모 중재가 일어나는 다섯 가지 영역인 보호, 호혜, 통제, 학습, 참여 영역을 상세히 다룬다. 2장 「스스로 조절하는 아이들: 영상 미디어 이용 조절 행동을 높이는 미디어 환경 만들기」는 만 4~6세 자녀를 둔 부모 10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어떤 환경이 아이 스스로 미디어 이용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3장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대처」는 부모가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관해 무엇을 걱정하고 우려스러워하는지 통계자료를 통해 보여주면서, 자녀의 미디어 과다 이용에 대처하는 부모의 자세와 태도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4장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국내외 사례와 과제」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를 국외(미국, 영국, 핀란드, 호주 등)와 국내(교육부, 한국언론진흥재단, 시청자미디어재단 등)로 나눠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5장 「게임하는 아이와 화내지 않고 소통하는 방법」은 게임을 즐기는 아이와 어떻게 원만하게 소통하고 게임하는 아이의 행동을 바꾸기 위해서 부모가 무엇을 해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6장 「미디어로 우리 아이 당당한 디지털 시민으로 키우기」는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허위 조작 정보인지 판별할 줄 아는 아이, 미디어를 통해 올바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줄 아는 아이, 미디어라는 창을 통해 세상을 바로 볼 줄 아는 아이로 키우기 위해 부모가 무엇을 해야 할지를 다룬다. 7장 「건강한 디지털 활용을 위한 디지털 페어런팅」은 디지털 시대의 부모 전략으로 통제와 더불어 디지털 이용 규칙 마련, 효율적인 의사소통, 부모의 디지털 역량 강화 그리고 목적 지향적인 디지털 기기 이용 습관 함양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8장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 구하는 스마트폰 역발상 전략」은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마라’, ‘시간을 지켜라’, ‘게임하지 마라’고 하는 등의 행동 규제 위주의 교육은 소용없다고 말한다. 오히려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그 자체를 인정하고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에너지를 활용하여 자녀의 관심과 흥미를 알아내고, 이를 통해 자녀를 성장시키는 힌트를 찾아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9장 「미디어 예방교육을 통해 본 자녀 지도 연구: H·A·P·P·Y 대화법의 출발」은 미디어 역기능 해소 문제와 관련하여 전개한 학부모 미디어 예방활동 현장 경험을 통해 자녀 지도의 현실을 파악하고, 자녀 지도의 한계와 미디어가 침투한 일상생활에서의 갈등 탐색과 해소를 위한 대화 기법을 찾아보는 데 초점을 둔다.
책에 담긴 전문가들의 제안과 조언은 자녀의 과다한 미디어 이용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자녀가 당당한 디지털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창호(지은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다. 텍사스주립대학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청소년 미디어 이용과 참여,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교육이다. <청소년, 참여의 새 시대를 열다>(2022, 공저), <인공지능, 디지털 플랫폼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2021, 공저), <유튜브의 이해와 활용>(2021, 공저), <청소년을 위한 매체 이야기>(2020, 공저), <팟캐스트 저널리즘>(2020, 공저) 등을 저술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정치팟캐스트 이용의 예측요인 탐구: 미디어 이용, 팟캐스트 이용동기, 정치적 성향, 정보신뢰성을 중심으로」(2021, 공저), 「고3 유권자의 정치참여실태 및 요인: 21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2021) 등이 있다.
김지연(지은이)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강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박사 (주)도서출판 지금 대표이사
고영삼(지은이)
사회심리학 박사 미디어 분야 인기 강사 인터넷중독의 현장에서 뛰는 상담사 교육자 국내외 언론과 가장 많은 인터뷰를 한 인터넷중독 전문가 저자는 현재 인터넷중독 해소를 위한 국가 전담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대응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인터넷에 중독된 아이 때문에 절망에 빠진 많은 가족들과 소통하고 있는 저자는 이제까지 국내외의 많은 중독 전문가, 정책 입안자, 교수, 교사, 학부모, 시민운동가, 프로 게이머, 언론인들을 만나왔다. 그리고 매년 국가 인터넷중독 실태 추이를 분석하여 정책을 개발하고, 범부처 인터넷중독 해소 종합계획 등 무수한 보고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국회 공청회에 발표도 해왔다. 또한 해외 심포지엄에 한국 대표로도 참여하여 국가정책을 홍보하는 등 역동적으로 활동해왔다. 인터넷중독 문제는 정신의학에서부터 심리학, 교육학, 미디어학, 사회복지학, 그리고 사회학 등 많은 영역에 걸쳐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합하여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저자는 사회심리학 및 정보사회학 분야의 박사학위를 받은 후 10여권의 저술활동과 강연, 전국의 대응센터 운영 총괄 등의 경험을 통해, 미디어 중독의 현상과 정책에 대해 통섭할 수 있는 고급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이달의 읽을 만한 책’에 선정된 《인터넷에 빼앗긴 아이: 해답은 가정에 있다》,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된 《전자감시사회와 프라이버시》와 《소셜미디어의 이해》(이하 공저) 그 밖에 《정보사회의 이해》 등 10여 권이 있다.
이경화(지은이)
(사)학부모정보감시단 이사장
김봉섭(지은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구위원이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통신언어의 언어적 실재감 연구”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한국정보문화센터(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 입사한 이후 줄곧 정보문화, 정보윤리, 인터넷 중독, 정보격차 등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정책 개발과 사업을 담당했다.저서로는 ??사이버불링의 이해와 대책??(2013, 공저), ??디지털 디바이드??(2016), ??청소년을 위한 매체 이야기??(2020, 공저),『인공지능시대, 미디어리터러시의 이해(2021, 공저)』 등이 있다. 논문은 “성인의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2021), “고령층 디지털 사회 자본에 대한 디지털 조력자 영향 연구”(2020),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페이스북 이용자의 정서적 효과 연구”(2015) 등 다수가 있다.한국정보통신윤리학회가 주최한 2013 인터넷윤리 논문공모전에서 두 편의 논문으로 각각 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2017년에는 정보문화 확산에 기여한 공로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이숙정(지은이)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뉴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과 효과, 미디어 리터러시 등이다. 저서로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공저, 2018) 등이 있다.
이장주(지은이)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소장
봉미선(지은이)
EBS 전문위원이다. 성균관대학교 통계학과·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배재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단국대학교, 건국대학교에서 방송 및 미디어 관련 강의를 했다. 2012년 이후 EBS에서 미디어 정책, 연구 기획, 경영혁신 관련 업무를 맡았다. 공영방송 제도, TV수신료에 관한 논문과 미디어 전문 서적을 다수 공동 저술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공영방송, 공공서비스 미디어, 미디어 리터러시, 보편적 시청권 및 미디어 정책 등이다.
김창숙(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목차
[1장] 부모 중재의 다섯 가지 영역 1. 부모 중재가 왜 필요한가? / 2. 부모 중재의 보호 영역 / 3. 부모 중재의 호혜 영역 / 4. 부모 중재의 통제 영역 / 5. 부모 중재의 학습 영역 / 6. 부모 중재의 참여 영역 [2장] 스스로 조절하는 아이들: 영상 미디어 이용 조절 행동을 높이는 미디어 환경 만들기 1. 디지털 원주민인 어린이들 / 2. 영상 미디어 이용 조절이란? / 3. 어떻게 조사했나? / 4. 어린이의 영상 미디어 이용 환경에 따른 이용 조절 행동의 차이 / 5. 적절히 통제된 환경이 스스로 조절하는 아이로 만든다 [3장]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대처 1.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우려 / 2.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중재 방식 / 3. 자녀의 미디어 과다 이용에 대한 부모의 대처법 / 4. 디지털 시대 좋은 부모 되기 [4장]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국내외 사례와 과제 1.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개념 정의와 범주화 / 2. 문헌 연구를 통한 이론적 논의 / 3.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해외 사례 / 4.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국내 사례 / 5.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과제 및 제언 [5장] 게임하는 아이와 화내지 않고 소통하는 방법 1. 부모가 빠지기 쉬운 함정들 / 2. 화를 내지 않고 게임하는 아이와 소통하기 / 3. 이럴 때 이렇게 [6장] 미디어로 우리 아이 당당한 디지털 시민으로 키우기 1. 미디어 리터러시 살펴보기 / 2. 디지털 시대의 방송 / 3. 방송, 미디어 그리고 유튜브 / 4. 당당한 디지털 시민으로 키우기 [7장] 건강한 디지털 활용을 위한 디지털 페어런팅 1. 기술 발전과 부모 역할 / 2. 전통적인 미디어의 유해성 논란 / 3. 디지털 기기 이용의 부정적 영향 / 4. 디지털 기기의 유해성으로부터 자녀를 보호하기 위한 부모 전략 / 5. 부모 세대가 먼저 알아두어야 할 다음 세대에 필요한 미래 역량 [8장]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 구하는 스마트폰 역발상 전략 1. 코로나로 인한 ‘방콕’ 생활 속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우려 / 2. 스마트폰 문명의 도래를 인정하라 / 3. 아이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의 영향 요인을 알아내라 / 4. 아이의 스마트폰 사용 유형을 분석하라 / 5. 기본을 지키며 관계하라 [9장] 미디어 예방교육을 통해 본 자녀 지도 연구: H·A·P·P·Y 대화법의 출발 1. 들어가며 / 2. 예방활동에 대한 개요 및 평가 / 3. 자녀 지도의 방법과 효과 / 4. 조사활동 과정에서 밝혀진 문제점들 / 5. H·A·P·P·Y 대화법의 출발 / 6. 나가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