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고향기부금의 기적) 히라도市는 어떻게 일본 최고가 됐나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黑田成彦, 1960- 김응규, 역
서명 / 저자사항
(고향기부금의 기적) 히라도市는 어떻게 일본 최고가 됐나 / 구로다 나루히코 지음 ; 김응규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농민신문사,   2022  
형태사항
244 p. : 삽화, 지도 ; 22 cm
총서사항
고향사랑총서 ;2
원표제
平戶市はなぜ, ふるさと納稅で日本一になれたのか?
ISBN
9788979471885 9788979471861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3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6591
005 20221219100855
007 ta
008 221214s2022 ulkab b 000c kor
020 ▼a 9788979471885 ▼g 04520
020 1 ▼a 9788979471861 (세트)
035 ▼a (KERIS)BIB000016576984
040 ▼a 241027 ▼c 241027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336.200952244 ▼2 23
085 ▼a 336.200952 ▼2 DDCK
090 ▼a 336.200952 ▼b 2022
100 1 ▼a 黑田成彦, ▼d 1960-
245 2 0 ▼a (고향기부금의 기적) 히라도市는 어떻게 일본 최고가 됐나 / ▼d 구로다 나루히코 지음 ; ▼e 김응규 옮김
246 1 9 ▼a 平戶市はなぜ, ふるさと納稅で日本一になれたのか?
246 3 ▼a Hiradoshi wa naze furusato nozei de nihon'ichi ni nareta noka
260 ▼a 서울 : ▼b 농민신문사, ▼c 2022
300 ▼a 244 p. : ▼b 삽화, 지도 ; ▼c 22 cm
490 1 0 ▼a 고향사랑총서 ; ▼v 2
504 ▼a 참고문헌: p. 23
700 1 ▼a 김응규, ▼e
830 0 ▼a 고향사랑총서 ; ▼v 2
900 1 0 ▼a 구로다 나루히코, ▼e
900 1 0 ▼a Kuroda, Naruhiko,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6.200952 2022 등록번호 1118726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향사랑총서 2권. 일본 규슈 나가사키현에 있는 작은 지자체인 히라도시가 어떻게 해서 고향기부금 일본 1위(2014년 기준)의 실적을 올리고, 이 기부금을 활용해 인구감소 등 지자체가 당면한 과제를 어찌 해결하고 있는지를 생생하게 들려준다. 특히 이 책은 현직 히라도시 시장인 구로다 나루히코(저자)가 직접 구술하듯 쓴 책이라 더 호소력 있게 다가온다.

고향납세로 대박 난 일본 최서단의 작은 지자체 -
『히라도市는 어떻게 일본 최고가 됐나』 출간 !!


일본 규슈 최서단의 자그마한 지자체에서 시작된 고향납세의 기적
나가사키현 히라도시 시장이 직접 들려주는 고향기부금 실적 1위 비결
“히라도를 벤치마킹하자!” 고향기부금 유치 및 활용을 위한 최고의 지침서

농민신문사가 고향사랑기부금 유치와 고향사랑기부제의 효율적 운영을 고민하는 지자체 관계자들에게 훌륭한 가이드북이 되어줄『히라도市는 어떻게 일본 최고가 됐나』를 출판했다.

농민신문사의《고향사랑총서》시리즈 두 번째 책인『히라도市는 어떻게 일본 최고가 됐나』는 일본 규슈 나가사키현에 있는 작은 지자체인 히라도시가 어떻게 해서 고향기부금 일본 1위(2014년 기준)의 실적을 올리고, 이 기부금을 활용해 인구감소 등 지자체가 당면한 과제를 어찌 해결하고 있는지를 생생하게 들려준다. 특히 이 책은 현직 히라도시 시장인 구로다 나루히코(저자)가 직접 구술하듯 쓴 책이라 더 호소력 있게 다가온다.

이 책은 ‘히라도시의 지리적 여건과 역사’, ‘고향납세로 활로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발상의 전환 10가지 전략’, ‘생산 사이클이 선순환됐다’, ‘홍보와 미디어 대책’, ‘지방 창생을 위한 고향납세제도의 활용’, ‘일본 제일이 된 후 히라도시는 어떻게 달라졌나’ 등 총 7개 파트로 구분해 고향납세 기부금 실적 1위의 비결을 전한다.

각 장 모두 자신들의 노하우를 빠짐없이 전수해 주겠다는 나루히코 시장의 진정성이 묻어나지만, 특히 지역 물산 전략 10가지와 고향납세제도를 적절하게 버무린 제3장 ‘발상의 전환 10가지 전략’은 눈여겨봐야 한다. 각 전략의 맨 뒤에는 핵심 포인트를 한두 문장으로 정리해둬 독자들의 이해를 높였다.
(노하우 공개에 주저함이 없는 나루히코 시장의 진정성은 “이 책 출판으로 인해 담당 직원으로부터 ‘우리의 영업 비밀이 새어나갈 수 있다’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지만, 이것 역시 우리 시를 알리고 고향납세에 관계된 분들을 격려하는 응원가가 될 것”이라고 자부하는 저자 서문에서도 잘 나타난다.)

제4장에서는 이러한 전략과 고향납세가 생산현장에서 기여한 효과를 살핀다. “기부액 실적과 답례품 주문 증가로 생산현장에서는 횡적 연대가 활발해지고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다”라는 나루히코 시장의 귀띔은 우리나라 농촌지역 지방자지단체장들이 특히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다.

제5장에서는 히라도시의 고향납세가 전국적인 스타덤에 오르는 과저에서 미디어 대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뤘다. 또한 기존의 홍보채널인 TV나 신문뿐 아니라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활용한 홍보 및 미디어 이용 사례를 소개한다.

이뿐 아니라 고향납세 실적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소개한 제6장 ‘지방 창생을 위한 고향납세제도의 활용’, 인구감소와 지방 소멸이라는 난제를 해결할 방법이 고향납세에 있다고 전하는 제7장 ‘일본 제일이 된 후 히라도시는 어떻게 달라졌나’ 등 책 전체 내용이 지자체 관계자들과 고향사랑기부제 관련자들이 주의 깊게 들여다봐야 핵심 포인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이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책 곳곳에 우리나라 지자체 관계자와 농축산품 생산자들, 지역 사업자들이 벤치마킹해야 할 고급 정보와 비법들이 가득 들어차 있어 고향납세제도 정착과 지자체 홍보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들에게 좋은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인 구로다 나루히코 시장은 책의 본문을 통해 고향납세제도가 단순히 기부액 쟁탈 경쟁에 그치지 않고 마을 가꾸기나 지방 활성화 차원의 산업정책, 지역 진흥책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렇기 때문에 고향납세제도를 활용해 도시에 살고 있는 분들이 ‘기부만이라도 해볼까’라는 생각으로 고향과 연결고리를 갖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답례품은 어디까지나 기부처인 고향을 이해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매력을 잘 홍보해 미래의 ‘거주 시민’이 되도록 ‘연결고리’를 쌓아가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본문 중에서)

저자는 본문을 통해 히라도 자체적으로 추진한 내용을 기록하고 앞으로의 과제 등도 짚어봄으로써, 고향납세제도가 농촌 지자체 활성화 대책 및 지자체 인구 감소 대책으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한다.

무엇보다도 지역에 ‘관심도 없었던 사람’이 기부를 통해 연결고리가 생기면서 ‘관심이 있는 사람’으로 바뀌도록 만들어가는 것이 기부를 받은 지자체가 다음으로 해야 할 일입니다.
우리는 생산자와 함께 ‘히라도 팬’을 많이 늘려 전국으로 확대해가는 것이야말로 소멸 가능성이 있는 지자체에서 벗어나 진정한 지방 창생의 길로 향하는 처방책이 될 것으로 굳게 믿고 있습니다. (본문 중에서)

일본 최서단의 작은 지자체가 이뤄낸 기부금 유치 노하우와 활용 전략은 출산율 하락과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동시에 지자체의 인구 유출의 급증으로 지방 소멸 위기에 놓인 우리 농촌 지자체에 많은 것을 시사한다.

이 책은 2023년 1월 고향납세제도의 시행을 앞둔 이때,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장들이 꼭 봐야 할 필독서이다. 치밀한 고향납세제도의 전략과 함께 인재 만들기, 지역 문화자원 살리기, 살고 싶은 마을 만들기 등 세 가지로 집중한 기금 활용 방법을 통해 고향 기부금 실적 1위를 달성한 히라도시의 노하우를 직접 전해 듣는 생생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구로다 나루히코(지은이)

1960년 8월 히라도시 이키쓰키정에서 태어남. 사립 세이운고교(나가사키현 도기쓰정時津町), 사립 레이타쿠대학(지바현千葉県 가시와시柏市) 영문과 졸업. 1983년 참의원 의원 시모조 신이치로下条進一郎씨(前후생대신, 작고)의 비서로 근무 후 1985년 중의원 의원 가네코 겐지로金子原二郎씨(前 나가사키현 지사)의 비서로 활동. 2002년 2월 나가사키현의회 의원 보궐선거에서 첫 당선됐고 이듬해 4월 나가사키현의회 의원 선거에서 재선. 2007년 4월 합병 후의 히라도시 선거구에서 3기째 현의회 의원에 당선. 2009년 10월 히라도 시장 선거에 입후보해 당선. 합병 후 2대 시장에 취임. 2013년 10월 무투표로 재선해 현재에 이름.

김응규(옮긴이)

고려대 생명환경과학대학원 졸업. 1993년 농협중앙회에 입사해 현재 농협경제연구소 국장으로 재직 중. 농협중앙회 일본사무소 주재원 근무와 한일협동조합연구회 회원으로 활동. 옮긴 책으로 하치스카 히로코, 사쿠라이 이사무의 『지금이야말로 도시農』이 있음.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히라도시의 고향납세 답례품

Part 01 히라도시의 지리적 여건과 역사
나가사키현 서북부에 위치하며 규슈 본토 일부와 외딴섬을 포함
주변이 바다로 둘러싸여 외국과의 교역 관문으로 번성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그리스도교 문화
전후戦後의 발전과 완만한 인구 감소
히라도대교·이키쓰키대교의 개통과 새로운 변화
2005년, 1시 2정 1촌에 의한 시·정·촌 합병
멈추지 않는 인구 감소
소규모 영세농가, 적은 경지면적과 고령화된 농업
기로에 선 기간산업, 농림수산업과 관광업

Part 02 고향납세로 활로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매년 기부액이 100만 엔 정도로 저조
해산물은 소량 다품종으로 계절 한정
육우는 다른 현県에 송아지로 출하
농산물은 다종다양하지만 머나먼 브랜드화
‘히라도 생산물 홍보망은 시市 사이트뿐’이라는 전략의 결여

Part 03 발상의 전환 ‘10가지 전략’
관객을 끌기 위해서는 매력적인 연출이 필요
물산 거점인 ‘히라도세토 시장’ 개설
소량 다품목을 세트화해 ‘지역 브랜드’로 전개
기존 카탈로그의 활용에서 벗어나 전면 리뉴얼로 진화
답례품 포인트제도가 주는 기부자와의 ‘연결고리’ 효과
패키지화를 통한 선물 전략
상품의 ‘스토리’화
좀처럼 구입할 수 없는 희귀성 높은 고급 상품도 구입 가능
정기배송 방식으로 재구매 수요 확보
살아남은 사업자가 대표선수로

Part 04 생산 사이클이 선순환됐다
감귤 착즙 찌꺼기를 양식 방어 먹이로
생선 찌꺼기를 감귤밭 비료로
답례품 공급 단체와의 제휴
생각지도 않았던 상품의 개발과 경제효과
한발 앞서 기업 니즈에 대응
운송회사와의 제휴

Part 05 홍보와 미디어 대책
고향납세 전문사이트와의 제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홍보에 적극 활용
지역 간 경쟁 속에서 카탈로그에 충실
히라도 고향납세의 TV 노출 효과
널리 확산되는 ‘히라도’라는 이름

Part 06 지방창생을 위한 고향납세제도의 활용
고향납세 기부금의 한정된 사용처
ㆍ빛나는 인재 만들기 프로젝트
ㆍ지역의 보물 같은 자원을 살리는 프로젝트
ㆍ계속 살고 싶은 마을 창출 프로젝트
‘안테나 숍’ ‘안테나 이자카야’ 등 수도권 전략 마련
고향납세 규슈서밋 개최
‘기부해보고 싶다’에서 ‘가보고 싶다’ ‘살아보고 싶다’로

Part 07 ‘일본 제일’이 된 후 히라도시는 어떻게 달라졌나
생산자(공급자) 의욕이 2배로 증가
히라도 시민의 의식 개혁
해외 미디어로부터도 주목받은 히라도시 고향납세
히라도시의 향후 전망
인구 감소 사회에서 고향납세를 제대로 인식하는 법

참고문헌
후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추계세제분석실. 추계세제총괄과 (2022)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국. 거시경제분석과 (2022)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추계세제분석실. 추계세제총괄과 (2022)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추계세제분석실. 세제분석2과 (2022)
유태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