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6586 | |
005 | 20221219095327 | |
007 | ta | |
008 | 221214s2022 ulkad b 000a kor | |
020 | ▼a 9788957116517 ▼g 930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3.4833 ▼a 302.231 ▼2 23 |
085 | ▼a 303.4833 ▼2 DDCK | |
090 | ▼a 303.4833 ▼b 2022z41 | |
100 | 1 | ▼a 최민재 |
245 | 1 0 | ▼a 메타버스 환경과 미디어 / ▼d 최민재, ▼e 문철수, ▼e 황성연 |
260 | ▼a 서울 : ▼b 한국언론진흥재단, ▼c 2022 | |
300 | ▼a 160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연구서 ; ▼v 2022-02 |
504 | ▼a 참고문헌: p. 154-160 | |
536 | ▼a 이 보고서는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음 | |
700 | 1 | ▼a 문철수, ▼e 저 |
700 | 1 | ▼a 황성연, ▼e 저 |
830 | 0 | ▼a 연구서 (한국언론진흥재단) ; ▼v 2022-02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3 2022z41 | Accession No. 1118726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3 2022z41 | Accession No. 51105725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COVID-19 팬데믹 환경을 거치면서 주목도가 높아진 메타버스 플랫폼은, 거대 플랫폼기업들이 장악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저자는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미디어 산업의 대응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미디어 기업들의 대응현황 및 전문가 평가 그리고 국내 이용자들의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실태와 평가인식을 분석하였다.
COVID-19 팬데믹 환경을 거치면서 주목도가 높아진 메타버스 플랫폼은, 거대 플랫폼기업들이 장악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메타버스 환경에 대한 대응을 위해 투자가 이뤄지고 있으며, NFT 영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만들어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저자는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미디어 산업의 대응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미디어 기업들의 대응현황 및 전문가 평가 그리고 국내 이용자들의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실태와 평가인식을 분석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최민재(지은이)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를 거쳐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동영상 UCC와 저널리즘』(2006), 『포털뉴스의 의제설정』(2006), 『온라인 뉴스 콘텐츠 비즈니스모델』(2005)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포털사이트 뉴스서비스의 의제설정기능에 관한 연구”(2006), “영상텍스트 수용자의 환상적 동일시에 관한 연구”(2004) 등이 있다.
황성연(지은이)
시청 지표 조사 회사 닐슨미디어코리아에서 TV-PC-모바일의 이용 행태를 측정하고 비교하는 작업을 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통합 콘텐츠 이용 지표와 통합 광고 효과 산정 체계를 구축하고 합리적인 미디어 전략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한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를 수료했다. 주요한 연구 분야는 수용자, 특히 미디어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문철수(지은이)
현재 한신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언론학 석사, 박사 한국언론연구원(現 한국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 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한국홍보학회 총무이사 現 한국PR협회 연구이사 現 한국언론학회 홍보연구분과 회장 <지역언론개혁론>, 이진출판사, 1999. (공저) <21세기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공저) <PR 캠페인>, 한울아카데미, 2001. (공저)

Table of Contents
01. 서론 02. 주요 메타버스 플랫폼 국내 이용 현황 1. 로블록스(Roblox) 2. 제페토(Zepeto) 3. 마인크래프트(Minecraft) 4. 포트나이트(Fortnite) 5. 모여봐요 동물의 숲 6. 이프랜드(Ifland) 7. 위버스(Weverse) 8. 유니버스(Universe) 9. 게더타운(Gather Town) 10. 메타 호라이즌(Meta Horizon) 03. 미디어산업의 메타버스 적용사례 1. 언론매체의 메타버스 플랫폼 대응 1) 세컨드 라이프 인콰이어러 2) 매일경제신문의 제리 3) 메타버스 전문매체 2. 언론매체의 NFT 대응 사례 1) Time 2) CNN 3) 뉴욕타임스 4) AP통신 3. 방송매체의 메타버스 환경 대응 1) CBS 모닝 2) 그린 플래닛 AR 컨소시엄 3) AR 아바타 출현 프로그램 4) 방송사들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4. 메타버스 환경에서 광고 환경 변화 1) 가상현실 광고판 2) VR 인게임 광고 3) 버추얼 인플루언서 4) 네이티브 VR 광고 마케팅 04. 메타버스와 미디어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 1. 언론사들의 디지털 대응전략 성과 및 전망 2. 향후 플랫폼 환경 및 웹3.0에 대한 전망 3. 메타버스 성장과 기존 플랫폼 영향 전망 4. 메타버스 성장 동력과 정책적 지원 방향 5. 메타버스 환경에서 미디어 및 광고 산업 생존 전략 6. 미디어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메타버스 요소 7. 주목할 만한 미디어의 메타버스 대응 사례 8. 디지털 광고 패턴 변화 9. 디지털 플랫폼 유형별 광고주 인식 10. 광고업계에서 주목하는 디지털 플랫폼 11. 메타버스에 대한 광고업계의 인식과 대응전략 12. 광고 영역에서 주목도가 높은 메타버스 플랫폼 13. 메타버스 환경에서 성장 예상 캠페인 유형 14. 메타버스 환경이 광고 산업에 미칠 영향 05.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실태 및 인식 조사 1. 조사 개요 2.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률 및 이용 동기 3.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비용과 수익 4.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과 평가 5. 메타버스 주변 환경에 대한 평가 6. 메타버스와 미디어의 접점에 대한 평가 7. 소결 06. 결론 : 연구결과 요약 및 함의 참고문헌