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초심상담자를 위한) 상담 기술의 실제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천성문, 千成文, 1963-, 저 박은아, 朴銀娥, 1973-, 저 이정아, 李政兒, 1970-, 저 이지영, 李志英, 1974-, 저 정세영, 1983-, 저 차윤희, 저 김지숙, 저 김현정, 저
서명 / 저자사항
(초심상담자를 위한) 상담 기술의 실제 = Practice of counseling skills for beginner counselors / 천성문 [외]공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23  
형태사항
[359] p. : 삽화, 서식 ; 26 cm
ISBN
9788999727962
일반주기
공저자: 박은아, 이정아, 이지영, 정세영, 차윤희, 김지숙, 김현정  
부록: 성장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 353-355)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6633
005 20230503162230
007 ta
008 221214s2023 ulkak b 001a kor
020 ▼a 9788999727962 ▼g 931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158.3 ▼2 23
085 ▼a 158.3 ▼2 DDCK
090 ▼a 158.3 ▼b 2023
245 2 0 ▼a (초심상담자를 위한) 상담 기술의 실제 = ▼x Practice of counseling skills for beginner counselors / ▼d 천성문 [외]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3
300 ▼a [359] p. : ▼b 삽화, 서식 ; ▼c 26 cm
500 ▼a 공저자: 박은아, 이정아, 이지영, 정세영, 차윤희, 김지숙, 김현정
500 ▼a 부록: 성장노트
504 ▼a 참고문헌(p. 353-355)과 색인수록
700 1 ▼a 천성문, ▼g 千成文, ▼d 1963-, ▼e▼0 AUTH(211009)7458
700 1 ▼a 박은아, ▼g 朴銀娥, ▼d 1973-, ▼e▼0 AUTH(211009)150722
700 1 ▼a 이정아, ▼g 李政兒, ▼d 1970-, ▼e▼0 AUTH(211009)150721
700 1 ▼a 이지영, ▼g 李志英, ▼d 1974-, ▼e▼0 AUTH(211009)150723
700 1 ▼a 정세영, ▼d 1983-, ▼e▼0 AUTH(211009)150724
700 1 ▼a 차윤희, ▼e▼0 AUTH(211009)150725
700 1 ▼a 김지숙, ▼e▼0 AUTH(211009)150726
700 1 ▼a 김현정, ▼e▼0 AUTH(211009)150727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8.3 2023 등록번호 1118727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청구기호 158.3 2023 등록번호 13105733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8.3 2023 등록번호 1118727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청구기호 158.3 2023 등록번호 13105733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초심상담자를 위한 실제적 상담 기술서다. 제1부에서는 상담자가 익혀야 할 기본적인 상담 기술을 정하고, 이 기술을 실제 상담 사례에 적용하며 연습해 보도록 하였다. 그리고 최근에는 통합적인 상담을 많이 적용하고 있어 다양한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상담 기술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제2부에서는 각 이론별로 활용도가 높은 상담 기술을 정리하고, 기술에 대한 안내 와 사례를 통해 기술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제3부에서는 초심상담자들이 수련하기 위한 상담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상담 기술을 체계적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열심히 훈련했지만 막상 내담자 앞에서
어렵고 막막한 초심상담자를 위한 실제적 상담 기술서!


“상담이 너무 어려워요.” “내담자의 이야기에 경청하고 공감 반응을 해야 한다는데, 축어록을 보면 제 말만 하고 있어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몰라 너무 답답해요.” 초심상담자들의 주된 하소연이다. 어느 정도 수련을 거친 상담자들은 “경청하고 공감은 하는데 상담에 진전이 없어요. 내담자의 문제를 어떻게 탐색해 나가야 할지 막막해요.” “내담자의 어려움에 해결방안을 제시하려는 저를 봅니다.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통찰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게 하려면, 상담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라는 질문을 자주 묻는다.
상담자로 성장하기 위해 수련과정에서 인간적인 자질과 전문적인 자질을 함께 훈련해야 한다면, 앞의 이야기들은 전문적인 자질에 포함되는 상담 기술과 관련한 어려움이다. 상담자가 인간적인 자질을 기른다면, 상담 기술과 같은 부분은 훈련하지 않아도 상담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지만 초심상담자들은 내담자와 마주 앉게 되면 상담이 저절로 진행되지 않는 현실과 마주하게 된다. 내담자에게 공감하는 표정을 짓지만, 머릿속은 어떤 말을 해야 할지를 생각하느라 정신없이 바쁘고 선배 상담자들은 자연스럽게 상담을 이어가는데, 자신은 왜 이렇게 어렵고 막막한지 상담자로서의 자질이 없는 것 같아 답답해한다.
상담자 수련은 인간적인 자질과 전문적인 자질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전문적인 자질 중에서도 상담에서 효과를 가져오는 직접적인 도구는 상담자의 언어 반응인 상담 기술이므로, 초심상담자들에게 상담 기술에 대한 수련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서인지 많은 교재에서 상담 기술을 다루고 있지만, 기술 자체에 대한 설명과 간단한 예시 정도만 담고 있어 초심상담자들이 배움을 얻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고 이론마다 제시하고 있는 상담 기술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어떻게 배우고 자신들의 상담에 적용할 수 있을지를 판단하는 것도 쉽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초심상담자 시절을 떠올리며 상담 기술을 배울 때 각자의 채워지지 않았던 욕구를 브레인스토밍하며 이 책의 방향을 정하였다. 제1부에서는 상담자가 익혀야 할 기본적인 상담 기술을 정하고, 이 기술을 실제 상담 사례에 적용하며 연습해 보도록 하였다. 그리고 최근에는 통합적인 상담을 많이 적용하고 있어 다양한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상담 기술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제2부에서는 각 이론별로 활용도가 높은 상담 기술을 정리하고, 기술에 대한 안내 와 사례를 통해 기술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제3부에서는 초심상담자들이 수련하기 위한 상담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상담 기술을 체계적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책을 활용하는 독자도 저자들만큼 다양한 방법으로 상담 기술을 배우고 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부마다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모두 활용하여 상담 기술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기를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정아(지은이)

부산외국어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교육학 박사) 부경대학교 교육컨설팅학과(상담심리전공) 박사과정수료 부산외국어대학교 진로개발원장

천성문(지은이)

부경대학교 평생교육상담학과 교수(상담심리학 박사) 전 스탠포드대학교 연구 및 방문 교수 서울대학교 초빙객원교수 (사)한국상담학회 학회장

박은아(지은이)

데이브레이크대학교 교수(상담심리학 박사) 부경대학교 대학원 겸임 교수 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연구원

이지영(지은이)

부산외국어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교육학 박사) 부경대학교 교육컨설팅학과(상담심리전공) 박사과정수료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생상담센터장

정세영(지은이)

고신대학교 재활상담학과 교수(특수교육학 박사) 부경대학교 교육컨설팅학과(상담심리전공) 박사과정수료 부경대학교 미래융합대학 심리상담센터 상담원

차윤희(지은이)

부경대학교 교육컨설팅학과(상담심리전공) 박사과정수료 대양고등학교 전문상담교사 부경대학교 미래융합대학 심리상담센터 상담원

김지숙(지은이)

부경대학교 교육컨설팅학과(상담심리전공) 박사과정수료 신라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상담원 (사)한국교육상담협회 간사

김현정(지은이)

부경대학교 평생교육상담학과 외래 교수(상담심리학 박사) 부경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상담원 (사)한국교육상담협회 총무이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부 상담 기술 이론
제1장 관심기울이기, 관찰하기
제2장 경청하기, 공감하기
제3장 감정 반영하기, 재진술하기
제4장 자기개방하기, 즉시성
제5장 질문하기, 지지하기
제6장 직면하기, 해석하기
제7장 요약하기, 정보제공하기

제2부 이론별 상감 기술
제8장 정신분석상담
제9장 행동주의상담
제10장 합리정서행동상담
제11장 게슈탈트상담
제12장 현실치료
제13장 해결중심상담

제3부 상담 기술 훈련 프로그램
제14장 상담 기술 훈련 프로그램

관련분야 신착자료

高橋宏和 (2023)
도미향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